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인기 전차 위주로 분석하는 블록케이입니다.


최근 소련 정규트리에 쌍열 중전차 트리가 새로 생겨났습니다.

쌍열 중전차를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게 T-150입니다.

7티어는 KV-3겠죠?

T-150 졸업 예정이니 KV-3도 머지 않아 분석하게 되지 않을까 예상해봅니다.



인증부터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제가 비인기 전차들 위주로 타면서 처음부터 손에 잘 맞는 전차는 거의 없었습니다.

최소 100판 이상 타면서 그제서야 익숙해져서 성적이 잘 나오기 시작했던게 대부분이었죠

하지만 T-150은 처음부터 성적이 잘 나왔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T-150의 성능은 중전차로써 매우 충실합니다.

강력한 관통력과 한방, 그리고 안정적인 장갑을 갖췄고

기동력 역시 무난합니다.

저는 KV-85보다 많이 느릴 줄 알았으나

스펙을 살펴보니 T-150이 약간 더 우위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T-150의 최종포 스펙입니다.

상대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위협적인 스펙이죠

은탄 평균 관통 167mm

골탄 평균 관통 219mm


다만 에임이 크고 조준시간이 깁니다.

이는 7티어 숙청이나 병삼이도 마찬가지에요

강하지만 명중이 발목을 잡기 때문에

엄폐 상태에서 미리 풀에임을 만들어놓고 싸워야 하죠


중전차 라인에서의 싸움은

가까운 거리이며 적이 나오는 곳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라인을 몰라서 이상한 곳에 위치한다면

봐야할 곳이 정해져있지 않고 거리 또한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6티어 중전차들 몇기 추려서 비교해보겠습니다.

장전기,조준기,환풍기,전우애에 최종부품 기준



오이 그리고 스샷엔 안나와있지만 병투 다음으로 주포의 한방이 쎕니다.

관통력도 높죠

하지만 복병이 있습니다.

105mm를 사용하는 ARL 44입니다.

T-150의 주포와 성능이 비슷하지만 조금 더 좋습니다.

관통력, 골탄 공격력, 에임의 크기에서 말이죠.

전반적으로 DPM은 거의 다 비슷한 수준이지만

한방 공격력과 관통력의 차이로 인해 T-150이 더 우위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각 7도는 라인전 하기에 충분하죠.


전투가 벌어지는 장면을 머릿속으로 그려보세요

장전이 느리지만 한방이 쎈 전차 vs 장전이 빠르지만 한방이 약한 전차


소련과 영국 전차의 대결구도죠?

장전시간동안 숨는게 기본입니다.

따라서 전투의 흐름은 장전이 느린 전차에게 맞춰집니다.

고개를 안내미는 적을 공격할 순 없으므로

장전이 빠른 전차는 DPM만큼 화력을 내기가 어렵습니다.


뭐 기본 이론은 이렇다는 것이고

실전에서는 장전이 느린 전차도 리스크가 있습니다.

유효타를 제대로 먹이지 못했을 때죠.

이건 골탄 사용으로 극복이 가능하죠

그래서 장전이 느리고 한방이 쎈 전차가 라인전의 주도권을 갖습니다.


장갑의 수준도 100~150mm로 고만고만 합니다만

연구실 스펙을 곧이곧대로 믿으시면 안됩니다.

경사를 반영한 실질 방호력이 아니거든요


T-150의 포탑은 100mm밖에 되지 않지만 포방패 뒤의 장갑과

좌우의 경사가 잘 져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200mm정도의 방호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6티어 중전차들의 포탑 방호력 순위를 매기자면


T-150 > O-I > Churchill VII >나머지 입니다.


내구도는 처칠7이 가장 좋은 960이지만 T-150의 880 내구도와 차이가 크질 않습니다.

76mm주포나 자주포 지근탄 한방 정도.



강하고 단단한 T-150이 생각보다 라인에 빨리 도착합니다.

스펙을 비교해보니 납득할 수 있었죠.

13에 가까운 추중비에 최고속도 35km/h

이는 KV-85보다도 약간 더 좋은 기동력이며

스샷의 전차들 중에서는 중상위권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차체선회는 별로라서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렵습니다.


tanks.gg 로 실제 T-150의 방호력을 살펴보겠습니다.



7티어 깡패 T29를 조우했을 때를 가정

포탑의 좌우 뺨 부분이 도탄을 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정면의 포방패 부분 중 주포 근처는 비어있으므로 100mm의 방호력을 갖습니다.

바로 그 옆은 200mm

포방패 바깥은 녹색으로 표시되죠? 100mm정도입니다.

좌우 경사면을 활용해서 도탄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차체 측면이 90mm로 상당히 두껍습니다.

그래서 역티를 이렇게 여유있게 틀어도 도탄을 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판이 얇아서 금강불괴는 아닙니다.

주포 구경이 90mm보다 큰 상대를 만났을 땐 주의하셔야겠죠?

경사로 인해 차체 뒤쪽이 들리는 지형은 피해야겠습니다.







티타임으로 도탄을 유도할 때입니다.

소련 5~7티어 중전차들의 특징이에요

이거보다 좀 더 틀면 훨씬 안정적입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로는

T-150에게 가장 좋은 상황은 헐다운을 하는 상황일 것 같지만

역티가 가장 좋습니다.

헐다운은 크고 얇은 해치와 100mm부위가 생각보다 넓어서 운에 많이 좌우됩니다.




에이스 영상을 보시면 T-150을 어떻게 타야하는지 감이 잡히실거에요



6탑 방이어도 자신의 전차를 과신하지 않고 라인을 땡깁니다

제대로 숨을 수 있는 위치에 있고 옆에 아군이 최소 한기는 있어야 하죠

+후방 지원








7탑방 불리한 라인전

T-150, KV-2 vs T29, KV-2, VK30.01p, P.43 ter + Chi Ri,P.43 bis


처음에 라인 펴지는 것을 보고 불리함을 인지,

평소보다 뒤로 땡겨서 구축의 엄호를 받으며 싸웁니다.

지형을 활용해서 뺨으로 도탄을 유도합니다.

둘러싸인 상황에서는 화력이 가장 좋은 적부터 공략합니다.







카렐리아

남쪽 후방에 있을 것으로 예상했던 SU-100M1을 북쪽에서 1:1로 만난 상황

목고자를 탄 초보들은 바위나 엄폐물 끼고 싸우는거에 취약하죠







T-150의 가장 취약한 부분을 여실히 깨달을 수 있습니다.



불리하면 아군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라인을 땡기고

티타임이나 역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헐다운을 너무 과대 평가하지마세요.

T-150을 안좋게 평가하신 분들은

어떤 전차를 타더라도 안 좋다 평가할만한 상황을 스스로 만들었으리라 봅니다.

마지막 영상처럼요

만약 KV-1에서 넘어오시는 상황이시라면 자유경험치를 충분히 모아두신 상태에서 넘어오시길 바랍니다.

스톡포,중간포 성능이 별로거든요.


현가장치 + 85mm주포 + 포탑 + 최종포 연구할 자유경험치를 모아서 넘어오세요.




스킬





이큅




그럼 이만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코로나 조심하시고 즐탱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