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머는 모름지기 있어 무조건 깡 데미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대검도 흔히 무조건 깡댐이라곤 하지만, 대검보다는 느린 공격속도와 스턴을 위주로한 치고 빠지기 등으로 연타보다는 묵직한 한방에 기대를 거는것이 해머이죠.

 

그렇다면 강한 해머란 무엇일까요?.

당연히 공격력이 강한 해머라고 필자는 생각합니다.

 

좋장을 제외하고 해머가 가장 많이 필요로 하게되는 역습 불가노스(더이상은 존재하지 않는다..) 혹은 강티퀘 불가노스, 그리고 라바 R을 만들기 위한 홍용암룡등등..

 

꼼수에 가장 필 수가 되는것이 해머입니다.

 

그런데 흔히들 말하는 효율팟(필자는 극효율팟을 좋아한다)에서는 전수'급' 헤머를 찾는다는 말을 자주 보게 됩니다. 도대체 어느정도 되야 전수급 해머라고 할 수 있는 것일까요?

 

필자가 생각하는 전수급 해머는 매우 많기 때문에 표로 일일이 나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칵토스 운베터는 1144의 오타] [비기전수 = 렌테 알리오스 = 솔리드 임팩트]

 

 

강종무기 부터 제전무기까지, 데미지가 1352에서 1144까지, -40% 부터 40%까지 이르는 회심, 그리고 간간히 보이는 속성들. 하지만 이번만큼은 변종전 인만큼 속성을 상큼하게 무시해 보도록 합시다. 그리고 속성은 변종전일수록 방어율, 육질, 분노보정등을 대입해보면 한번을 공격마다 많이 들어가야 전체 무기데미지의 약 2% 정도 밖에 좌우하지 못하죠.

[고룡전에 부위파괴를 위한 용속이나, 도도의 이빨에 필수인 화속은 매우 중요하지만, 고룡전과는 달리 도도브랑고 잡으로 해머 들고 가는분을 본적이 한번도 없어서.. 고로 스턴걸린 도도브랑고도 본적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순서는 무기배율이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인데, 과연 실제 데미지도 위와 같은 순서로 나올까요?

아래 표를 한번 보도록 하죠.

 

 

 

[위 표는 공대 간파3 화사 씨앗 발부를 기준으로 변종육질 100 / 분노보정 1.0 / 방어보정 1.0을 기준으로 작성]

[+20 이라는 뜻은 명시해놓은 숫자를 제외하고 같은 색의 예리도가 20 더 있음. ex비기전수 = 흰20, 청50]

 

 

강력한 따 데미지 순서로 나열한 헤머 입니다. 보라예리의 두 강종해머가 모두 상위를 독차지 했습니다. 반면의 깡 데미지에서 2,3위를 차지 했던 제노사이드 코어와 엔타시스 버스트는 엄청난 역회심과 예리를 견디지 못하고 최하 1,2위로 급락하였고. 특히 제노사이드 코어는 흰예리가 50이라는 대인배 예리여서 높은 위치에 차지 할줄 알았지만, 결국에 역회심 40%는 너무나도 크게 작용된거 같군요. 반면에 1196에 역회심이 10%인 격룡추는 1248의 흰예리를 보유한 비기전수와 기본회심이 20%에 육박하는 진 무뢰추[팔지오]를 제친거 보이시죠? 역시 깡뎀도 깡뎀이지만, 예리도가 가장 크게 작용하는 무기가 있다면 해머가 아닐까 싶내요.

[대검 역시 예리도가 중요한 무기중 하나!]

 

 

흔히 말하는 전수급의 전수해머는? 하위권에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전수해머' 도 요즘 보이지도 않는 1.0 패치당시 최고의 함마라고 들려오는 [워 스트라이크] 보다 아래에 있고요. 뭐 그렇다고 비기전수가 워 스트라이크보다 순간데미지가 낮은것은 아닙니다. 비기전수의 흰예리 일시 데미지는 657이고, 워 스트라이크(=무기데미지 1196)의 데미지는 633.6이 되어버리니까요.

 

또 이표는 50타를 기준으로 높은 순서를 매겼기 때문에, 무조건 표에서 위에 있는 해머가 더 강력하다 라곤 볼 수는 없습니다. 제가 그래서 한打 한打당 가장 높은 데미지를 5위까지 매겨 보았는데, 1위 무기는 제전의 데스바이스 해머였습니다.. 데스바이스 해머는 단 리치라는 약간의 디스어드벤데이지를 가지고 있지만, 써보신분들도 아시다 싶이 단리치 해머를 다루는 것은 장리치 해머를 다루는 만큼을 힘이 들지는 않을거고 일반리치와 별 차이가 없어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2위는 SP깡뎀해머가, 그리고 3위와 4위는 보라예리를 가진 강종해머들이 차래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해머는 예리도를 뛰웠다면 불가하매와 같은 지속적으로 공격을 해야되는 상황이 아니면 최고의 예리도만 달면 숫돌을 가는게 일반적이기도 하죠. 하지만 불가 하매 같은 경우 포획을 기준으로 해머가 치는 횟수는 50회, 토벌을 기준으로는 70타를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예리도가 있다는 기준으로는 위의 도표는 곧 효율적인 해머 순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사실 해머에서 최강이란, 변종이던 변종전이 아니던 의미없이 위의 2분은 정해져 있고 3위싸움이라고 보여집니다. 1,2위는 말할 것도 없이 네브라와 부악의 싸움이겠지만... 둘다 상태이상과 보라예리를 보유함으로써 뎀딜과 효율 면에서도 최고이니. 하지만 당신이 네브라와 부악추를 만들기 힘들겠다면, 전수나 다른 해머들을 만들기 전에 SP해머를 먼저 만드는게 어떨까요? 다른 SP 무기는 몰라도 나는 SP깡 해머만큼은 자신의 무기 분야에서 최상급이라고 자부 할 수 있거든요!

 

하지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모든 숫자 놀음도 8.0에 염왕추가 나온다면 무의미 해 진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