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닝월드




직업 선택 매뉴얼


안녕하세요.. 버닝서버가 나올때마다 버닝서버를 즐기는 평범한 유저입니다..
나름 경험이 있고 버닝서버에 애정이 있기에 직업선택에 대하여 제가 생각하고 있는것들을 말씀드리면 직업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되실것같아 글을 끄적여봤습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니 아 저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구나... 하고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주의사항:


버닝서버에서 육성할 때, 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굉장히 많습니다.


그런 수 많은 고려사항중 링크, 유니온이 필요한 캐릭 육성같은 강제되는 육성 이유를 철저히 배재시키고, "전 직업을 똑 같은 위치선상에 두고 버닝에서 한동안 육성을 하실분들의 직업을 고르는데 도움을 드리고자 작성한 글" 이 바로 이 글입니다.


그리고 자본이 넘쳐나는 육성보단 "전지적 무자본 관점"에서 글을 작성해 보았음을 먼저 밝힙니다!


버닝에서 지속적인 육성을 하며 한동안 버닝섭에 머무른다고 가정을 한다면,

직업선택에 중요하게 작용하는건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첫 번째가 사냥, 두 번째가 보스입니다.

그리고 잡다한 기타사항들 정도..?







사냥 part




, “사냥파트입니다..



앞으로 나올 파트들보다 훨씬 중요한 파트라고 생각합니다.

사냥이 순조롭게 이루어져야 보스전도 이루어질 수 있으니 말이죠.


본섭, 리부트 전부 배제하고 철저한 버닝서버 관점으로 사냥에 뭐가 중요하게 작용하는지 살펴보죠.


사냥은 크게 두가지 요소가 직업 티어에 관여합니다.

첫째 사냥피로도

둘째 플레이어의 끈기, 애정등의 기타요소..”..



그럼 사냥 피로도를 감소시기키 위한 요소들을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사냥피로도



긴 시간 버닝서버라는 특수한 서버에서 장시간 사냥을 하기 위해 어찌보면 가장 요소라고 말해도 되는 부분.

사냥 자체의 피로도가 줄어야 장시간 플레이를 유지할 수 있고, 플레이를 장시간 유지해서 레벨을 확보해야 버닝에선 더 많은 이득이 들어오기 때문에 정말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하는 부분입니다.





1. 원킬컷버리고 유사원킬이랑 광역기로 맵을 쓸어버리자.

(나초님의 원킬컷 계산표 참조했음 )

원킬사냥..? 정말 중요합니다.


스킬을 한번눌러서 죽을 몬스터가 두 번눌러서 죽는다..?
물리학적으로도 업을 하는데 들어가는 사람의 에너지의 총량이 2배가 늘어납니다.


“와 그럼 원킬컷이 높은 직업을 하면 되겠군요! 딱대 아 ㅋㅋ”

“주력기 원킬컷 표 딱대라 아 ㅋㅋ”



그런데 아닙니다. 버닝서버에선 조금 달라요. 아니.. 많이 다릅니다.


아케인포스 부족, 아이템 매물없음, 링크/유니온의 부재 등등.. 캐릭터의 원킬컷을 도와줄 많은 부분들이 결여되어 있으니 말이죠..


쉽게말해 가장 중요한 버닝초기에 어차피 원킬을 낼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유사원킬컷이란걸 이용한 사냥을 해볼겁니다.


여기 곳폽이라는 무자본 팔라딘이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주력기 차지스킬의 원킬컷 배율은 “1.02”.. 전직업을 고려해봐도 매우 높은 편이죠.


그리고 여기는 “‘도적의과거라는 왠일로 무자본인 듀블이 있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주력기인 블레이드 퓨리의 원킬컷 배율은 ”0.82“.. 팔라딘에 비하면 80프로도 안되죠..

그럼 버닝서버에서 누가 더 사냥이 좋을 까요?


네 그냥 무조건 킹짱듀블 우리의 도적쿤이 압도합니다.


팔라딘이 백날 묠뉘르해머 던지고, 망치돌리기를 외치고..

