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줄요약
1. 보스, 시드, 재획 등 주요 콘텐츠의 현금거래 경험자 상당수가 접거나 판매를 관둠.

2. 주요 콘텐츠 현금거래 경험자들의 상위 길드 쏠림 현상은 앞으로 더 심해질 것.

3. 검마 편린먹을 만 원 미만으로도 구할 수 있게 됨.

----------



"리부트월드에서도 소위 말하는 '보스먹자' 파티가 성행을 하며 일반 월드의 시장경제가 주고 있는 그 플레이 방식이 유사하게 동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캐릭터 성장의 난이도가 리부트월드가 처음 투입되었던 초기 의도와 비교하면 쉬워진 것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

리부트월드에 적용된 최근 업데이트들의 명분은 공식 멘트를 기반으로 한다면 위의 작년 비전토크 멘트에서 발견된다고 볼 수 있음.

리부트월드에 보팔 같은 시장경제적 요소가 들어온 것을 리부트월드의 쉬워진 난이도와 결부해 향후 이런 요소를 고려해 패치하겠다는 선언이었는데,

실제로 쉬워진 메소 수급 난이도와 한번도 바뀌지 않은 장비 성장 요소 가격의 경우 24년 1월 업데이트를 통해 현 디렉터가 "양해 부탁드린다."라고 표현할 정도로 급격하게 조정되는 방식으로 현실화됐으니까.

----------

그 명분을 제공했던 현금거래자들은 지금 접었을까, 아직도 팔고 있을까, 아님 가끔 접속이라도 할까 궁금하지 않음?

관련 주제가 다뤄진 글들을 여러 커뮤니티에서 찾을 수 있었던 만큼

이번 글엔 다음과 같은 걸 담았음.

1. 23년 3월 ~ 24년 3월 디스코드 채널들에서의 현금거래 경험자 동향

2. 24년 3월 고확, 파티모집창 현금거래자 동향

----------

1. 23년 3월 ~ 24년 3월 디스코드 채널들에서의 현금거래 경험자 동향

리부트월드에선 고확, 파티모집창, 디스코드 채널 및 오픈카톡 채널에서 주요 콘텐츠의 현금거래, 즉 시드대리, 재획대리, 채집대리, 대리컨, 보스구매 및 판매 등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여기선 디스코드 채널들만 따로 살펴보자.



여러 디스코드 채널 중 한 디스코드 채널의 가입자를 대상으로 23년 3월 초 ~ 24년 3월 말 사이 보스, 시드, 재획과 같은 콘텐츠들에 대해 현금거래한 경험이 있는 유저의 수를 따져보면 956명.  

그 중에서 디스코드 계정을 게시글 작성 시점에 삭제해 기록만 남아있는 경우와, 메이플 캐릭터 이름을 변경(닉변)한 후 현재 어느 캐릭터인지 찾을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할 경우,

플레이 중인 유저는 최소 476명, 아예 물리적으로 접속을 안 하고 접어버린 유형은 최소 132명으로 파악됨.

아예 접어버린 게 확인되는 유형은 카루타, 노스데를 비롯한 모든 것을 사먹으면서 성장하려는 유저들인 경우도 많았지만, 일반적인 보스거래자인 경우가 더 많았다.

현재 플레이 중인 유저들 중에선 여전히 현금거래를 시도하는 부류도 있지만, 평범하게 플레이하면서 디스코드 채널을 보스 구인구직 용으로만 쓰는 상태인 경우가 훨씬 많다.

24년 1월부터 닉변한 경우는 그나마 확인이 쉽지만, 23년 9월 혹은 그 이전에 닉변을 했고, 디스코드 프로필명도 변경하지 않은 경우 아예 캐릭터 확인 자체가 어렵다. 닉변으로 카테고리된 부류는 이에 해당함.

----------

이제 길드 단위로 동향을 보자:


재획대리, 채집대리, 시드대리, 보스판매, 보스구매 등 메이플스토리 주요 콘텐츠들을 대상으로 한 현금거래 경험자를 소속된 길드를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가 위와 같음. 

