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구하신 분이 계실지도 모르겠는데, 해당 게시물을 찾지 못해서 제가 구해봤습니다.

전 수학과가 아니라서 틀릴 수도 있습니다.
틀린 점에 대해 말씀해 주시면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확인되지 않은 부분도 있습니다. 본문에 표기하겠습니다.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 or 버림 공식 본문에 표기했습니다.

1. 구매 원가 공식

참고사항: 관세 20%, 할인율(언어+스킬) 9.5%, 해당 시세 103%
(이 게시물을 작성하게 될 지 몰라서 해당 스샷을 깜박했습니다. 양해바랍니다.)

1) 시세 100%일 때 구매 원가
= 구매 원가/시세(해당시세)*100
= 998/103*100 = 968.93 -> 969 두캇 (반올림) 
검산
969*1.03= 998.07 -> 998 두캇 (반올림), 정확히 일치.
(단, 시세에 따라 1 두캇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함, 조금 더 확인 필요)

시세 100% 구매 원가를 구하는 이유:
교역 순이익을 따져보기 위해서.

2) 할인 금액
= 구매 원가 * 할인%/100 
= 998*9.5/100 = 94.81 -> 95 두캇 (반올림으로 추정, 올림인지 반올림인지 확인 필요)

3) 관세 금액
= (구매 원가 - 할인)*관세%/100
= (998-95)*20/100 = 180.6 -> 180 두캇 (버림으로 추정됨)

4) 최종 구매 금액
= 구매 원가 + 관세 금액 - 할인 금액 
= 998 + 180 - 95 = 1083 

관세가 0%면 관세 금액이 붙지 않고,
다음 아래에 설명할 판매 공식에 의하여 할인 금액만큼 순이익을 얻을 수 있음.
자세한 설명은 아래 판매 공식 참고 바람.

2. 판매 원가 공식

참고사항: 관세 2%, 할증(언어+스킬) 11.7%, 해당 시세 92%

1) 시세 100%일 때 판매 원가
= 판매 원가/시세(해당시세)*100
= 1822/92*100 = 1980.43 -> 1980 두캇 (반올림) 
검산
969*0.92= 1821.6 -> 1822 두캇 (반올림), 정확히 일치.
(단, 시세에 따라 1 두캇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함, 조금 더 확인 필요)

시세 100% 판매 원가를 구하는 이유:
교역 순이익을 따져보기 위해서.

2) 할증 금액
= 판매 원가 * 할증%/100 
= 1822*11.7/100 = 213.17 -> 213 두캇 (반올림으로 추정, 반올림인지 버림인지 확인 필요)

3) 관세 금액 (순이익)
= (판매 원가 + 할증 금액 - 구매 원가)*관세%/100
= (1822+213-998)*2/100 = 20.74 -> 21 두캇 (반올림으로 추정, 올림인지 반올림인지 확인 필요)

4) 최종 판매 금액
= 판매 원가 + 할증 금액 - 관세 금액 
= 1822 + 213 -21 = 2014

관세가 0%면 관세 금액이 붙지 않고,
언어와 스킬의 효과로 할증 금액이 커질 수록 관세의 영향이 커짐.
관세 금액은 해당 교역품의 구매 원가의 영향을 받음.
구매 원가는 평균값이 적용 될 것으로 예상됨 (확인 필요)

3. 결과
1) 실제 인 게임에서는 라일락 하나 당
= 최종 판매 금액 - 최종 구매 금액 
= 2014 - 1083 = 931 두캇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음

2) 구매, 판매 관세가 0%이며, 언어 및 스킬의 효과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판매 원가 - 구매 원가
= 1822 - 998 = 824 두캇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

3) 관세 0%, 스킬 효과
판매 원가 + 할증 - (구매 원가 - 할인)
= 1822 + 213 - ( 998 - 95 ) = 1132 두캇의 이익을 얻을 수 있음.

4) 관세의 차이.
관세의 차이로  201 두캇의 이익 차이가 발생함. 
931두캇의 약 21.6% 해당하는 큰 금액임.

4. 예시
그렇다면, 만약 장거리 교역 시 금액이 커지면 어떻게 될까?