생츄어리 (광역기 : 10.5)로 땅을 찍어댈때,


우리의 도적군은

블레이드토네이도 (광역기 : 12)  / 카르마 퓨리(광역기 : 10),

서든레이드(광역기 : 30) / 헌티드 엣지-수라(자동사출기 : 14) 등의 광역기로 몇초마다 그냥 맵 전체를 쓸어버립니다.


심지어 광역기라 원킬컷 배율은 생각할 필요도 없이 압도적으로 낮죠.


버닝서버에서 사냥이 좋다는 다른 직업들도 왜 좋은지도 봐봅시다.


일단 아크”.. 버닝에서 사냥 좋은걸로 정말 유명하죠?

이녀석은 스킬 대부분이 광역기구요, 광역기라 그런지 원킬컷이 장난 아니게 낮습니다. 그냥 대부분 10초쿨 광역기를 돌려가면서 사냥을 하는거에요.


우리의 킹짱직업아델도 한번 봐볼게요.

아델의 주력기인 디바이드란 스킬의 배율은 “1.07”입니다.

팔라딘보다 높네요. 여기에 크리에이션이라는 스킬이 추가됩니다.

1.5초라는 짧은 쿨타임으로 주력기를 쓸때 자동으로 같이 터지는 추가타인데 이 추가타가 배율이 약 2점대입니다..

쉽게 말해서 아델은 주력기 배율이 1.5초마다 “3.07”이란 정신나간 수치가 나오는거죠.


여기에 원킬컷 낮은편인 사출기, 설치기의 존재, 180초쿨의 무적기를 사냥용으로 사용가능, 유사 광역기 3.. 이하 생략 하겠습니다. ^^

자 글 너무 길었구요- 결론은 뭐다..?

그냥 원킬은 안난다고 생각하고, 광역기나 유사 원킬이 나는 스킬을 많이 가지고 있는 직업이 짱이다이말입니다.





2. 공속.. 공속을 보자.


메이플에는 그 직업 특유의 공격속도가 존재합니다.

공속은.. 그냥 빠르면 좋습니다. fast is better..

자체 풀공속인게 정말 좋은거에요. (예외로 은월은 오히려 악역향)


여기 앙잉뚱잉잉앙이라는 버닝서버 팔라딘 유저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205레벨정도에서 현타가 와서 플레이를 그만 둔 유저입니다.


사냥에서 수많은 이유로 현타가 와서 접은거겠지만 지대한 이유중 하나는 바로 공속부분에 있을겁니다.


모전 특유의 낮은 더블점프.. 주력기는 안그래도 좁은데..? 자체 풀공속을 달성하려면 2단계나 더 올려야하는 팔라딘..

근데 옆에서 날아다니는 아델은 자체 풀공속 ㅋㅋ? 오우쉣..


풀공속이 아니면 공격 후딜 때문에 사냥피로도가 극심하게 올라갑니다.


익스그린? 익스 레드,골드 사 마셔야죠.

쓸윈부? 초반에 코어칸 정말 부족할걸요??


자체 풀공속직업이나 공속에 상관없는직업 정말 추천드립니다.

이거 하나로 피로도 엄청 떨어져요.





3. 버프의 개수가 적은 직업을 하자.


이건 사실 펫 3마리를 구매하시는 분들은 상관이 없습니다.

근데 자신이 펫 3마리를 들고 시작하진 않을거다..?

무조건 자버프 적은 직업을 하셔야합니다.


예를들어 버닝에서 팬텀을 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대략 3분마다..

1. 케인 부스터

2. 미스포츈 프로텍션,

3. 프레이 오브 아리아,

4. 메이플 용사,

5. 분노,

6. 크로스오브체인

7. 그리고 중간중간마다 파이널컷을 쓴다.


이번엔 은월을 한다고 가정을 해보죠.

온오프 형식 여우령 키고,

15분쿨 메용 끗얘는 부스터마저 패시브 ㄹㅇ ㅋㅋ


버프 많아서 사냥중간중간 흐름 끊기는거 그 나름대로 스트레스에, 특유 후딜 때문에  시간 생각보다 많이 잡아먹습니다.


