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5개 제한이라, 영상을 많이 넣었습니다.

전반


후반

(il481, 제작무기, 엑스쟈까지만 금단)
마지막 버스트에 천체강하를 빠르게 사용하지 않아 보스 킬 직전 천체강하를 1회 손해봤습니다.
최대한 자원은 다 털어낸 상태로 레이드가 끝나는게 좋습니다.





평타 = 물뎀
Double Slap(탱버) = 물뎀

전투기도는 -4초~3초에 사용하면, 마지막 기믹에서 파티원이 산개하기 전 두번째 전투기도를 사용할 수 있고,
후반전 시작할때 사용하는 전투기도를 다른 버프스킬들과 최대한 겹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거울은 적대목록에 캐스팅 바가 있어서 
장판기믹이든 석화기믹이든 넉백기믹이든 미리 보고 대처가 가능합니다. 
다만 레이드 도중 죽으면 적대목록이 안보이기도 합니다.

그 외 여러가지 팁


1. 

징은 편한대로 찍으면 되는데, 영상처럼 찍었을때 기준으로 4번, 1번징의 중심방향 꼭지점까지가 Driving의 안전지대입니다. Biting은 Driving보다 안전지대가 중앙에 더 가깝게 나옵니다. (아래 영상 참고)

Biting땐 어차피 안전지대가 중앙에 가깝게 나오니, Driving때 보스를 조금이라도 일찍 치려면
처음부터 주차를 중앙보다 살짝 윗쪽으로 하면 좋습니다.




그래서 근딜 두명이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고 
탱커가 대각방향으로 보스를 끌고오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탱커분들은 아래에 두 영상을 참고하시면 이해하기 더 쉬울겁니다.

Driving 주차


Biting 주차




탱커가 한대 더 치려다가 보스가 늦게 끌려올 때
억지로 치려다가 기믹맞으면 뎀감이 너무 크니까 1글쿨 포기하는게 더 낫습니다.




2. 
DD 처리.
저는 공명 초반주차에 영구정지 공대에서 사용한 방법을 썼고, 방향만 조금 바꿨습니다. 

여러가지 처리법이 있지만 제가 전부 해본것은 아니기에 뭐가 더 좋다 나쁘다 평가할 입장은 아닌것 같고
제가 사용한 방법에 대해서만 예시로 말해볼 생각입니다.






위의 징은 어디까지나 제가 처리했던 방법일 뿐입니다.
바깥쪽 경계선이 있어서 장판 버릴 위치는 1,2,3,4 징이 없어도 파악하기가 쉬우니까, 
ABCD를 외부에, 1234를 내부에 찍으셔도 됩니다. 


DD에서 탱커는 1번, 힐러는 2번, 딜러는 3,4번에 장판을 깔았고,
4번은 D4, 3번은 D1 고정하고, D2 D3이 유동적으로 움직였습니다.

빛폭에서도 기둥이 1,2,3,4번 방향에 나오는데
이때도 1=탱커 2=힐러 3,4=딜러로 처리했습니다. 

힐러가 C에서 파트너힐러 구출, 파티원 모두가 거리유지/견고마 사용하여 
플레어를 탱커 A 힐러 C 에서 처리하고,
징 대상자가 아닌 딜러 두명에게 오는 3연장판은 D에서 B로 처리했습니다.

이후
만약 앞선 기믹이 Biting이었다면 캐스터들 편의를 위해 보스 머리를 45도 돌리고,
앞선 기믹이 Driving이었다면 그대로 뒀습니다.

보스가 넉백 캐스팅을 시전하면 교란 앙갚음을 넣으면 되고,
유격대, 탱커 외생기 + 보호막 사용했습니다.


용기사 시점 DD 참고영상


학자 시점 DD 구출받는 경우 참고영상 



3.
석화 시선처리 팁은 3층 게시글 마인드잭 처리방법과 같습니다.
후반전 석화때도 유용하니까 알아두시면 좋아요.

대신 그때도 말했듯이 이 방법은
글쿨치는 순간에는 보스방향으로 잠깐 시선이 돌아가니까
이 때 보스방향으로 돌아간 시선을 최대한 빠르게 피하는 방법일 뿐이지, 바깥쪽을 보면서 보스를 치는것이 아닙니다.

글쿨로 시선이 잠깐 보스방향으로 향하는 타이밍과 석화 판정이 겹치면 처리가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빨간 원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고도 대략적으로 석화가 얼마나 남았는지 판단이 가능합니다.
저 부분이 다 돌면 1~1.5초정도 후에 석화판정입니다.