주어진 길드 내 주요 콘텐츠 현금거래 경험자의 수가 5명 이상인 경우만 차트에 리스팅 됐음. 현금거래 경험자 소속인원이 5명 미만인 길드도 수십 개. 

리스팅된 길드들 중에서 특이 요소만 따로 부연하면: 

가*최소 2년 이상의 플레이 기간을 가진 유저 수가 상당함. 
새*'단발성 보스팔이 고확 금지' 규정 존재. 
설*과월 대비 타 길드로 이동한 현금거래 경험자들이 몇몇 보임.
미*고확 및 파티모집 창에서의 활동자가 많이 확인됨.

그리고 보스 판매 이력이 있는 길드 길마가 2명 이상 확인되는 것도 주목됨.

현금거래 경험자 중 종종 접속을 하면서도 특정 길드에 소속되지 않는 케이스가 꽤 되는데, (1) 노블스킬을 사용하지 않아도 보팔을 할정도로 고스펙인 경우, (2) 걍 접속해서 주보만 잠깐 도는 경우 등으로 생각된다.

위 차트와 같이 대체로 주간 획득 노블 포인트가 큰 길드일수록 소속된 주요콘텐츠 현금거래 경험자의 수가 크다는 것이 확인되는데,

보스 현금거래 경험자들의 경우 대개 전투력 1억+를 기본으로 하는 고스펙 유저이므로, 상위 길드에 이들이 쏠리는 현상은 더 심화될 거라 생각됨. 노블포인트 부여는 규준지향형인데 길드의 수는 점차 줄어드는 상황이니까.

----------

한편 고확이나 파티모집창을 보면서 참 가지가지 이것저것 다양하게 판다라는 생각을 많이 했을텐데,

1년간 그 ^상품^의 가격이 어느 추세를 보이며 변화했는지도 궁금하지 않은가?


가격 변동 추이를 검마 편린먹을 대상으로 살펴봤음.

보스 판매자 입장에서 그동안 가장 꿀을 빨고 있던 대상은 검마라고 생각이 되는데,

특히 위처럼 몇몇 일반월드 유저들은 리부트 월드 내 격수와 숍을 (돈을 주든 무료 대리컨, 무료 먹자를 통해서든) 구한 후 [숍이 빠지기도 한다], 나머지 자리에 편린먹 등을 채워넣어 수익을 챙기는 방식이 많이 확인된다.

분명 리부트월드 디스코드 채널인데 링크된 오픈카톡방 닉네임이 일반월드 캐릭터명으로 돼있으면 상당수가 위 케이스.

자기 자신은 고스펙 캐릭터 하나 안 가진 채 수십 개의 파티를 위 방식으로 유용하며 수익을 취할 수 있는 꿀통이었던 거지.


검마 보스팔이의 경우 편린먹, 갠보먹, 창뱃먹 등 다양한 세부유형이 있고, 직컨/대리컨 유무에 따라 가격이 달라짐.

그중에서 직컨 편린먹의 가격 추이만 살펴보면:

23년 3월에는 6만원에서 10만원 사이의 호가가 확인됨. 

23년 4월~12월은 캐릭터 생성 제한 주기가 오래 진행되면서 가격이 서서히 내려가는 추세를 보임.

24년 1월부턴 '양해를 부탁받는' 그 상황으로 인해 현격하게 호가가 내려감.

---

검마 외에도 

(1) 스데루윌진듄더슬 올먹 (호가 35까지 확인됨)

(2) 미트라 뜨안뜨 (호가 40까지 확인됨)

(3) 블하 뜨안뜨 (현재 1~2)

같은 비싼 상품(?)도 종종 확인되는데, 블하 뜨안뜨는 현재도 수요가 꽤 있는 것으로 보임.

----------

2. 24년 3월 고확, 파티모집창 현금거래자 동향

24년 2월 대비 고확과 파티모집창을 활용한 현금거래자의 목록 상 변화는 눈에 띄지 않음.

즉 해당 채널들에선 하는 사람만 함.

다만, 와헌계/부계로 파티모집창에 판매글을 게재하는 유저들이 과월 대비 주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