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inven.co.kr/board/maple/2295/167126?category=%EB%B9%84%EC%88%8D
리마스터 이후 디바인 퍼니시먼트(디퍼)에 대한 분석 및 실험

-------------------------------------------------------------

모험가 리마스터 이후, 비숍의 스킬인 디퍼에 대해 분석 및 실험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립니다.

이미 비숍 게시판에도 비슷한 글을 올렸지만, 
시간이 지나면 묻힐 가능성이 크고 직업게시판을 보지 않는 유저들도 있을 것 같아, 팁과 노하우 게시판에 한 번 더 올립니다.

따라서 본문은 상단의 링크글 내용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약간의 내용 및 사진이 추가되었습니다.

* 본 글은 계산식을 다수 포함하고 있습니다. 
* 결론만 궁금하신 분들은 5번 항목(전체 요약 및 마무리)부터 봐주세요.
* 본문의 인게임 실측은 1레벨, 방어율 0%, 크기(대), 속성 반감이 없는 보스 몬스터를 대상으로 측정되었습니다. (무릉도장 안개 숲 수련장)


1. 디퍼(만렙) 8스택 딜 VS 엔레(코강 60렙) 8초 딜 비교

- [디퍼(만렙)]
Step 1) 8스택 타수
인게임 실측 결과, 410타

Step 2) 총 데미지
30렙 : 495%/타 * 410타 = 202950 %


- [엔레]
Step 1) 8초간 사용횟수 
쓸윈부 O : 약 12~13회 (인게임 실측)
cf) 스킬딜레이를 이용한 검산
- 풀공속 기준 엔레 1회당 스킬딜레이 = 630ms/회
- 1초당 엔레 사용횟수 : 1/(630ms/1회) = 1회 / 630ms = 1회 / 0.630s = 1.58회/s = 1.58회/초
- 8초간 엔레 사용횟수 : 1.58회/초 * 8초 = 12.64 회
즉, 실측값과 큰 차이 없음. 

Step 2) 총 데미지
30렙 : 225%/타 * 2.2(코강 60렙) * 14타/회 * 12~13회 = 83160 ~ 90090 % 
31렙 : 230%/타 * 2.2(코강 60렙) * 14타/회 * 12~13회 = 85008 ~ 92092 %


- [결론]
디퍼 : 202950%
엔레 30렙 : 83160 ~ 90090 % 
엔레 31렙 : 85008 ~ 92092 %
-> 만렙 디퍼가 엔레 30렙보다 2.25~2.44배, 엔레 31렙보다 2.20~2.39배 더 강합니다.

cf) 인게임 실측결과 (쓸윈부 O)
(1) 엔레 30렙
디퍼 1649억 7178만
엔레 707억 6737만
1650억 / 708억 = 2.33배

(2) 엔레 31렙
디퍼 1648억 8372만
엔레 723억 6435만
1649억 / 724억 = 2.28배

-> 계산 결과의 배율과 실측 결과의 배율이 일치합니다.



2. 디퍼(8스택)는 몇 렙부터 풀강 엔레(8초)보다 강할까? 
( 이미 1레벨도 충분히 강한 디퍼? )

Step 1) 디퍼의 1타당 데미지를 A%라고 가정합니다.
이 때 디퍼 8스택의 총 데미지는 A%/타 * 410타 = 410A %

Step 2) 디퍼 8스택의 데미지가 엔레 8초의 총 데미지보다 강해야 하므로, 다음의 부등식(*)을 세울 수 있다.

* (디퍼 8스택의 총 데미지) > (엔레 8초의 총 데미지)

앞서 계산한 엔레 8초의 총 데미지는 다음과 같다.
엔레 30렙 : 83160 ~ 90090 % 
엔레 31렙 : 85008 ~ 92092 %

Step 3) 각 값을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엔레 30렙
410A > 83160 ~ 90090 % 
A > 203 ~ 219 %

(2) 엔레 31렙
410A > 85008 ~ 92092 %
A > 207 ~ 225 %

이 때 디퍼 L 레벨의 1타당 데미지 =  225+9*L

즉, 225+9*L >225

-> 따라서 이미 디퍼 1레벨로도 풀강 엔젤레이보다 강합니다.

cf) 인게임 실측결과 (쓸윈부 O , 쓸컴뱃 O)
디퍼(1레벨, 8스택) : 786억 3542만(41회 사용 = 410타)
엔레(풀강, 31렙, 8초) : 744억 3212만(13회 사용)

-> 계산 결과와 실측 결과가 일치합니다.



3. 여기서 드는 의문 : 그럼 여지껏 디퍼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나?
 ( 디퍼의 "진짜" 손익분기점 레벨 )

* 많이 알려진 통념 : 흔히 디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알려져 있습니다.