4.
빛폭 아야토리 처리법

세세한 부분까지 알아야 근딜들이 글쿨 손해가 없습니다.

대충대충 하면
같은 방향에 근딜이 두명인 경우 (탱커-근딜, 근딜-근딜)
사고가 나거나, 한명이 양보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바닥 문양을 보고 징을 활용하셔도 괜찮으니 아래 그림대로 해주시면 됩니다.





두번째 기둥은 무조건 12시와 6시에 생성되니까,

구슬 대상자들이 12시, 6시에서 출발한 경우와
3시 9시에 출발한 경우가 기둥의 왼쪽에서 처리하는지 오른쪽에서 처리하는지를 결정하는데
미세하게 처리하는 느낌이 다릅니다.

핵심은 까지 구슬을 끌고 와서 한바퀴 돌린 후 부딪히는겁니다.

그러려면 기둥 대상자들이 두번째 어스 유도를 살짝 여유있게 해줘야 합니다. 
그림에서 보라색 원으로 표시한 부분에서 최대한 칼끝딜을 하여 
구슬 대상자들이 구슬을 터뜨린 후에 어스 유도하러 붙어주세요.
급하게 보스방향으로 붙다가는 터지는 구슬에 휩쓸리기 쉽습니다.

반대로 구슬 대상자들도
기둥 대상자들이 어느 정도까지 기다려 줄 수 있는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구슬이 작아지면 되도록 빨리 부딪혀야 이후 어스 유도를 매끄럽게 할 수 있습니다.



영상에선 구슬 드리블하면서 점프 하는 경우도 나오는데, 해보니까 사고가 많이 나서

어차피 2분 50초 이전에만 사용하면 사용횟수에는 변함이 없으니
구슬대상자든 기둥대상자든 약간 미뤄서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5.
석화 이후 체리엇이 먼저 나오면, 이후에는 다이나모가 나오니까 
보스를 12시 or 1시 중 거울이 나오는 쪽으로 주차해서 근딜과 탱커 업타임을 챙기는 방법이 있습니다. 



참고로 영상에선 실수로 전투기도를 늦게 사용했는데
가능하다면 쿨이 오자마자 바로 사용해야 후반전에 정렬이 깔끔하게 됩니다. 
용의 시선도 같이 이동하는 근딜에게 주면 되구요.

쉐어징이 아닌 개인징이라면 탱커든 딜러든 정해서 한명이 내려가주면 됩니다. 
보스 머리는 고정이라 딜러가 내려가는 편이 좋을거에요.


두번째 기믹이 체리엇인 경우 
전투기도, 전장, 에기의 가호 등 버프를 파티원 전부 받을 수 있게 
한쪽방향으로 이동하는게 좋습니다. 





6.
쫄페는 왼쪽과 오른쪽이 순서만 다르고 나오는 조합은 똑같습니다.

1. 번개 번개 물
2. 땅
3. 땅 물
4. 번개 번개

순서는 
왼쪽 1-2-3-4
오른쪽 3-4-1-2

번개쫄은 나오고 일정시간이 지나면 데미지 반사 버프가 생기며
어떤 데미지가 들어오든 약 11000~12000 고정으로 반사하는 것 같습니다.

히트수만큼 데미지가 들어오니
예를들어 닌자의 몽환삼단같은 스킬은 11000~12000 데미지가 3번 반사됩니다.
이런 스킬들을 사용할땐 최대한 빨리 사용하거나 아껴두는편이 좋습니다.

순서만 다르지만 의외로 캐릭터마다 더 편한 곳이 정해져 있는것 같습니다. 
어느쪽으로 들어가느냐에 따라 후반전에 본인 캐릭터가 보스 왼쪽인지 오른쪽인지 달라집니다. 


줄 순서는 예시로 힐-탱-딜-딜 (원딜>근딜 순서) 이런식으로 아무렇게나 정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마지막 줄 디버프 시간 34초에 행동불가가 됩니다.

이걸 이용해서 닌자 유저들은 34초에 풍둔을 사용하면 좋고,
점성술사도 디버프 시간을 보면서 씰을 모아두거나 카드를 미리 뽑아두면 좋습니다.


쫄페에 나오는 광역 데미지는 각성 1층의 차원전환처럼 
최대체력 %데미지입니다.



7.

