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외로 2넴 먹보에서 헤딩하는 막공이 많더라구요.

주료 헤딩하는 구간이 산성격류와 2페이즈 부분이던데, 이 구르기 구간에 관한 팁입니다.

아래는 팁게에 올라왔었던 구르기 영상입니다.

 



우선 광물먹보의 기본적인 맵입니다.

저 위치에서 그대로 시작하면 먹보가 구를수 있는 곳은 딱 2군데 뿐입니다.


위의 그림으로는 먹보가 6번 위치에 있기 때문에, 구를수 있는 위치는 1번과 6번 위쪽으로 돌아 7번으로 가는 

코스입니다.

예를들어 4번에 있었다 하면 8번 아래를 돌아 5번에 때려박는 코스와 3번으로 직진하는 코스 2가지가 있겠죠.

보통 많이들 알고 계신게 '온 길로 돌아가지 않는다' 라고 하는데 맞는 말입니다.

정확히는 '온 길로 되돌아 갈 수가 없다.' 가 좀 더 정확한 표현이 될 수 있겠습니다.

예를들어 6번에서 7번으로 와서 박아서 멈췄는데, 7번에서 6번으로 가면 6번에서 멈출수 없고 1번까지 가기 때문.


그냥 간단히 '먹보가 갈수 있는 길은 2가지 뿐이다. 직선 혹은 ㄷ 자 이동.' 으로 기억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래서 팁은 뭐냐하면...




예를들어 본인의 위치가 3번이다 치면 A 방향과 B 방향. 딱 이 두곳만 이동해서 피하는게 가능합니다. 

이렇게 이동할 경우 총 10미터도 안되는 무빙으로 안정적으로 힐/딜이 가능한게 장점.

예를들어 고렌이 2번위치일 경우에는 7번 혹은 1번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

1번은 신경도 안써도 되고 7번이 문제인데요, 이때는 A방향으로 피해주시면 그 다음에 어딜 가던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3번을 거쳐서 2번으로 가던, ㄷ자 이동으로 8번에 가던 둘중 하나니까요.

8번으로 가면 다시 B로 이동하고 2번으로 가면 신경 끄셔도 됩니다.

이 위치는 근딜 및 힐러에게 좋습니다.



원딜의 경우에는 C와 D를 이용하면서 왔다갔다 무빙하면서 바깥쪽 상자를 까주시면 됩니다.

이경우엔 더 쉽습니다.

8번에서 C를 거쳐올 일은 전혀 없으니, C에서 대기타고 있다가 D방향을 통해 7번에 박으면 그때 D방향으로 이동하면

끝. 혹시 돌아올지도 모르니 회피 이후 다시 C번자리로 오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파티를 분배해서 각 모서리마다 배치를 해 주면 엄청나게 간단한 무빙으로 회피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신화모드에서도 응용이 가능합니다.

잿가루가 7번에 깔리게 되면 C, D, 3번 방향으로 십자 포화가 생기게 되는데, 다음번에 와서 박기전에

외곽쪽 원딜조가 A방향으로 와서 이동해주면 간단하게 피할 수 있습니다.

잿가루가 바로 터지는게 아니고 다음번에 와서 박아야 터지는것이기 때문에 대응할 시간도 충분.




팁은 이상입니다.

이 팁으로 인해 많은 막공이 덜 헤딩을 했으면 좋겠네요...

후잡한 그림 설명이라 눈갱 죄송합니다.


p.s : 항상 광물먹보가 있는 대각선 방향으로 피하는게 좋지 않느냐  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물론 그게 가능한 클래스라면 그게 편할수도 있습니다만, 이렇게 될 경우 힐러들이 한곳에 몰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반대편 딜러들은 힐이 안들어가서 죽는 경우가 굉장히 허다합니다.

   또한 발고자 클래스는 먹보의 이동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에 상자딜은 커녕 뛰어다니느라 바쁘기 때문에...

   위의 공략대로 파티별로 배치를 해두면 최소한의 무빙으로 상자를 안정적인 딜링이 가능하기 때문에 선택한

   방법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