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elloMorello's Avatar??Lead Content Designer

소환사분들께.


많은 토론을 거쳐, 우리는 리그오브레전드에서 생각하는 역할(Role, 주 : 챔피언의 태그를 생각하면 될 듯)에서 우리의 생각을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하고자  챔피언의 역할명을 업데이트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부분의 역할(하나는 아닐겁니다!) 은 친숙하게 들리겠지만, 우리의 생각을 여러분과 함께 공유하길 원합니다.(이 뒤로 짧게 3.10 패치나 leagueoflegends.com 같은 말이 있긴 한데 결국 똑같은 말인거 같아서 번역에서 뺐습니다) 또한 벨런싱 과정이나 리그오브레전드에 존재하는 기존 역할과 어떤 차별을 두고 있는지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우선 역할 이라는 의미를 정의하는 것부터 시작하죠.

챔피언의 역할이란 대략 팀에 기여하는 가치의 유형을 정의하거나, 혹은 그 챔피언의 핵심적인 플레이스타일을 서로 이해하도록 합니다. 이는 플레이어가 게임에서 어떤 경험을 하길 바라는지, 그리고 팀에게 어떤 식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라이엇은 게임 상 챔피언의 위치를 주요한 (primary) 역할, 부차적인 (secondary) 역할을 조합하여 다음과 같은 리스트를 작성했습니다.


  • 암살자 (Assassin)

암살자는 높은 성장 기대값을 가진 (high value) 타겟을 죽이거나 불구로 만들어버리는 것에 특화된 날렵한 챔피언입니다. 잠입, 속임수, 기동성에 촛점을 맞춘 암살자는 난전에 들어가기 전에 싸움에서 유리한 순간을 찾는 기회주의적 사냥꾼입니다. 적 팀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암살자는 포지셔닝과 기교적인 킬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들은 정확한 순간에 치고 들어옵니다. -  더 빠르지도, 더 늦지도 않게(No sooner, no later)




  • 마법사 (Mage)

마법사는 기본공격을 상회하는 강력한 스킬을 선호하는 챔피언으로서 대부분 원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마법사는 원거리, 범위효과, 높은 유틸성의 스펠 중 몇몇을 조합한 특징을 보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임무를 완수합니다. 숙련된 마법사는 다재다능한 스킬세트와 유연한 플레이스타일을 구사하여 어떤 팀에 속해있더라도 큰 영향력을 과시할 수 있습니다.




  • 탱커 (방어 담당, Tank)

탱커는 내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에 서서 적의 행동을 제한하고 전투를 개시하는 챔피언입니다. 탱커는 주로 돌진을 담당하며, 이니시에이팅을 시작하는 적절한 타이밍과 상황을 결정합니다. 또한 많은 탱커들은 위험한 적들이 행하는 푸쉬, 스턴 등으로 인해 팀의 잠재된 데미지를 제한하는(주 : 원딜 짤라먹기)  것으로부터 약한 팀원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지원형 (Support)

지원형 챔피언은 아군 챔피언에게 버프, 치유를 하거나, 방해효과(CC)를 통해 적진을 무너뜨리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라인전부터 후반 팀파이트까지, 지원형 챔피언들은 팀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이점, 기회를 만들어냅니다. 숙련된 지원형 챔피언 유저는 팀원들에게 승리를 가져가는데 필요한 우위를 점하게 만들고, 전투의 흐름을 유리한 쪽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 전사 (Fighter)

전사는 근접형 전투원으로서 공격적, 방어적 능력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탱커같은 유틸성이나, 암살자같은 강력한 데미지는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전사가 주는 데미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쌓여 적들에게 주된 위협이 될 것입니다. 각각의 전사들은 고유의 기동성, 데미지, 방해효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사수 (Marksman)