아크몬-몬아파 기믹에서

아크몬은 1,2어글에게 따로 떨어지고, 반대쪽 아크몬 저항감소가 붙습니다.
이때 탱커가 기피를 사용해서 3어글 아래로 떨어지면 아크몬이 이상하게 튈 수 있으니 조심하시고
이 타이밍에 도발하다가 아크몬 시전 후 1,2어글자가 뒤바뀌면 저항감소 붙은 아크몬을 맞아서 전멸하니까
어글관리를 미리 해놔야합니다.


후반전 시작하자마자 나오는 첫 아크몬(3)-몬아파는
쫄페 좌우 나뉜 4명 / 4명대로 맞는게 캐스터들이 최단거리로 위치할 수 있어서 편합니다.

두번째 아크몬(4)-몬아파는 근딜들이 측후방을 보너스를 편하게 챙기기 위해 
멘탱-힐러-원딜-원딜
섭탱-힐러-근딜-근딜로 짝을 이루면 좋습니다.


영상은 아래 참고하시면 됩니다.



첫 아크라이때는 머리가 돌아가니까 후방을 잡을 수 있고
두번째 아크라이때는 머리 고정인 상태라 측면만 잡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처음에 주차가 이상하게 되서 12시방향이 후방이라고 해도, 
아크라이 빼고 9시로만 오면 되니까 출발지점은 아무데서나 하셔도 됩니다. 
아크몬을 맞기 전에만 4/4로 뭉쳐있으면 되서,

캐스터나 힐러들은 바깥에서 아크라이 장판 두번 뺀 후 
본인이 맞는 위치로 도착하기만 하면 됩니다.



8.
미러미러1 (1/4안전지대 장판)

거울이 보스기믹을 복사해서 사용하는데,
무색 > 초록 > 빨강 순서로 사용하며,
처음에 시전한 절반장판만 복사합니다.

순서는
1. 보스+무색거울 - 안전지대가 1/4
2. 초록거울 - 안전지대 1/2
3. 보스(1번과 반대쪽)+빨간거울 - 안전지대 1/4

모든 거울은 처음에 시전한 장판 방향만 복사하는거라,
세번째 거울인 빨간거울은 이 타이밍에 보스가 시전하는 방향쪽의 절반이 아니라,
처음 시전한 방향쪽의 절반을 시전하는겁니다.

보스 머리는 12시 6시 랜덤이며
거울의 시선은 중앙 방향을 바라보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3시쪽 거울은 9시를, 
9시쪽 거울은 3시를
12시쪽 거울(초록색)은 6시를 보고있는것.


규칙은
3시 9시에는 무색,빨간색 거울이 랜덤이고
12시엔 무조건 초록색 거울이 나옵니다.

보스가 12시를 볼지, 6시를 볼지만 랜덤인데

6시를 바라보면, 초록색 거울과 시선방향이 나란하다는 것이니까
두번째 기믹은 첫번째 기믹을 피한 자리에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반대로 12시를 바라보면, 초록색 거울과 시선방향이 반대라는 거니까
첫 기믹을 피하고 반대편으로 바로 이동해야합니다. (왼쪽>오른쪽 혹은 오른쪽>왼쪽)

무색거울과 빨간색거울은 항상 3시 9시 이렇게 반대편에 나오니 두 거울은 시선이 정 반대 방향입니다.
복사하는 기믹은 같은데, 시선이 반대니까 첫 기믹과 세번째 기믹은 무조건 위>아래 혹은 아래>위로 움직여야 합니다.


결론은 
경로를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기믹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보스가 12시 방향을 보면 안전지대에서 첫번째 기믹을 피하자마자 대각방향으로 이동하고,
6시 방향을 보면 안전지대에서 두번째 기믹까지 피하고 대각방향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공식처럼 공략이 풀리기도 했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무색거울이 왼쪽에 뜨면 첫 안전지대에서 시계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
-오른쪽에 뜨면 첫 안전지대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

대신 이 말을 처음 접하는 입장에선 안전지대가 무조건 1/4씩 생긴다고 오해하기가 쉬워서 보스 정면에 위치할 때 진북을 낭비할 수 있는데,

두번째로 오는 기믹(초록색 거울)은 안전지대가 맵 절반으로 생기니까
기믹에 익숙해졌다면 이 타이밍에는 진북을 낭비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9.
미러미러2 (넉백)

초록,빨간거울 방향은 3시 9시중 랜덤이고
보스는 12시나 6시중 무작위 방향으로 뜁니다.
보스 뛰는 방향은 유도가 가능할 줄 알아서 주차 위치 바꿔봤는데도 랜덤이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아서식으로 처리하면 정말 편한데, 사용 타이밍이 문제입니다.

