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이플스토리 크로아서버 서린비 길드마스터 추연v에요
길드운영에 대한 다양한 글이 있어 저도 한번 부족하게나마 작성해보고 싶네요
이번 글은 길드 운영에 필요한 시스템 개념만,
다음 글은 길드 운영에 필요한 정치 개념을 작성할게요

길드 만드는 방법
헤네시스맵의 레아NPC에게 이야기를 걸어 영웅의전당 맵으로 이동, 헤라클NPC에게 말을 걸어 길드를 만들 수 있어요. 101레벨이상 500만메소만 있다면 누구든지 길드마스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길드마스터가 어떤사람인지 그 폭이 굉장히 넓어요. 이 말은 길드마스터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 어떤 시험을 보고 뽑는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길드 창설하기 위해선 길드 이름이 필요하고, 길드 이름을 신중하게 지을수록 앞으로 길드에 들어올 사람들이 많아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생각보다 길드 이름 보는 경우가 많아요)

길드시스템
길드를 만들게 되면, 주간 미션 포인트, 지하수로, 플래그, 길드 직위, 길드 스킬, 길드 게시판 시스템이 존재해요. 길드 운영을 제대로 해보고 싶다면 그 목표에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목표를 설정해두고 나아가면 이것이 일반적으로 방향성이라고해요. (목표=방향성) 중요한 순서대로 알아볼게요.

길드 직위

길드직위는 길드마스터 포함 10개까지 설정 가능하고, 각 직위마다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요. 길드 운영에 도움을 주는 사람, 길드 컨텐츠를 참여한 사람, 길드 컨텐츠를 미참여한 사람. 등등 직위를 차등 설정할 수 있어요. 길드마스터+부마스터+길드원+컨텐츠 미참여 길드원+ 컨텐츠 미참여 길드원 2회+ 강퇴예정 최소 6개의 직위를 이용할 수 있도록해요. 길드를 제작했다면, 운영의 첫걸음은 조직도가 아닐까 생각해요.

위의 사진에서 길드마스터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어요.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길드원 추방을 남용할 경우 길드의 탈주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추방하기 위한 조건을 설정해두어야해요. 직위를 만들고 나서 규칙이 필요해요.
일반 길드원에게 길드 스킬 사용 하나만 설정하면 돼요. 길드 컨텐츠 미 참여자에게는 길드 스킬 사용칸을 미설정하면 돼요. 길드원 추방 권한을 아무나 줄 경우 하루 아침에 길드원이 전부 강퇴되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요. 

길드 스킬

길드스킬은 패시브 스킬 + 액티브 스킬로 이루어져 있어요.
패시브 스킬은 내가 사용하지 않아도 길드에 들어가자마자 올라가는 능력치에요.
(주스탯 환산:주스탯220 일반 몬스터 데미지12%)
액티브 스킬은 내가 필요할 때 사용하면 올라가는 능력치에요.
(주스탯 환산:주스탯1220이상)(노블레스 포인트45p 기준)
패시브 스킬은 길드레벨이 올라가야하고.
액티브 스킬은 수로점수가 올라가야해요.
주스탯 1당 1만큼 강해진다고 가정할 경우 액티브 스킬의 비중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액티브 스킬을 많이 찍기 위해선 수로점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지하수로

지하수로 시스템은 길드 전투력 순위라고 보면 돼요. 정확하게는 강한 길드원이 길드운영이 원활하게 돌아가서 매주 길드원들이 수로를 잘 참여하고 있는지까지 볼 수 있어요. 강한 길드원이 많더라도 수로를 잘 참여하지 않는다면 길드 랭킹은 내려가고, 강한 길드원이 없더라도 수로를 잘 참여한다면 랭킹은 올라가요. 상위 길드는 강한 길드원이 수로까지 잘 참여할테니 상위 길드를 유지하는 길드마스터는 대단하네요.
길드마스터는 매주 1회 길드원에게 참여를 권고(자유길드) 또는 강제(일반길드)할 수 있고 미 참여시 노블을 제한까지 할 수 있어요. 지하수로 참여가 자유라면 수로점수가 낮고 상위 길드로 가기 어려워져요.(대다수 길드는 일반길드를 채택중) 지하수로 때문에 길드가 망하는 경우는 매우 흔하기 때문에 운영할 때 집중적으로 관리해주어야해요.
(수로점수 부족으로 인한 길드원 탈퇴, 수로 미참여로 인한 한 주동안 수로가 잠겨 길드원 탈퇴, 수로 미 참여 했지만 수로 안 풀어줘서 길드원 탈퇴, 길드 규모가 성장 하지 않아 탈퇴, 더 높은 지하수로 점수를 찾아 탈퇴, 부캐 수로 안쳐서 수로 잠기니 본캐까지 탈퇴)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상위 5%의 컷은 5.9% 컷이에요. 10%컷은 10.9%에요.
1000개의 길드가 있다면 50위가 5%컷이 아닌, 59위(5.9%)
2300개의 길드가 있다면 115위가 5%컷이 아닌, 135위(5.9%)
이 점수대에 턱걸이에 들어가는 길드는 이 점을 면밀히 관찰하며 길드를 운영하는게 좋을거예요.
지하수로는 일요일 오후 10시59분까지 입장 가능하기 때문에 직위 변경은 11시 05분부터 진행하는 게 좋아요.(11시에 랭킹안에 들어 좋아했지만 11시 2분에 순위가 바뀌어 순위 밖으로 밀리는 경우가 있어 좋아할거라면 11시5분부터)

