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 https://www.inven.co.kr/board/diablo4/6029/20264

개요
지난 글에서 최종이라고 제목을 붙여서 올렸는데요, 빌드 깎는데에는 최종이란게 없더군요 ㅠㅠ...
저번 빌드 소개 글에서는 보스전에서 분노 수급하기가 다소 어려워서 이번에는 기본 공격을 채용했습니다.
기본 공격을 채용했더니 100단도 마치 저단 도는 것처럼 돌 수 있더군요...!
아무래도 기본 공격을 이용해서 분노 수급을 하다보니 별빛 위상이 필요 없어졌습니다.
그리고 많은 부분이 바뀌어서 저번 글을 보셨던 분들께서는 꼭 참고해주셨으면 좋겠네요.
그럼 바로 시작하겠습니다.

영상
자비의 손길 100단

울두르의 동굴 100단

세팅


기술 트리 소개
각 기술 카테고리마다 해설을 달아 놓았으니 링크된 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직접 확인해보시면서 해설을 보시면 됩니다.

  1. 기본 기술
      - 이동기와 광폭화를 사용하기 위해서 달려들기를 채용하였습니다.
      - 광분 등 다른 기본 기술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2. 핵심스킬
      -  맹렬한 이중타격을 찍어서 광폭화를 유지합니다.

  3. 방어 기술
      - 저번 글과 달라진 게 없습니다.
      - 발구르기, 철갑 피부를 채용했고, 미친 존재감, 전투의 원기를 채용했습니다.
      - 취향에 따라서 발구르기를 다른 난투스킬로 바꿀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만
      - 그래도 발구르기가 방어적 측면에서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 난투 기술
      - 이 빌드에서 이속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이속이 중요하죠~)
      - 이속에 2 포인트 투자했습니다.
      - 광폭화 유지하면서 피감과 분노 생성량 증가를 위해 공격적인 저항, 왕성한 분노를 채용합니다.

  5. 무기 숙련 기술
      - 파열에서는 전사의 파열을 사용함으로써 공속을 부스팅할 수 있습니다.
      - 파열을 꼭 채용해야 하느냐라고 물으시면 아닌것 같으면서도 해야하는 것 같기도 합니다.
      - 부츠의 위상이 무기 전문가(무기 숙련 기술의 충전횟수 +1, 행운의 적중으로 스턴)이기 때문에 파열과 강손을 이용해서 스턴도 자주 걸 수 있고요, 파열의 폭발데미지와 이발사의 시너지도 무시할 수 없죠.
      - 파열말고 다른 스킬을 사용하시려는 분은 따로 연구를 해보셔서 바꾸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무력화 3 포인트는 제 생각에는 필수인 거 같아요.
      -  무력화를 안 찍으면 강손을 썼을 때, 몹이 계속 퍼지려고 하거든요.
      -  그렇게 되면 범위가 좁은 파열이나 이중타격을 쓰기 불편해 지기 때문에 무력화에 3 포인트를 찍었습니다.
      -  딜은 문제가 없기 때문에 보강 피감을 챙겨주었습니다.

  6. 궁극기
      -  기본 공격을 채용하면서 광전사의 진노는 빼버렸습니다.
      -  일단 저는 둔기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뇌진탕을 찍지 않았지만 맹공, 뇌진탕을 선호하시는 분들은 무기 숙련 기술에서 보강 피감, 난투 기술에서 이속을 빼서 맹공, 뇌진탕을 찍으시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결투사 3 포인트는 필수이고 안정성을 위해 분노 소모시에 체력 회복하는 원기의 분노를 채용하였습니다.

  7. 핵심 지속 효과
      -  솟구치는 격노를 채용했습니다.
      -  피뿜을 찍으시는 분들도 계시던데 저는 딜체감이 많이 낮아져서 그냥 솟구치는 격노를 사용합니다.

아이템 소개
방어구

- 특이할 만한 점은 신출귀몰한 위상을 채용했다는 점인데요, 아무래도 저지불가 스킬이 하나밖에 없어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신출 귀몰이 마음에 안 드신다면 빈혈의 위상 추천드립니다.

무기

- 식칼을 채용한 이유는 보스 그로기를 빠르게 보기 위함이었습니다.
- 지난 글에서는 기본 공격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보스전에서 분노 수급이 쉽지 않았었는데요,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 하지만 기본 공격을 사용하는 만큼 식칼을 다른 무기로 바꾸셔도 무방합니다.
- 식칼을 푸른서슬로 바꾸면 공속이 빨라지고 재미있어지며 정신 없어집니다.
- 식칼을 푸른서슬로 바꾸세요. 훨씬 셉니다.
- 한손 무기의 위상도 포풍검 위상이 아닌 다른 위상으로 교체하실 수 있습니다.
- 후보로는 무한한 분노의 위상, 검의 달인, 지진 공격 등이 있겠네요.

장신구

- 기본 공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분노 수급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분노 수급 위상을 2개에서 1개로 줄여버렸습니다.
- 그리고 나머지 한 위상을 포풍검 중 하나인 칼바람 위상으로 대체했죠.
- 분노 수급 위상은 맹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 목걸이의 옵션은 저렇게 사용하셔도 되고 총 방어도 대신 각종 피감류를 선택하셔도 됩니다.
- 제 생각엔 저지 불가 스킬이 철갑피부 하나 밖에 없다는 점 때문에 재감이 꼭 필요해 보이지만... 총 방어도를 재감으로 바꿔도 좋을 거 같네요.

정복자 소개
- 정복자 시뮬레이터 링크: https://diablo4.inven.co.kr/db/paragon/31829
- 정복자에서 중요시 한 점은 역시나 방어입니다.
- 최종적으로 사용된 문양은 진노, 착취, 양손잡이, 무기전문가, 세력권, 울화입니다.
- 전쟁인도자에서 왜 화염저항력과 보강 공격력을 찍었느냐고 물으실 거 같은데, 일단 정복자 포인트가 남습니다!
- 그리고 저는 화염 저항력이 부족하고 보강 재생량을 좀 증가시키면 보강을 좀 더 유지시킬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찍었습니다.
- 따라서 이 부분은 취향껏 다시 찍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사실 정복자는 다 취향껏 찍으면 되는 부분이라 자유롭긴 하지만서도 아쉽게도 제 생각에는 사용된 어느 보드도 대체될 수 있는 보드가 없어보이네요 ㅠㅠ...
- 하지만 문양 세력권은 의연함으로 대체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마음대로 고르시면 될 거 같아요.
- 세력권을 의연함으로 바꾸시면 당연히 보드도 거기에 맞게 다시 찍어주셔야 합니다.

첨언
- 교전을 시작하실 때는 달려들기를 사용하시고 싸우시면 됩니다.
- 위급할 때에 발구르기나 철갑피부를 사용해주세요.
- 특히 철갑피부를 잘 사용하셔야 하는데 군중 제어 상태시에 철갑 피부를 사용해서 적절히 풀어주세요.
- 한손 무기를 모두 둔기로 교체하실 수 있습니다.
- 저는 이미 넘어뜨리는 심장이 잘 작동되어서 굳이 스턴이 필요한가 싶더라구요
- 이 부분은 취향에 따라 다른 것이니 각자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