1) 구매 관세 20%, 할인율(언어+스킬) 10%, 해당 시세 100%, 구매 원가 2000 두캇
= 구매 원가 + 관세 금액 - 할인 금액 
= 2000 + 360- 200 = 2160 두캇

판매 관세 20%, 할증(언어+스킬) 10%, 해당 시세 100%, 판매 원가 10000 두캇
= 판매 원가 + 할증 금액 - 관세 금액 
= 10000 + 1000 - 1800 = 9200 두캇

교역품 하나 당 순 이익금
= 9200 - 2160 = 7040 두캇

2) 구매 관세 0%, 할인율(언어+스킬) 10%, 해당 시세 100%, 구매 원가 2000 두캇
= 구매 원가 - 할인 금액 
= 2000 - 200 = 1800 두캇

판매 관세 0%, 할증(언어+스킬) 10%, 해당 시세 100%, 판매 원가 10000 두캇
= 판매 원가 + 할증 금액
= 10000 + 1000 = 11000

교역품 하나 당 순 이익금
11000 - 1800 = 9200 두캇

3) 부분관세, 보통 구매 관세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므로 구매 관세 20%가 있다고 가정하면,
위와 동일한 조건에서 교역 품 하나 당 순 이익금은 
11000 - 2160 = 8840 두캇 (주로 우리가 겪게 되는 상황)

4) 무관세, 풀관세, 부분관세 비교
무관세 - 풀관세 
= 9200 - 7040 = 2160
무관세 - 부분관세
= 9200 - 8840 = 360
부분관세 - 풀관세 
= 8840 - 7040 = 1800 (즉, 매각항이 중요하다)

매입은 관세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매각 시 20%관세가 있는 항구와 관세가 없는 항구의 차이는
편도 무역 한 번에 25.6%만큼 손해를 본다. 
실제, 관세 20%보다 더 큰 손해를 본다.
1800/7040*100 = 25.5682%

따라서 구매 관세는 무시해도 좋고, 매각 시 관세는 매우 중요.
다시 말하지만 매각항 매우 중요.

5) 예능으로, 무관세구입, 풀관세 매각시...
순 이익금은 7400으로 풀관세와 360 두캇 차이로 미비. 

5. 결론
현재 팁게에 있는 이익금 비교 엑셀표는 (제 글을 포함해서)
모두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오차를 없애기 위한 방편으로 
최종 구매 및 판매 금액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최종 판매 금액을 알기 위해서는 구매 원가까지 알아야하고,
구매 원가는 평균값으로 예상되므로, 모든 항구의 구매원가를 알아야 하며,
항구마다 관세가 다르고, 유저마다 할인 및 할증의 영향을 받는 언어 및 스킬값이 다르므로
아주 정확한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단순 엑셀계산으로는 힘들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그래밍 가능하신 능력자가 계시지 않는다면,
무역 이익금 관련은 거시적으로 보시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제가 이 글을 쓰게 된 계기 중 하나는
특정 품목의 경우 최종 판매 금액 수치는 높은 편이지만
구매시 관세가 붙고, 구매 원가도 높은 편입니다.
상대적으로 어떤 품목의 경우에는 최종 판매 금액 수치는 위 품목보다 낮지만
구매 관세와 구매 원가를 비교해보면 실제 이익금이 조금 더 높더라고요.

이게 500 두캇 정도 차이만 나더라도
유럽~인도 교역을 하는 제 입장에서
1만 두캇 정도에서 500 두캇이면 
약 5%에 해당하는 금액이고,
교역품 적재량개수 만큼 손해를 보는 것과 같고
왕복 시간까지 계산 해 본다면...

그래서 어떤 품목이 진짜로 수익이 높은 걸까? 싶어서 알아보다가 여기까지 왔습니다.
가독성 최악인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작성하는데 3~4시간 정도 걸릴 것 같네요. ( 왜 했지.. ㅠㅠ)


**
추가 계산 결과
판매전략 >>> 구매전략 입니다.
또, 오스만의 경우 인도보다 페르시아쪽 매각단가가 높은 이유가 언어 스킬
아랍어의 존재 때문이며
오스만 유저의 경우에는 술탄을 최대한 빨리 뽑아서  오스만 언어 5렙을 만들어야
교역품을 판매 할 때 확정적으로 1%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습니다.

저의 목표는 술탄을 최대한 빨리 뽑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게 되었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