플래그 레이스

플래그 레이스는 월요일 오전 12시 30분 부터 일요일 오후 11시 30분까지 입장 가능한 길드 컨텐츠에요.
맵 한 바퀴를 달리면 돼요. 3종류가 있어요. 겉 보기에는 쉬워보이지만 스킬 분배와 약간의 메이플 물리엔진 이해를 요구해요. 이것을 잘하고 싶다면 인내의 숲, 슈미 동전찾기, 끈기의 숲 먼저 클리어 하고 와서 플래그를 시작하면 재미없어요
길드마스터와 부마스터의 대립관계를 만들기 쉬운 컨텐츠에요. 지하수로는 모두가 참여하면 되지만 플래그는 잘하는 사람이 수가 현저히 적으며 꾸준히 플래그를 해줄 사람이 적기 때문이에요. 플래그 때문에 역시 길드가 터져나간다고 보면돼요. 대다수의 길드 케이스를 보면
수로점수가 낮은 길드원에게 맡기기=수로0000점이하 플래그 참여하기(인력 소비=길드원 탈주)
길드원에게 맡기기=길드원에게 지하수로와 플래그 참여 요구하기(시간 소비=참여 요구)
길드 관리자들끼리 완료하기= 길드마스터+관리자들끼리 플래그 1만점 채우기(감정 소비=길드 멸망)
용병제=일정량의 메소를 주고 플래그를 사람에게 맡김(돈 소비)
이 4가지는 모두 (단점)이 존재하는데 이유는 플래그는 마치 군대처럼 지속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에요.(인력, 시간, 감정, 돈) 플래그로 인한 이득은 노블 10포인트이지만, 재미가 없는곳에 끌려가서 매번 말뚝질 해야하거든요. 길드마스터로 지내면서 플래그로 고생한 길드원들을 많이 봐왔어요. 저는 용병제를 채택하고 있지만, 길드마스터들이 매번 이 문제로 고생하게 되기 때문에 길드마스터를 하게 된다면 어떤 방법을 채택하고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고민해야 할 거예요.

주간 미션 포인트

길드 노블 포인트 10개를 가져가기 위해 매주 200점을 채워야 하는 시스템
몬스터 5000마리당 1점이 오르고. 보스 난이도 별로 보스 포인트를 획득해 80점당 1점이 올라요. 한 사람당 5점까지 얻을 수 있어요. 주간 미션이 맨 마지막에 있는 이유는 중요도가 생각보다 크지 않기 때문이에요.
대략적으로 노블39p 이상 길드는 알아서 충족하기 때문에 지하수로, 플래그에 비해 비중이 크진 않아요. 이걸로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으면 하고 플래그 지하수로가 해결되면서 알아서 해결되는 문제에요.
주간 미션 포인트를 얻기 위해 6명이서 파티맺고 같은 사냥터 맵에서 한명이 사냥하고 5명이 잠수태우면 주간 미션 30점을 채울 순 있긴 하지만 그 시간에 길드원을 모집해서 다음 주를 모의하는 게 장기적으로 더 유리할 거예요.

길드 문의

길드마스터나 관리자로 지내게 된다면 많은 문의가 들어올거예요. 초대메세지로 시작해서 쪽지, 오픈채팅으로 길드원의 문제에 대해서 사과를 요구해 올 거예요. 인벤에서 심심찮게 들려오는 ㅇㅇ길드 길드원, 부마스터, 길드마스터 저격하는 글이 올라오면 ㅇㅇ길드의 길드마스터, 부마스터, 길드원들이 상황과 의견을 공유하고 글을 작성해서 올리곤 해요. 한 사건이라도 피곤할 일이기 때문에 최근 길드에서 개인분쟁은 개인이서 해결하라는 길드 가입 문구도 많이 생기고 있어요. 이 글 처음 문장에서 말했었죠.  101레벨이상 500만메소만 있다면 누구든지 길드마스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길드마스터가 어떤사람인지 그 폭이 굉장히 넓어요. 이 말은 길드마스터가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 어떤 시험을 보고 뽑는것이 아니기 때문이에요. 이 문장은 길드마스터, 부마스터, 길드원 모두 포함이에요. 성격검사를 하거나 지능검사를 해서 길드원을 뽑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천자만별의 수준을 가진 길드원들이 모여 길드가 된 것 뿐이기 때문에, 문제는 당연히 발생해요. 없다면 그것은 길드가 개인 분쟁에 관심을 가지지 않기 때문이에요. 저도 그런 부분을 책임질 수 없고 관여할 수 없어 운영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겠어요.

끝으로 길드를 책임지는 사람들이 길드 외에 있는 사람들에게 휘둘리면 안돼요. 다수의 의견은 무시할 수 없지만 강퇴권한은 길드관계자만 들고 있어요. 강퇴를 요구할 것이라면 길드관계자가 되어야 해요. 길드 외에 있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지적해도 본인이 보기에 문제가 없다면 길드원을 재제하지 않고, 본인이 보기에 문제가 있다면 재제하는 것이 맞아요. 익명의 유저보단 닉네임이 보이는 사람들, 닉네임이 보이는 사람들보다 현실 사람들의 의견을 챙기는 길드마스터가 되길 바라요. 메이플스토리에 있는 수 많은 길드마스터들 고생이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