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마지막 살림살이가 될 내년도 예산이 사상 처음 600조원을 넘어선 6077000억원 규모로 확정됐다. 국회 논의 과정에서 코로나19 장기화로 피해가 컸던 소상공인을 위한 손실보상과 맞춤형 지원을 위한 예산 2조원이 증액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국고지원 규모가 대폭 확대됐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 최근 확진자 증가에 따른 방역 대응 예산도 1조4000억원 늘어나는 등 정부 예산안보다 3조3000억원 커졌다. 기획재정부는 3일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내년 예산안 수정안이 상정돼 의결됐다고 밝혔다. 국회 심사 과정에서 정부안 대비 8조9000억원 증액하고, 역대 최대 규모인 5조6000억원을 깎으면서 정부가 지난 8월 말 제출한 6044000억원보다 3조3000억원 늘어난 6077000억원 규모이다. 이는 올해 본예산 558조원 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사실상 현 정부 첫 예산이었던 2018년(7.1%)부터 2019년(9.5%), 2020년(9.1%), 2021년(8.9%)에 이어 내년까지 임기 내 평균 8.7%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게 됐다. 현 정부 임기 마지막 해까지 적극적이고 과감한 확장재정 기조를 이어가게 됐다.


















증가액만 놓고 봐도 올해 본예산 대비 497000억원으로 역대 최대이자 4년 연속 40조원 이상 증액이 이뤄지는 셈이다. 내년 총수입은 정부안(5488000억원) 대비 4조7000억원 늘어난 5536000억원으로 확정됐다. 올해 2차 추경(5146000억원)과 비교해 7.6% 증가했다. 내년 국가채무는 정부안 대비 3조9000억원 감소한 10644000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비율은 정부안(50.2%)보다 소폭 줄어든 50.0%로 개선됐다. 통합재정수지 적자 규모도 당초 정부안에서는 556000억원이었으나 최종적으로는 541000억원으로 줄었다. GDP 대비로는 -2.5%다. 예산안 법정 처리기한(12월2일)을 하루 넘기기는 했지만 여야 간 이견 조율 끝에 무리 없이 국회 문턱을 넘으면서 예산 집행을 위한 사전 준비 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서도 여유를 둘 수 있게 됐다.















12개 세부분야 가운데 ▲보건·복지·고용(2167000억원→2177000억원) ▲교육(832000억원→842000억원) ▲일반·지방행정(968000억원→981000억원) ▲산업·중소·에너지(304000억원→313000억원) ▲사회간접자본(SOC·275000억원→28조원) ▲농림·수산·식품(234000억원→237000억원) ▲문화·체육·관광(8조8000억원→9조1000억원) ▲환경(119000억원→119000억원·100억원 증액) 등은 정부안 대비 늘었다. 반면 ▲국방(552000억원→546000억원) ▲연구·개발(R&D·298000억원→298000억원·300억원 감액) ▲공공질서·안전(224000억원→223000억원) ▲외교·통일(6조원→6조원·1000억원 감액) 등 4개 분야는 감액됐다. 지난해부터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로 큰 타격을 입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지원하기 위해 국회 논의 과정에서 관련 예산 증액이 이뤄졌다. 소상공인 손실보상과 손실보상에서 제외됐던 업종에 대한 맞춤형 지원 예산이 101000억원으로 2조원 확대됐다. 손실보상 하한액을 10만원에서 50만원(분기당)으로 5배 인상해 영세 소상공인을 보다 두텁게 지원한다. 소상공인 213만 명을 대상으로 최저 연 1.0% 금리 대출로 총 358000억원 자금을 공급해 저신용자 금융절벽 해소와 이자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관광·체육·문화, 택시·버스 등 손실보상 비대상업종에 대해서는 금융·인력·방역물품, 매출회복 등 맞춤형 지원을 위한 4000억원을 새로 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