스탠기준입니다. 실험 단수는 121단 입니다. 정랩 2090랩

푸른서슬은 공속 재감작. 공속을 광피 피해 다 붙여 보았지만 큰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울분은 원시옵이 다 같으니. 힘을 재감해 주었습니다.

여러판을 돌릴결과 울분이 게이지를 2~3분정도 더 당겨 줍니다. 게임플레이시 시원시원한 느낌도 울분이 더 좋습니다.

울분은 널널하게 시간이 나오는 반면. 서슬은 좀 타이트하게 잡히네요. 공속이 1.5인 공속서슬이라 막보를 좀더 빨리 잡지 않을까 했지만. 1.39인 공속협만과 큰차이가 없습니다. 더빨리 때리고 고파자 효과와 20콜뎀 효과가 있지만. 게이지를 미는데서 너무큰 차이가 납니다.

즉 광란이 유지가 잘되고. 게이지가 잘밀리는 단수. 즉 충분히 깨는 단수는 울분이 좋네요.

그럼 빡신 단계 125단은 어떤가 해보니. 어차피 못깨지만 게이지 구간은 울분이 더 시원하게 미네요. 광란과 울분효과가 아직 끊길정도는 아니지만. 몹들이 너무 단단합니다.

막보역시 최소 4분은 남겨야 죽여질듯해 보이는데. 게이지 아무리 잘밀어도 시간이 안남습니다. 도관 킵하고도 못밀었으니 이구간은 현제로선 절대 불가능한 단수 입니다.

음.. 그리고 이리저리 마부해보며 느낀 무기옵션은

협만의 경우 공속과 재감을 챙겨야 한다는것. 공속프레임이 차이가 납니다. 느리구나 적당하구나 하는 차이가 날정도여서 공속은 무조건 넣는게 좋다고 봅니다.

그리고 광피는 어떤가. 챙기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120단계를 넘어서니 광피가 조금식 있어야 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최근 피해옵션을 버리고 광피를 선택해서 단수를 하나식 올려잡고 있네요.

게이지를 빨리 밀고 막보는 고파자를 더 쌓자라는 생각이였는데. 확실히 효과는 있었습니다.

대지대강의 단점이 손목에 10마리에게만 500피해인데. 단수가 늘어나면 몹들이 10마리 20마리 이상 모입니다. 이때 광피의 효과가 커집니다. 이안에 정예가 있다면 피를 더빨리 빼버리기도 하구요. 황야같이 밀집도가 좋지는 않지만.

대강의 단점인 10마리피해를 조금이나마 커버를 해주는 느낌입니다. 이렇게 해서 막보를 최소 2분넘게 남기고 떠야 뭐 어떻게든 잡을만하네. 라는 기대가 가능합니다. 1분30초 이렇게 남으면 하멜린같은 순삭가능한 막보가 아니면 못깬다고 봐야 합니다.

즉 광피가 어느정도 필요 합니다. 하지만 재감은 꼭 60%근처로 유지해야 합니다.

푸른서슬에 125보석하나 날려서 ㅜ.ㅜ 차라리 갑옷나 모자에 작업했으면 더 강해졌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크네요.

결론은 게이지를 미는것만 봐도 깰단수 못깰 단수는 정해짐.

고파자의 효과가를 믿고 게이지 빨리미는 무기가 좋다. 입니다.

최종적으로 풀스택기준(광전사.위협의외침.울분5스택.광란5스택) 울분이 초당 1300만.

풀스택기준(광전사.위협의외침.광란5스택) 푸른서슬은

835만이 나오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