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금일은 지난번에 이어 '작살질 자체에 관하여 두번째 이야기'를 해보려고 글을 써봅니다.
지난번에는 최대한 작살질을 할때에 효율성있는 작살질이 무엇인가를 적어 보았습니다. '효율성있는 작살질이라함은', 무작위적인 맹돌과 작살질 난사로 몹을 끌어오는 것이 아닌, 최소한의 맹돌과 걸음무빙을 통한 작살이 효율성 있는 작살질임을 적었습니다.
금일도 겹치는 부분도 있겠지만, 작살질의 다른 이야기도 적어서 '작살질 자체에 관한' 고민과 방향? 성장?이 있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몇가지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난번 글에서 많은 작살분들이 하는 비효율성있는 작살에 관한 짧은 영상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0CiaL3GzGQ






어떻습니까? 위에 몹들을 데려오는데 너무 오래 걸리진 않나요? 작살질에서 '맹돌이나 걸음을 통한 무빙'이 얼만큼 중요한지 같이 고민해봤으면 합니다. 
혹시 제가 평소에 보업팟하는 작살질무빙을 보고 싶으시다면, 지난번 글 '댓글에 올려놓은 주소'를 통해 영상을 보면서 비교해 보는것도 좋을듯 합니다.
그럼 오늘 글 쓰고자 하는 내용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작살질에 필요한 몇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정확성
두번째는, 속도
세번째는, 우선순위
네번째는, 무빙
이렇게 오늘 4가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확성
작살질에서 정확성 이라 함은, 쉽게 정확도를 이야기 할수 있는데요. 작살질은 그냥 마구 작살질을 해도 대부분은 문제가 되질 않는데, 몇가지 부분에서는 부정확도가 생기기 때문에 그 몇가지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 작살질은 기본적으로 직선 코스로 작살질입니다. 이말은 작살했을때 몹(들)은 정확하게 작살자의 직선코스로 몹이 끌어진다는 점입니다. 그러기 때문에 맵에 있는 바위 기둥 모서리 좁은길 등등의 부분들에서는 작살질을 해도 몹이 직선코스인 작살자에게 끌어지지 않는 다는 점입니다.

예를들어,





https://www.youtube.com/watch?v=O9Xik93r6Qo

(20초에서 50초정도 구간 보시면 위의 그림과 같은 장면이 나옵니다. 38초쯤보면 작살질 하러 갔을떄 앞에 몹을 땡기고 올라가서 다른몹을 이동시키는데 이것은 밑에글 2-3)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런경우가 중요한 이유가 또 있습니다. 그것은 작살했을때 몹(들)이 앞에 어떠한 방해되는 무엇이 없어야 어그로도 잘먹고 잘 따라 온다는 점입니다. 때론 방해가좀 되어도 잘 따라오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의외로 많기 때문에. 방해가 없는 곳에 일단 작살질을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런 경우에야 몹들이 그 후에 작살질이 안되어도 잘 따라올수 있게 됩니다. 즉 몹이 작살자의 방향으로 오는 길을 뚫어 줘야 하는 것입니다. 오는 길에 걸림돌이 전혀 없도록이요.
두번째 파란지점에 몹을 작살질 해놔야 그 밑으로 편하게 몹이 어그로 되어 따라 옵니다. 두번째 지점이 아니더라도 몹에 따라 잘 오는 경우도 없진 않지만 가능하면 저런식의 작살질을 해놓으면 비교적 자연스럽게? 쉽게 따라 오기 때문에 다른 곳에 작살질을 하러 가더라도 이 몹들은 스스로 알아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좀더 효과적일수 있겠지요?

2) 속도
여기서 속도라함은 무빙이나 정확도 우선순위 개념과도 약간은 겹치지만 이해도를 위해 굳이?^^ 분류해봤습니다. 
속도는 어떻게 하면 몹이 좀더 빨리 끌어올수 있느냐? 데리고 올수 있느냐?가 되겠습니다.
속도에서 먼저 중요한 것은,
2-1) 작살질2회를 생각해 볼수 있습니다.


1번 작살질을 한다음 맹돌로 다음지점으로 간다음 2번 작살질을 하는 방식이죠. 아주 평범한 방식입니다.

2-2) 맵포인트에 자리를 잡았을시, 먼저는 그 주위에 몹들을 빠르게 먼저 붙입니다. 그러면 다른3분이서 그 몹들을 가지고 딜을 하겠지요. 그리고 나서 그 외에 먼 거리의 몹들을 작살질 합니다. 처음부터 먼거리의 몹들을 작살질 하면, 처음 자리잡았을때 딜러들이 딜을할 몹들의 양이 너무 적기 때문에 처음에는 근처 몹을 빠르게 붙이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2-3) 몹들이 오는 경로를 깨끗하게 하라.
이 말은 위에 쓴 몇문장과도 겹치기도 하는데요. 작살질을 해도 앞에 몹들이 많으면 그 몹들에 걸려서 몹이 자연스럽게 빠르게 못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도 항상 그렇지는 않아요 그럼에도 이렇게 말하는 것은, 이런 경우도 많이 있고 또한 좁은 길 같은 경우는 거의 필수있기 때문에 평상시 이런부분을 고려해서 작살질을 하면 좋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아주 당연한 것이기도 한데요, 그래서 가능하면 주위몹먼저 작살질하고 그다음 넓혀서 작살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좁은 통로 같은 경우도 뒤에 몹을 애써 작살질 하는 것보다 앞에 있는 몹을 작살질 해서 빼내야 뒤에 몹들이 쉽게 온다는 점.
경로가 깨끗하면 작살질 한 후 몹들이 어느정도 거리까지 알아서도 잘 오는 경우가 많다는점.

3. 우선순위
1) 정예를 최대한 붙여라.
만약 맵포인트 첫 자리를 잡았는데, 정예를 충분히 딸수 있는 상황이라면, 거리가 멀더라도 정예를 최대한 붙이면 좋습니다. 그랬을 경우 그다음 포인트가서 대부분의 정예를 잡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는 특히 넓은 맵포인트를 가면 자리를 잡고 그다음 주위 몹들을 빠르게 붙여놓은다음 동시에 근처 정예를 붙여놓은 다음, 빠르게 멀리 이동해서 최대한 정예를 다 붙입니다. 그리고 나서 나머지 몹들을 붙입니다.
1-1) 주위몹 붙인다 1-2) 정예를 최대한 붙인다 1-3) 나머지 몹들을 많이?붙인다.
제글중에 '맵포인트'에 관한 글이 따로 있는데. 참조하면 좋을듯 합니다. 항상 그런것은 아니지만, 저같은 경우 거의 보통 그런 맵을 시작해서 첫 포인트에서 3-4부대는 붙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거의 그 다음 포인트에서는 다 잡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소환하는 몹이 있다면 가능하면 먼저 빠르게 자리잡은 포인트 주위에 붙여주어라.

4. 무빙
겹치기도 하고 첨가는 지난글 참조요


--------------------------
초반에 열심히 쓰다가 중반부터 힘들어서 빨리 마무리 하고 싶다는 생각에 중반부턴 대충. 이해좀^^
금일은 여기까지^^ 수고들하세요
지난번 글에 호응이 넘 없어서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