사수는 대상에 지속적이면서도 강력한 피해를 가하기 위해 방어, 유틸능력을 희생한 원거리 공격수입니다. 일반적으로 스킬보다 기본공격력에 촛점을 맞추고 있으며, 어떤 게임에서든지 후반에 엄청난 수준의 피해량을 입힐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AD캐리' 대신  '사수' 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은 의도적인 것입니다. 사수라는 명칭은 그들을 좀더 명료하고 정확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 또한 AD 캐리라는 명칭은 AD유저들에게 언제나 팀을 캐리한다는 기대를 하도록 만듭니다. 롤은 팀워크를 중시하는 게임이므로 Carry는 부정확한 명칭이며 명사수 라는 명칭이 적합하고 주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명사수를 여전히 AD캐리라고 부르겠죠. 그래도 좋습니다만 이 자리에서는 명사수라는 명칭을 공식적으로 채택합니다. 이는 의미상의 변화일 뿐이지만 앞으로 여러분에게 알려줄 때 중요한 사항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역할은 브랜드를 마법사, 노틸러스를 탱커라 부르는 것처럼 일부 챔피언에게는 명료하게 잘 들어맞습니다만, 다른 챔피언들은 미묘하거나 역할이 중첩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모데카이저는 마법사가 주요한 역할이지만 전사이기도 합니다. 이런 방식은 역할을 고려함에 있어 헷갈리는 부분을 언급할 때도 가치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판테온과 애니는 스킬을 사용하여 데미지를 가하는 것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둘다 마법사입니다만 판테온은 공격력을 기반으로, 애니는 주문력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자리에서 사람들이 흔히 오해하는 포지션과 역할의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포지션은 챔피언이 갈 수 있는 라인을 뜻하죠. 따라서 미드를 갈 수 있는 챔피언은 마법사, 암살자, 전사 모두 가능하지만, 여전히 그 챔피언은 미드포지션에서 게임을 플레이하게 됩니다. 이는 플레이어가 정의하고 진화하는 게임의 일부입니다.(주 : 챔피언의 분류타입에 따라 포지션을 획일화 할 수 없다는 뜻 같습니다. 피오라 미드같은 전사타입의 포지션 변경이라든가) 그리고 이로부터 멋진 무언가를 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물론 좋은 카운터플레이를 도와줄수 있다는 전제하에 말이죠!)

예를 들어본다면 :

티모는 어떨까요? 누구에게 질문하느냐에 따라 사랑스럽거나, 혹은 악마 그 자체라 불리겠죠. 보통 탑라인에 섭니다. 하지만 탑라인에 선다고 해서 티모가 잭스, 이렐리아, 제이스와 같은 타입의 챔피언은 아닙니다. 티모는 명사수/마법사 유형의 챔피언이며, 이것이 우리가 기획한 티모의 역할입니다. 티모가 일반적으로 탑라인에 가는 것은 포지션의 문제일 뿐입니다. 럭스는 미드 (포지션)에 가는 마법사 (역할) 입니다. 그녀는 또한 봇라인에서 지원형으로 활약하기도 하죠. 카직스는 탑, 정글, 미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암살자 챔피언입니다. 

어떤 포지션 선택도 챔피언의 고유역할에 전혀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 - 챔피언들은 여전히 똑같은 스킬세트를 가지고 있고 똑같은 플레이스타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포지션은 챔피언들이 게임에서 무슨 행동을 해야할지에 대해 영향을 줄 수는 있습니다. 일부 챔피언들은 어떤 포지션에 좀더 잘 들어맞겠죠. 하지만 영향을 미치는 변수 또한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팀원이나 적팀의 조합은 어떤 챔피언의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아이템 빌드 시너지 또한 특정 포지션에서 수행하는 챔피언의 능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탑라인과 정글에서 자르반 4세를 플레이할 때 구매하는 아이템이 다른 것은 설령 같은 챔피언이라 할지라도 두 포지션을 다르게 볼 수 있음을 알려주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현재의 게임 벨런스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하지만 챔피언의 핵심적 역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역할과 포지션은 다소 다른 개념이며, 우리는 디자이너로서 구별하여 접근하고 있습니다. 플레이어들은 이 정보를 통해 챔피언으로부터 얻는 강점, 혹은 약점이 무엇인지 좀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개념에 대하여 용어를 통일함으로써  복잡한 이슈에 대해 좀더 나은 토론을 만들어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후 이어지는 유저들의 질문&답변 일부

IConquer1101

Quote:
Originally Posted by hartar View Post
정글러 역할을 까먹었구나 모렐로야.
안 까먹었어. 정글러는 포지션이라고. 전사, 암살자, 탱커, 심지어 마법사도 정글링이 가능하지.
Morello  - 제대로 된 답변이 진짜 빨리 달렸네요.