그 전에, 
투사 거리유지와 마법사 견고마는 판정이 다르단 걸 알아두면 좋습니다.

거리유지는 사용하면 약간의 딜레이 후 버프적용,
견고마는 사용즉시 버프적용이라서

거리유지는 좀 일찍 켜도 두번째 넉백까지 막아주지만
견고마는 일찍 켜면 두번째 넉백 전에 버프가 꺼질 수 있고

반대로 견고마는 조금 늦게 켜도 첫 넉백이 막아지지만,
거리유지는 조금 늦게 켜면 첫 넉백때 날아갈 수가 있습니다.

보통 보스가 12, 6시중 한 방향으로 점프 후 전방180도 공격을 사용하고
온탱 쪽으로 머리가 돌아갈 때 넉백방지를 쓰라고 하는데

만약 파티원중 머리 돌아감과 동시에 견고마를 썼는데 
두번째 넉백에 날아간다는 캐스터 유저분이 있으면
머리 돌아가고 조금 뒤에 눌러보라고 말해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거리유지는 체감상 캐스팅 75~80%에 사용하면 되는것 같았습니다.

근딜들은 조금씩 칼을 떼야하는 기믹들이 있어서, 
매 판 글쿨이 초 단위로 동일하게 굴러가진 않을거라
가끔은 글쿨-거리유지-글쿨로 깔끔하게 맞아떨어지지만, 그렇지 않을때도 있을겁니다.
그럴땐 글쿨밀림은 감안하고 거리유지를 켜주세요. 


보스 뛰는 타이밍이 후반전 2:50쯤인데
닌자는 수둔술, 몽크 사무는 돌진기를 아껴놨다 사용하면 되지만,
용기사는 보통 이 타이밍에 척추강타, 화룡강타가 없습니다.

그래서 교점으로 붙어야 하는데 뛰는 방향이 랜덤인 만큼 
카메라를 잘 돌려야합니다. 


참고영상



10.
미러미러3 (석화)
무색 거울이 양 끝에 두개 생성되고
초록색 거울은 X방향으로 4개,
빨간색 거울은 무색거울의 90도 방향에 한개씩 총 2개가 생깁니다.



제 기억으론 이때 무색거울과 빨간색 거울은 위치가 바뀌어 나오기도 합니다.



석화 순서는
1. 보스+무색거울 두개 (시선처리는 보스의 오른쪽 왼쪽방향으로)
2. 초록색 거울 네개
3. 빨간색 거울 두개



보스가 무색거울-중앙 사이에 나란하게 주차가 되면,
빨간 번호로 표시한 
1번, 보스 후방 최대한 붙은 곳에서 글쿨 치면서 초록색 거울 석화를 피할 수 있고
2번, 파란색 경계선에 걸친곳에서 글쿨 치면서 빨간색 거울 석화가 피해집니다. 

빨간 거울 석화와 비슷한 타이밍에 거리감쇠 장판이 오는데

중앙에서 시작하는 거리감쇠는 파란색 경계선위에서 최소딜을 받을 수 있으니
주차만 잘 되있다면 위에서 말한 2번위치에서 보스딜 + 거리감쇠 + 시선처리가 전부 가능합니다.

반대로 바깥에서 시작하는 거리감쇠는 중앙에서 어느정도 멀어지면 즉사급으로 데미지가 들어오니까
이 경우에 보스가 조금 외곽으로 주차됐다 싶으면 근딜들은 글쿨 어느정도 포기하는게 안전합니다.

개인 보호막(마배리어, 잔영)이 있다면 최대한 사용하는 방향으로,
2캐스터면 남는 정신교란을 여기에 넣어도 좋을것 같습니다.

석화 걸리면 이후 나오는 다이나모 체리엇기믹을 피하지 못하니까 
무조건 피해야합니다. 


3번 장소는 보스 주차위치의 정 반대편 경계선인데
이곳에 캐스터나 힐러가 미리 가있으면

석화처리는 알아서 한다는 가정하에
이후 나오는 다이나모-체리엇 기믹 순서 상관없이 말뚝만 해도 처리가 됩니다.
힐업에 문제가 없는 선에서 고려해보면 좋을것 같아요.




11.
용시(Icelit Dragonsong)

근딜과 탱커 모두 업타임을 챙길 수 있는 방법입니다. 
12시 방향에 탱커 안전지대가 생기지 않아서, 6시로 탱커가 이동해줘야 합니다.

이때 나오는 넉백은 거리유지가 먹히지 않아서
탱커들이 넉백과 동시에 돌진으로 바로 붙어야 합니다.
탱커가 실패하면 전멸이라서 트라이단계에선 추천하지 않습니다.