- 디퍼 만렙이 엔레 풀강보다 1.6~1.7배 더 강하다.
- 디퍼 10렙(**)부터 풀강 엔레보다 더 강하다.

** 참고 : 6렙(나무위키), 10렙, 11렙, 12렙, 13렙 등 유저마다 디퍼 손익분기점 레벨을 다르게 말합니다.
디퍼가 처음 출시될 때는 만렙을 찍어도 엔레와 비슷할 정도로 정말 약했습니다.
이후 디퍼는 여러 차례의 걸쳐, 점진적으로 데미지 상향을 받았습니다. 
아무래도 "여러 차례"에 걸치다보니, 디퍼의 손익분기점 레벨에 대해 유저들마다 각기 다른 인식을 갖게 되었고, 현재까지 그 인식이 일부 남아 있어, 유저마다 디퍼 손익분기점 레벨을 다르게 말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선 분석에서 한 가지를 추가로 고려해야 합니다.

바로 "스킬 툴팁 설명과 달리, 디퍼 8스택을 소모하는 데 걸리는 실제 시간이 8초보다 오래 걸린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디퍼 8스택을 인게임에서 사용해보면, 시전 동작시간까지 포함하여 약 9~10초 정도 걸립니다.

따라서 우리는 1.5초~2초 정도의 엔레 딜을 추가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 때 디퍼 8스택을 모두 소모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넉넉하게 10초라고 가정하여 계산해보겠습니다.

Step 1) 엔레 10초의 총 데미지
1초당 엔레 사용횟수는 1.58회/초이므로, 10초간 엔레 사용횟수는 약 16회
즉, 
엔레 30렙 : 225%/타 * 2.2(코강 60렙) * 14타/회 * 16회 = 110880 %
엔레 31렙 : 230%/타 * 2.2(코강 60렙) * 14타/회 * 16회 = 113344 %

Step 2) 

(1) 디퍼 : 202950%
엔레 30렙 : 110880 %
엔레 31렙 : 113344 %
-> 디퍼가 엔레 30렙보다 1.83배, 엔레 31렙보다 1.79배 더 강합니다

(2) 앞선 2번에서 부등식을 계산한 것처럼 410으로 나누어주면, 다음과 같습니다.
엔레 30렙 : A > 271 %
엔레 31렙 : A > 277 %
( A : 디퍼의 1타당 데미지(%) )

이 때 디퍼 L 레벨의 1타당 데미지 =  225+9*L

즉, 225+9*L > 277
L > 5.78

-> 따라서 디퍼 레벨이 6렙 이상일 때 풀강 엔젤레이보다 강합니다.

* 참고 : 만약 10초간 엔젤레이를 17~18회 사용했다고 가정하여 계산해보겠습니다.

Step 1) 17~18회 사용한 엔레의 총 데미지
엔레 30렙 : 117810(17회) %, 124740(18회) %
엔레 31렙 : 120428(17회) %, 127512(18회) %

Step 2) 

(1) 디퍼 : 202950%
- 엔젤레이를 17회 사용할 경우, 디퍼가 엔레 30렙보다 1.72배, 엔레 31렙보다 1.68배 더 강합니다
- 엔젤레이를 18회 사용할 경우, 디퍼가 엔레 30렙보다 1.62배, 엔레 31렙보다 1.59배 더 강합니다.
-> 많이 알려진 통념의 수치와 거의 유사합니다.

(2) 앞선 2번에서 부등식을 계산한 것처럼 410으로 나누어주면, 다음과 같습니다.
- 엔레 사용 17회 
엔레 30렙 : A > 288 %
엔레 31렙 : A > 294 %

- 엔레 사용 18회
엔레 30렙 : A > 305 %
엔레 31렙 : A > 311 %

( A : 디퍼의 1타당 데미지(%) )

이 때 디퍼 L 레벨의 1타당 데미지 =  225+9*L

즉, 
17회 사용시 225+9*L > 294
L > 7.67

18회 사용시 225+9*L > 311
L > 9.56

따라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7회 사용하는 경우 : 디퍼 레벨이 8렙 이상일 때 풀강 엔젤레이보다 강합니다.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8회 사용하는 경우 : 디퍼 레벨이 10렙이상일 때 풀강 엔젤레이보다 강합니다.
-> 많이 알려진 통념의 수치와 거의 유사합니다.



 4. 그 외에 추가로 고려해야 될 사항

(1) 1틱당 데미지 : 낮은 1틱당 데미지 때문에 저렙의 디퍼가 유달리 더 약하게 느껴진다.
엔젤레이(31렙, 풀코강) 1회 사용시 데미지의 경우, 7084%입니다. ( 230%/타 * 2.2 * 14타 = 7084% )
이에 반해, 디퍼(만렙)는 1틱당 4950% 밖에 안 됩니다. ( 495%/타 * 10타 = 4950% )
만렙 디퍼도 1틱당 데미지가 엔젤레이의 1회당 데미지보다 약하다보니, 저렙의 디퍼는 더욱 더 약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코강 방무 20% 차이
엔레는 디퍼와 달리, 코강 40렙 효과인 방무 20%가 추가로 적용됩니다.
특히 방무가 낮은 유저일수록, 앞서 제시했던 디퍼 손익분기점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을 찍어야 엔젤레이보다 강해집니다.