Quote:
Originally Posted by IS1291c34e895c5460d6063 View Post
좀 말해줘봐. 마이는 PBE처럼 암살자로 머무르는거야? 다른 밀리캐리 3명은 어케 되는거임?
네. 마이의 패턴은 일부 캐리적 성향을, 일부는 암살자의 성향을 띠고 있습니다. 밀리캐리들은 이 분류방법으로 분류하기 가장 어려우며, 역할을 명명하기 어려운 소수의 캐릭터입니다. 이러한 분류가 그들을 다루는 방식을 변화시키진 않을 겁니다. - 우리는 여전히 이 설계공간이 작업이 필요함을 알고 있습니다. 정말로.

.....

라이엇포스트 3개만 봤어도 헛소리 안하는건데.. 죄송합니다

Quote:
Originally Posted by Halcione View Post
판테온이 포함된 '마법사'라는 분류명칭을 정말 이렇게 부르는게 현명한걸까? 스킬에 의존한다는 점은 이해하겠지만, '캐스터' 라든가 '마법' 이라는 의미가 덜한 단어를 쓰는게 낫지 않아?

이에 대해 토론해보았습니다 - 그런 면이 있는것도 같아요. 일반적으로 'AD 캐스터' 라고 불려왔으니 캐스팅이라는 의미가 들어간다면 뭐든지 OK 라고 생각합니다. Mage와 Caster 단어중에 하나를 고르는건 정말 어려웠어요!

Quote:
Originally Posted by Tyrauk View Post
재밌네. 근데 애쉬는 사수/지원형으로 분류하게 되나? 애쉬가 가진 CC의 양이 사수의 범위 밖인듯 한데. 그렇다고 막상 애쉬를 사수/지원형이라 부르면 이상할 것 같아.
뭐가  이상할까요. 당신의 말이 맞습니다. 애쉬는 사수의 틀을 조금 벗어나 있어요.




Quote:
Originally Posted by starkey xxx View Post
우르곳은 사수/탱커 가 되는건가? (뒤쪽은 월오탱 얘기가 나오는데 약간 애매해서 번역 안했습니다;)
아마 전사/사수 , 혹은 그 반대가 되겠죠.


Quote:
Originally Posted by Prince Kassad View Post
럭스/카르마/모르가나/오리아나는 마법사 또는 지원형이 되는거야?
마법사죠. 이들은 단지 서폿 포지션에서 플레이할 뿐, 그들의 역할은 마법사입니다.




Quote:
Originally Posted by Loveshockk View Post
새로운 명칭 시스템에서 피오라는 어디에 속하게 될까? 나는 피오라의반격(W)이 얼마나 끔찍한지 알고 있어서 도저히 전사라 부르고 싶지가 않은데 말이야.
암살자일겁니다. 피오라는 밀리캐리 챔프 중 암살자의 특성에 가장 가깝습니다.



Quote:
Originally Posted by nmTdnAtlhomdAmla View Post
...제드는?
제드는 순수 암살자입니다.


Quote:
Originally Posted by VoidInsanity View Post
모데카이저는 저 분류 중 어디에도 들어가있지 않아. 모데가 왜 전사임?
전사들은 각각 고유한 기동성, 데미지, 방해효과, 내구성의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로, 모데카이저를 (primarily) 메이지로 분류하는데는 다시 따질 이유가 없지만 (광역피해효과와 스킬을 이용한 데미지), 모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가하는 피해량이 증가하는 (secondarily) 전사입니다. 

따라서 모데의 '고유한' 조합은 데미지와 약간의 내구성(다른 마법사들과 비교한다면. 실드 덕분에) 이죠.


챔피언 분류에 대한 설명은 비교적 낫지만 '명사수' 분류 아래쪽의 번역은 명확치 않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어색하거나 잘못되었다 싶은 문장이 보인다면 원문을 확인해주시길. 오역지적은 더욱 감사.. ㅎ;

요약 : 
챔프 분류방식을 정의했고, 특히 'ad캐리' 라 불리는 원딜의 공식 명칭이 '사수(Marksman)' 로 변경됩니다. 
분류가 명확하지 않거나 혼재된 챔프는 두개의 분류를 씁니다. 
또한 포지션과 역할을 구분해야 한다는 언급이 들어있습니다.




잡설 부분 삭제했습니다. 코멘트상으로는 아직 포기 안한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