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력 1 = 현금 1원

위와 같은 가정을 해보자. 
참 싸다. 
공격력 '100' 에 현금 '100 원'이다. 

하지만 공격력 '1 조' 이면 현금 '1조원'이 된다.  
그리고 숫자는 무한대이므로, 
지구를 통째로 살 수 있는 숫자도  
언젠가 나오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 일이 가능할까? 
위의 가정이 '참'이라면 가능할 것이다.  
그럼 어째서 게임사는 저 쉬운 길을 놔두고, 
징징대는 유저를 달래가며 귀찮게 서비스중일까? 

위 가정은 사실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임 유저사이에서만 유효한 착각이다.   
마치 사이비 종교집단 광신도들의 믿음이  
죽기전까지 유효한 것처럼, 어쨌든 섭종전까진 
유효한 그런 착각..    
  

유저는 왜 이런 착각에 빠지게 되었을까?    

게임(pc)행위는 결국, 
컴퓨터를 켜고 의자에 앉아 모니터 픽셀 집합을 바라보며, 
어쨌든 '손가락을 꼼지락'거리는 것이다.  

험난한 모험 끝에 세상을 어둠에 빠뜨린 보스를 무찌르고, 
영웅이 되는 과정이 아무리 힘들어봤자, 이 ' 손가락 꼼지락 ' 미만 잡이다. 

손가락을 꼼지락거리기 위해선, 
때가 되면 밥 처먹어야지, 똥싸야지, 처자야지, 
해야할 일 뒤로 미루고, 인생을 소모해야 한다. 
현실세계의 재화가 소비된다.      

게임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현실세계의 손가락 꼼지락에 사용된 총비용과 
가상세계의 숫자가 대략 비례해지도록(확률적)
게임 논리를 구축하였다.    

그 바람에 게임 유저들의 뇌 속에서 
'가상 숫자 = 현실 재화(꼼지락 비용)' 이라는 
착각이 발생한 것이다.  

누구나 알 수 있는 단순하고, 뻔한 얘기이다.  
이에 기반하지 못한 얘기들은 대부분 사실과 거리가 있다.         
사실 관계가 궁금할 땐, 위의 얘기를 떠올려 보면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 

                         사이비 종교 ( 메이플 게임: 본섭 )
                                      
                    교리 : 숫자는 곧 가치  ( 절대 논리 ) 

             교주:  숫자의 크기와 현금의 크기는 비례하느리라.    
                     믿어라!    

          광신자:  내 숫자는 작아.  현금으로 메꿀까? ㅠㅠ    
                     내 믿음이 작다고 다른 신도들이 비웃어.                       

             교주:  잠깐! 
                     직거래는 안돼. 
 
                     내가 만든 시스템을 이용해줘. 
                     숫자를 단번에 뻥튀기 해주는 큐브도 있고, 
                     파엘도 팔지.  ( 일딴, 현금을 나한테 줘. 일딴.. )
              
 뒤에서 팔짱낀 엄마 : 지랄 염병들 떨고 자빠졌네.               
     (일반인)              

                   엄마: 너 누구야?                                                     
                          ( 뒤집어 쓴 핑크빈 인형을 벗기내며 )

                   교주: 일반인인데요. 
                   엄마: 일반인이 왜 핑크빈 인형을 뒤집어 쓰고 있어? 
                          안 덥냐?  

                   교주: 더운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