자버프 적은 직업 진짜로! 정말로! 추천드립니다.




:위의 모든 이론을 싹다 무시해버리는 가장 큰 요소가 하나 있는데..:


그게 바로 플레이어의 끈기, 직업에 대한 애정(?)”입니다.


자신의 직업이 기동성이 구리고, 주력기로 4.5킬씩 때려야 한 마리가 겨우 잡히고, 스킬 범위가 토나올정도로 좁아서 사냥이 안된다는 상황이 벌어져도 꾸준히 그 직업을 하면서 레벨링을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보통 이런 분들은..


1. 대단한 인내심.. 끈기를 소유함

2. 그냥 그 직업이 너무 좋다. 애정을 가지고 키움..

3. 그냥 광기(狂氣).. 오우 쉣..


.. 결론은 인내심과 직업애 대한열정(광기?)를 가집시다..







보스 Part




자 이번엔 보스 파트입니다..


보스가 어떻게 보면 정말 중요한 파트인데 그 이유가 버닝서버에서의 돈벌이 70-80퍼센트의 지분이 보스에서 나오기 때문입니다.


기본적으로 메소의 가치가 높은 버닝서버에서 보스가 주는 결정석은 본섭보다 훨씬 높은 가치를 지니구요,


보스장신구의 매물이 부족한 버닝서버의 특성상 버닝서버 초기엔 옵션이 좋은 보스장신구의 경우 가격이 천문학적으로 튑니다.


그리고 버닝서버의 행메 기준이 되는 스데미 파티격까지 스펙을 올리신다면 버닝동안 꾸준히 한다고 가정하였을때 본섭에 자석펫을 가져가고도 남을 정도의 돈이 벌립니다.


심지어 이번 “NEO” 이벤트에서는 주간보스를 잡아야만 마약버프를 주기 떄문에 평소보다 훨씬 중요한 요소가 되어버렸죠..






1. 좋은 성능의 무적기, 생존기를 가진직업


첫 번째는 좋은 성능의 무적기와 생존기를 가진 직업입니다.

현시점에선 대부분의 직업이 무적기나 생존기를 를 가지고 있고, 메이플스토리 측에서  각 직업마다의 개성에 맞추어 스킬을 제작하였기에 이 직업이 생존력이 가장 좋다이렇게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그래도 확실하게 말씀드릴수 있는 것은,


1. 자주 사용할수 있다.

2. 스킬을 쉽게 발동 시킬수 있다.

3. 스킬 지속시간이 길거나 적당해서 안정적임.

4. 뎀감기보단 역시 무적..


이 네가지의 요소를 모두 충족시키는 생존기를 가진 직업이 정말 좋은 직업입니다.






2. 자체 바인드의 유무


두 번째는 자체 바인드의 보유여부입니다.


사실 자체 바인드 여부는 크게 중요하지는 않습니다.

버닝서버에서 5-6인격의 보스를 잡을땐 파티에서 최소한 한두명정도의 바인더가 있을 확률이 굉장히 높고, 5차스킬 에르다 노바를 사용하면 적당히 이 단점을 메꿀 수 있기 때문이죠.


그래도 확실한점은 자체 바인드를 보유한 직업들은 엄청난 메리트를 하나 가지고 간다고 생각을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일단 바인드가 있어야 현 극딜메타의 메이플스토리란 게임에서 보스를 잡을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딜 효율이 나온다는건 자명한 사실이고, 무엇보다 5차 공용스킬인에르다 노바를 사용하지 않는 점에서 수 많은 장점들을 가지고 갑니다.


1. 바인드를 넣을 코어칸을 아껴 다른 스킬을 끼워넣을수 있음.

2. 성능이 별로인 에르다 노바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 자체가 정말로 큰 메리트.

(에르다노바 자체가 타켓팅이라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편이고, 쿨타임이 매우 길다는 단점을 보유한다.)


결론은, 자체바인드 가진직업이 대부분 좋은 직업입니다.






3. 좋은 버프, 디버프, 유틸을 가진 직업인가?