(3) 최종데미지 증가 디버프가 풀스택으로 쌓이는 데에 걸리는 시간 차이
키다운 연속 공격기인 디퍼는 엔레보다 최종데미지 증가 디버프를 쌓는 시간이 짧습니다. 
앞선 코강 방무와 달리, 이 점은 디퍼가 엔젤레이보다 유리합니다.
하지만 실제 보스전에서는 최종데미지 디버프가 풀스택으로 상시 유지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4) 플레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엔젤레이 사용횟수 차이
실제 10초동안 엔레의 사용횟수는 플레이할 때마다 약간씩 다릅니다.
하지만 앞서 17회, 18회 사례에서 살펴본 것처럼, 엔레 사용횟수가 1회 밖에 차이나지 않음에도 디퍼의 손익분기점 레벨 차이가 큽니다.
고작 1회의 차이는 플레이 과정에서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는 사용횟수 차이입니다.
결국 디퍼의 손익분기점 레벨의 경우,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5. 전체 요약 및 마무리

1) "스킬툴팁에 표현된 이론상의 딜" 측면에선 디퍼 1레벨(8스택)로도 이미 풀강 엔젤레이(8초)보다 강합니다.

2) 하지만 스킬툴팁과 달리 실제 디퍼 사용시간은 9~10초이기 때문에, 1~2초동안 엔젤레이를 더 사용하는 걸 고려하면, 디퍼 레벨이 일정 레벨보다 더 높아야 엔레보다 강해집니다.

3) 풀강 엔레와 디퍼의 손익분기점 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 (쓸윈부 O , 쓸컴뱃 O)
대개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6~18회 정도 사용합니다. 
( * 스킬딜레이 수치를 고려한 계산상으로는 16회 사용하지만, 실제 플레이에서는 17~18회 사용이 더 빈번합니다. )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6회 사용하는 경우 : 디퍼 6렙 이상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7회 사용하는 경우 : 디퍼 8렙 이상
엔젤레이를 10초동안 18회 사용하는 경우 : 디퍼 10렙 이상

따라서 디퍼 레벨이 8레벨 이상일 경우 디퍼도 사용 할만해지고,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하여 최소 10레벨이상 찍는 걸 추천합니다. 
(단, 스탯창의 방어율 무시 수치가 낮은 유저일수록, 이보다 좀 더 높아야 합니다.)

4) 풀강 엔레와 만렙 디퍼의 딜 배율도 마찬가지로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10초를 기준으로 디퍼는 엔레의 약 1.6~1.8배 정도 됩니다.

5) 실제 플레이에서는 엔레 코강40렙에 달린 방무 20% 효과, 최종데미지 증가 디버프가 풀스택으로 쌓이는 데에 걸리는 시간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6) 그냥 디퍼 만렙을 찍도록 합시다.



6. 작성자의 추론 및 앞으로의 과제

(1) 개발진이 저레벨 디퍼의 스킬 데미지 조정을 안하는 이유?
2번에서 보여드린 것처럼 디퍼 8스택 VS 엔레 8초 비교시, 지금의 디퍼 1렙 스킬데미지로도 이론상(계산상) 문제가 없어서, 디퍼의 저렙구간 스킬 데미지 조정을 안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2) 사용할 때마다 타수가 조금씩 다른 디퍼?
이번 분석을 위해 디퍼로 수차례 실험을 해보면서, 1디퍼(디퍼의 스택을 다 소모하고, 성스러운 빛이 없다는 시스템 메세지가 뜨기까지 사용한 디퍼)마다 타수 편차가 간혹 발생한다고 느꼈습니다. 

전투분석 결과, 1디퍼에 410타로 대부분 기록되었지만, 간헐적으로 410타보다 더 많은 타수의 딜이 들어가는 현상을 확인했습니다.

물론 스킬 툴팁 상으로도 8.5초마다 스택이 쌓이기 때문에, 8스택 소모 이후 아주 약간의 기다림 후에 1스택을 더 소모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시스템 메시지가 뜨고 난 뒤에 딜이 들어가야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시스템 메시지가 뜨는 걸 확인하고 디퍼를 멈췄음에도, 410타보다 딜이 더 들어간 경우가 몇 번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서버렉이나 특정조건의 영향이지 않을까 현재 추정만 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좀 더 면밀한 실험과 확인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아마 기회가 된다면, 추후에는 이에 대한 분석을 해보지 않을까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