과중력 디버프 "7초"에 첫번째 장판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전력질주는 디버프 10초 아래에서 사용해야합니다.

전력질주가 없어도 기믹처리는 되지만 장판에서 최단거리로 나가야하는데,
일직선으로 나가지 않고 이곳저곳으로 경로를 꺾어버리면 최단거리가 아니게 되니까 
장판에 맞을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이후 중앙 기둥에 들어가는데 문제가 생길수도 있어서
웬만하면 전질은 아꼈다가 과중력 디버프 10초 아래에 사용해주세요.




위 영상에 나온 방법 외에 탱커를 얼리면서 어느정도 업타임을 챙길 수 있는 방법은
장판만 외곽 1,2,3,4번에 깔아주고 나머지는 동일하게 처리하면 되는데

탱커들이 빙결 풀리고 쉐어or개인기믹을 처리하기까지 2~3초정도의 시간밖에 없어서
빠르게 자리를 비워줘야 가능합니다.

이 처리방법대로면, 용기사는 이 타이밍에 돌진기 두개가 필요한데
천체강하, 교점, 척추강타를 잘 활용해야합니다.

천체강하를 사용한다면 필각 타이밍과 어긋나는걸 감안하셔야 하고
척추강타를 사용하려면 후반전 오프닝부터 쿨을 최대한 미루지말고 바로바로 사용해야만 
넉백때 척추강타를 들고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장판을 버릴때 힐러들이 중앙으로 들어오는 경로를 막지않도록 신경써주셔야 합니다.



12.
미끄러지는 바닥은 교점이나 돌진기를 활용할 수 있다는것만 알아두시면 됩니다.

13.
제일 마지막에 오는 디버프 + 아크몬아파(5,6,7) 기믹은
탱커 빨간디버프, 힐러 파란디버프 고정이고
탱커,힐러가 딜러보다 먼저 기믹처리를 하게됩니다.


14.
아래 영상처럼 전반전은 보스몹 뒤 가까이에 붙어서 시작할 수 있지만,


전투시작 전에 사용하는 전투기도를 받게끔 하려면 모든 파티원이 보스몹 뒤로 이동해줘야 합니다.
반대로 닌자는 이렇게하면 토둔술 사용이 어려워지니 조율이 필요합니다.




15.
버프 타이밍은
전반 
-3 ~ -4초 전투기도, 이후 쿨이돌자마자 바로 사용, 
2분버프는 바로 사용해도 되고, 아꼈다가 2:50 이후 사용해도 되지만 
트라이단계에선 되도록 3분 버프 타이밍(묘수, 전투기도, 전장)에 맞춰서 최대한 버프를 겹쳐 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전반전은 3:20~21초에 보스가 올라가니까,
마지막 붉은용혈은 적어도 2:50 이전에는 들어가야 게이르스코굴 사용횟수에서 이득이고,
점프스킬도 최대한 사용하려면 2:50이전에는 꼭 사용해주세요.

쫄페이즈에서 모은 환영강타 스택을 후반전에 가져갈 방법은 없습니다.



후반전은 전투시간이 약 8분10초쯤 되는데,
2분스킬을 정말 칼같이 사용하는게 아닌 이상 마지막엔 못쓰니까 4번만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게 편합니다.

정렬 방법은 대충 두개로 생각할 수 있는데

(1)
90초 0 1:30 3:00 4:30 6:00 7:30
2분 0 2:00 4:00 6:00
3분 0 3:00 6:00

(2)
90초 0 1:30 3:00 4:30 6:00 7:30
2분 0 3:00 5:00 7:30
3분 0 3:00 7:30
 
(2)번 방법으로 사용하는게 세 버프가 겹치는 횟수가 많아서 기대값은 높겠죠.
붉은용혈은 30초 단위로 타이밍을 늦출 수 있으니까 조절하기도 쉽구요.

- 20.9.5 추가
오래되서 기억이 안났는데, 최근 용기사로 4층 해 본 결과
후반전 5분대는 용시 타이밍이라 버스트가 힘들 수 있습니다. 

용혈 타이밍을 잘 조절하여 5:30에 버스트를 하거나,
쉽게 0 2 4 7:30 하시는걸 추천해요.


3분대는 미러미러(넉백) 타이밍이고

7:30은 아크몬(7)-몬아파 직후 입니다.
이때가 모든 파티원이 40초동안 딜만 할 수 있는 타이밍이라 
가능하다면 7:30초에 모든 버프+탕약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