파티 플레이에서 더 빛을 발하는 버프/디버프/유틸 관련 스킬의 보유 여부입니다.


크확과 크뎀을 대폭 올려주는 궁수류 직업들의 샤프아이즈


최종데미지와 속성내성감소를 통하여 최종뎀을 대폭 늘려주는 소울마스터의 트루사이트


파티원들에게 55초간 모든 HP비례 피해를 10퍼센트 경감시켜주는 쉘터를 제공하는 배틀메이지..


순간 경직판정으로 인한 유사슈스텐+방무 디버프까지 겸비한 메르세데스의 레전드리 스피어


이 이상은 딱히 설명조차 필요가 없을 것 같네요..


자신의 존재 자체로 파티에게 큰 도움이 되고,

혼자 보스를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그런 “어떤 형태이건 
유틸관련 스킬들을 보유한 직업이 좋은 직업입니다.






4. 기동성, 이동기가 좋은 직업(텔포/체공/윗점 등등..)


사실 이 부분은 사냥파트에 넣어야 하는게 아닌가 고민도 많이 했는데요,

아무리 생각해도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분은 보스인 것 같아서 보스 파트에 끼워 넣었습니다.


상위보스로 갈수록 기동성이나 이동기의 티어가 정말 큰 영향을 끼칩니다.


우선 텔포 판정의 스킬이 스우 1페 전깃줄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건 모두가 아실겁니다.. 다른 직업들이 뛰어다닐때 텔포스킬을 사용하여 사뿐히 전깃줄을 뛰어넘으면 되니까요.


스우의 발판 패턴이나, 루시드의 소환수 패턴 같은 악랄한 패턴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했을때 다른 직업들이 무적기를 하는수 없이 사용하고, 데카를 사용해나가는 순간이 있죠..

하지만 윗점이나 체공등을 이용하여 유유히 빠져 나가는 직업들도 존재합니다.


이런 직업 특유의 기동성으로 데카를 아끼며 안전적으로 플레이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적기와 극딜기가 합쳐진 메이플의 특성상 하는수 없이 무적기를 사용하여 딜 효율이 떨어져버리는 안타까운 상황을 막을 수 있습니다.


기동성, 이동기가 좋은 직업도 메리트가 정말 큰 직업입니다.







5. 실방무가 높은 직업.. 코강난이도 쉬운직업..?


닝서버 고유버프는


/+50

크뎀/크확/보공/일반몹뎀증 +30% 이죠..


조금 의아한게 방무가 없습니다.

그래서 방무 같은 경우에는 직접 챙겨가야 보스전에서 편합니다.


파티격 같은 경우는 방무를 깎아주는 많은 직업이 있기에 크게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 같지만, 그럼에도 방무가 높은 직업이 훨씬 이득이고,


솔격으로 상위보스를 잡는 상황이 왔을때는 방무가 높은 직업이 압도적으로 유리해집니다.


여기서 코강이야기가 드디어 나오게 되었는데..

사냥 같은 경우는 주력기로 사용하는 스킬만을 강화하는 약식 코강이나,

5차스킬들로 사냥을 커버하는식의 꼼수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보스같은 경우 강화해야할 스킬이 적어 그 스킬만을 강화하여 얻는 타겟수 증가/크확 증가/방무 20%등의 요소가 정말 크게 작용합니다.


결론은 자체 방무가 높거나, 스킬자체에 방무가 붙어있으며, 주력으로 강화해야할 스킬이 매우 적은 직업이 버닝서버에선 매우 유리합니다.











기타 Part






여기서부터는 진짜 사람마다 중요하게 여길수도.. 아닐수도 있고..

딱히 중요하진 않은 부가적인 파트입니다.


버닝에서 가장 중요한 지분인 사냥, 보스 이외의 것들을 모아서 만들어본

고려해볼만한 어쩡쩡한 것들을 모아본 파트입니다.








1. 캐릭터의 기본외형


메이플은 캐릭터마다 고유의 외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코디러, 룩덕러 분들께 이는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

캐릭터의 외형에 따라 정을 붙이시는 분들도 정말 많기 때문이죠.


