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지난번에 잠깐 언급한 슬링탄의 미묘한 성능차이를 다룹니다.

(평어체 쓸게요)
-------------------------------------------------------
주의) 특수한 상황을 다루며, 버그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

아래는 대부분의 몬헌 유저들이 아는 사실이다.
모든 몬스터들은 분노 진입 시 특정한 행동을 한다.
대부분은 포효이며, 디아블로스 같은 예외도 있다.

반면 아래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사실이다.
일부 몬스터들은 분노 종료 시에도 특정한 행동을 한다.
글쓴이가 현재 알고 있는 몬스터는 아래와 같다.

모두를 멸하는

네르기간테

멍 때리기 (피로 상태가 아님)

진오우거 & 아종

포효 (판정은 없음)

브라키디오스

몸에 점균 묻히기

홍련의 솟구치는

바젤기우스

폭린 에어드랍 패턴 후 기지개 모션

, ()폭린 상태 시 기지개만

(그 외 제보 바랍니다. 홍바젤 warin2님 제보)

오늘 다룰 특수한 상황은 바로 이 분노 종료 패턴 중일 때이다.
(점균이나 포효는 다른 때에도 하지만 그 때를 말하는 게 아님)

이 모션은 몬스터마다 각각 정해진 분노 시간이 끝난 후 발생한다.
(분노해제기믹을 갖는 진오우거(아종)은 해제 조건 충족 시에도)
또한 그 모션이 끝날 때까지 분노 상태가 종료되지 않고 이어진다.

쉽게 말하면, 분노가 끝났는데 끝나지 않은(?) 이상한 상태인 것이다.
단, 도전자 버프로 확인해보면 분명히 분노상태 중이다.
따라서 방향전환 및 전탄발사는 이론상 불가능하다.

(첫 짝은 안 들어가고 도전자가 끝난 후에야 짝꿍이 차례로 들어간다)

분명히 이게 맞는데...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방향전환은 절대 안 되는 게 맞으나, 
전탄발사는 슬링어 종류에 따라 되기도 한다. (반복체크함)

각 몬스터들을 살펴보자. (도전자 회심버프로 분노타이밍 체크) 


브라키디오스
동일한 점균 패턴 타이밍인데 오히려 더 늦게 발사한 점착석은 벽꿍이 안 된다.


진오우거 (아종도 마찬가지)
이번에도 동시 타이밍. 첨예석이 늦은 게 절대 아니다.


모두를 멸하는 네르기간테
모멸넬기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도 언급한 적이 있다.

필자는 저 글에서 모멸넬기의 저 행동을 피로상태로 오인했는데,
그게 아니라 분노 해제 모션이었다. (피로 상태와 무관하게 발생함)


성공한 슬링어들을 분석해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바로 확정 경직을 유발하는 슬링어라는 점이다.
툭툭결정, 펑펑호두, 첨예석, 가연석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돌멩이, 짱돌, 멸룡석, 점착석 등은 안 되었다.
이것들도 분명 경직을 줄 때도 있지만 벽꿍으로 이어지진 않는다.


왜 저런 현상이 나오는지 대충 아래와 같이 추측해보았다.

분노해제 모션 중 경직이 발생하면 모션이 끊기면서 분노 상태가 즉시 종료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는 전탄발사 시 슬링어 경직이 발생하면
발사판정(벽꿍X) - 슬링어경직 – 분노해제 순서이나,

확정경직 슬링어의 경우 아래 매커니즘인 듯 하다.
슬링어경직 – 분노해제 – 발사판정 – 벽꿍

사양일 수도 있는데 버그일 확률이 좀 더 높아보인다..
경황이야 어쨌든 분명히 분노 상태에 쏜 전탄발사가 벽꿍으로 이어졌다.

물론 실전에서 써먹을 일은 드무니 전혀 몰라도 된다.
그냥 이런 것도 있구나 정도...
그나마 브라키는 점균 패턴을 끊어줄 순 있겠다.


[정리]
고유의 분노 해제 모션을 가진 몬스터의 경우
그 모션 동안은 분노상태가 유지됨에도 불구하고
확정경직 슬링탄으로 전탄발사를 날리면 벽꿍이 된다.

벽을 보고 저 모션을 한다면 프리벽꿍 찬스이니 놓치지 말자.
(주의. 방향전환까지 하려면 저 모션 끝날 때 까지 기다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