기본적으로 기본 외형이 예쁘다고 평가받는 모험가, 은월이나

기본 피부가 미백보다 밝은 메르세데스, 아델..

캐릭터 생성시에 헤어 색상을 선택할수 있는 몇몇 직업군들..


코디 중요하게 여기시는 분들은 캐릭터 기본 외형이 수려한직업선택을 하는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2. 모험가 해적..? 제로..?


이놈들은 시작부터 아이템 슬롯 48..

다른직업들 두배 먹고 시작하는 미친 직업들입니다.

생각보다 저게 버닝 초기에 커요.. 그냥 써봤습니다..








3. 캐릭터 고유 퀘스트

모든 직업들이 그 직업 고유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죠..


엠블렘을 퀘스트로 팔아먹는 직업도 있고..

스토리를 200까지 완료해야 공격력 %, 크뎀을 주는 직업..

심지어 이동기를 스토리를 진행해야 주는 직업도 있습니다..


스토리가 짧고 자유도가 높은 직업이여야 버닝 초기에 치고 나가기 좋을겁니다.







4. 마스터리북 사용이 적은 직업

직업마다 필요한 마스터리북의 개수가 다릅니다.

코인샵, 퀘스트로 커버할 수 있지만.. 꽤나 좋은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시그너스 기사단 같은 경우 마북이 필요없습니다..


우리 미하일은..?







5. 크확이나 데미지같은건 안중요함? 왜 안적혀 있죠?


크확이나 최종뎀, 데미지, 크뎀 등의 모든 스펙적 요소를 안적은 이유는

메이플이 모든 직업을 만들때 최종뎀, 데미지, 크확, 크뎀등의 스펙요소를 모두 고려해서 직업마다 최종적인 평균 데미지 수치를 맞추어 놓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크확이 상시크확이 25퍼센트로 매우 낮은 히어로의 경우,


크뎀 20퍼센트라는 결코 낮지 않은 수치에, 자버프 최종뎀이 468.8라는 미친 수치가 이 모든 것을 보정해주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어떻게든 크확이라는 것을 100으로 끌어올린다면 미친듯한 딜상승량을 보유할 수가 있게됩니다.


기본크확 25% + 버닝섭크확 30% + NEO 마약버프 4레벨이상 20% + 220앱솔무기 크확 10% + 하이퍼스텟 크확 10레벨 15%...

이렇게 하면 100이 딱 되어버리네요..


이렇게 되면 단점이 아니라 오히려 장점으로 변하게 됩니다.


한줄 요약하면 모든 스펙요소들은 운영진들이 적당히 조정을 해서 평균적인 직업의 딜량값을 맞춰 놨기에 방무가 아니고서야 뭐가 장점이고 단점이라고 확정지어 말할 수는 없다!”가 되겠네요..









총정리



사냥


1. 원킬컷버리고 유사원킬, 광역기등으로 사냥하는 직업이 좋다.


2. 자체 풀공속인 직업이 대체적으로 좋다.


3. 자체 버프가 적은 직업을 하자.


4. 위의 3가지를 다 깔아뭉개는건 자신의 끈기, 인내심이다.





보스


1. 좋은 성능의 무적기, 생존기를 가진직업을 하자.


2. 자체 바인드를 보유한 직업을 하자.


3. 좋은 버프, 디버프, 유틸을 가진 직업을 하자.


4. 기동성, 이동기가 좋은 직업(텔포/체공/윗점 등등..)을 하자.


5. 실방무가 높은 직업.. 코강난이도 쉬운직업. 을 하자!





기타


1. 캐릭터의 기본외형이 괜찮은 직업을 하자.


2. 모험가 해적..제로..등의 슬롯이 넓은 직업의 이점..


3. 캐릭터 고유 퀘스트가 짧은 직업을 하자.


4. 마스터리북 사용이 적은 직업이의 이점..


5. 방무를 제외한 스펙적요소로 캐릭터를 판단하기는 조금 힘들다.







-인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럼 이만..



버닝을 무대로 다시 만납시다.


 

 

F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