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세나리우스 서버 Against All Authority 공대에서 활동 중인 죽음의안부입니다.

 

현재 매일 같이 올라오는 딜사이클에 대한 질문과 공지와 검색만으로는 얻기 힘든 정보 등을 초보 분들이나

딜 사이클로 인해 고민 중이신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글을 쓰기로 했습니다. 고수 분들은 보시면서 가볍게 웃어주시면 될 듯 하네요. ^^;

 

이 글은 그 동안의 경험에서 나오는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들어가 있습니다.

제가 올린 글이 꼭 답은 아니니 간단하게 참고만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아마도 4.0.6패치 이후에도 크게 변경사항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초보 분들에게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목차 ----------

 

1. 특성 및 문양

2. 딜 로테이션

3. 유용한 매크로

 

--------------------------

 

 

 

 

1. 특성

 

 

(6/0/35) 대마법 지대 트리

 

 

현재 제가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특성이자 대마법 지대가 포함된 특성입니다.

마법억제에 3포를 줌으로써 죽음의기사의 최고의 생존기 중 하나인 대마법 보호막의 활용도를 극대화 하였고 그에 따른 룬마력 수급으로 인한 딜량 상승도 높은 기여를 합니다. 특히 대마법 지대라는 공대 단위의 생존기가 추가 됨으로써 레이드의 공략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최대 룬마력이 100으로 적다는 점과 혈기전환의 쿨이 45초라는 단점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룬마력이 100이상 킵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정말로 딜을 빡빡하게 돌릴 경우는 룬마력이 부족할 정도라고 생각이 되기 때문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7/2/32) 일반적인 딜트리

 

 

현재 가장 무난한 딜특성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혈기전환과 룬마력 전문화에 적절히 특성을 분배하였고, 마법 억제 특성의 경우 1포인트만 투자 함으로써 대마보로 인한 룬마력 수급 기능을 최소한으로 살려놓은 특성입니다.

자신이 대마법 지대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 특성이 가장 이상적인 특성이 될 것이라 생각이 되고 혈기전환의 쿨이 30초인 점, 룬마력 최대치가 120으로 비교적 넉넉한 편이라 조금 더 편하게 딜링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위 특성을 보면 왜 부정의 1포를 모독이 아닌 부정의 명령에 주었냐하는 의문이 드시는 분들이 있으실 겁니다.

그건 순전히 제 생각과 취향입니다. 부정의 경우 다음 특성으로 넘어가기 위해서 10포를 주어야하는 구간에 남는 잉여 1포가 있습니다. 보통은 그걸 모독에 투자를 하는데 저 같은 경우는 모독이 오히려 바닥에 깔림으로 써 바닥을 가려 공략에 방해가 되거나 실질적으로 레이드에서는 크게 도움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그나마 죽손을 조금 더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부정의 명령 특성에 투자하였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의 생각에 따라 부정의 명령이나 모독, 되돌아오는 감염등에 본인의 입맛에 맞게 1포를 투자하시면 됩니다.

 

 

 

 

- 문양 -

 

 

상급 문양 : 시체 되살리기, 스컬지의 일격, 죽음의 고리

주 문양 : 대마법 보호막, 전염병, 피의 소용돌이

보조 문양 : 겨울의 뿔피리, 혈기 전환, 얼음길

 

 

제가 생각하기에 가장 최적의 문양이라고 생각하는 문양들 입니다.

상급 문양을 제외한 주 문양, 보조 문양의 경우는 본인의 입맛에 따라 바꾸셔도 딜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 딜 로테이션 -

 

단일 딜 : 돌발열병 -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가고일매크로 - 이후 룬 소비

 

광역 딜 : 돌발열병 - 전염병 -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죽음과 부패 - 피의 소용돌이

 

 

우선적으로 부정죽기의 경우 피의 일격은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역병의 일격과 얼음 손길 같은 경우도 돌발열병이 쿨일 때 역병을 감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이 될 뿐 전혀 사용하지 않습니다. 주요 딜링은 요소는 구울, 스컬지의 일격, 죽음의 고리, 고름의 일격입니다.

 

단일 딜의 경우 몇가지 스킬에 대해 간단한 설명을 드리자면 우선 적으로 죽음의기사는 상대방에게 역병이 걸려 있을 경우 자신의 스킬데미지가 퍼센티지로 증가하는 스킬 등이 있습니다. 특히 부정죽기의 주력 스킬 중 하나인 스컬지의 일격은 질병 하나당 12%의 암흑데미지를 추가로 입히므로 질병은 특별히 신경쓰면서 끊기지 않도록 유지해주셔야 합니다.

 

그 다음 설명해 드릴 스킬은 혈기룬과 냉기룬을 사용하는 고름 일격으로써 주로 사용되는 목적은 혈기룬과 냉기룬을 사용함으로써 두 가지 룬을 죽음의 룬으로 바꿔주는 역할을 합니다. 게다가 질병의 지속시간을 6초나 늘려주기 때문에 질병유지에 탁월한 능력을 보여줍니다.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용도는 단순히 질병의 유지 시간을 늘려주는 것과 혈기룬냉기룬죽음의룬으로 바꿔주기 위한 스킬일 뿐이지 주력 딜링 스킬이 아니므로 혈기룬과 냉기룬이 활성 화 되어 있을 때만 사용해 주시면 됩니다.

 

 

 

자 이제 딜사이클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자면 먼저 위에 단일 딜 사이클대로 모두 누르셨다면 룬이 모두 사용되어 재사용 대기 중이고 룬마력은 딱 60이 쌓인 상태에서 가고일을 뽑았기 때문에 0이 되어있을겁니다. 이 다음부터 신경 써주셔야 할 것은 부정룬, 죽음의룬은 모두 스컬지의 일격, 혈기룬냉기룬고름의 일격으로 사용해주시면 됩니다.

 

--------------------------------------------------------------------------------------------

그리고 가장 중요한 '룬 부패' 룬 부패란 죽음의 고리를 사용시 일정확률로 룬의 회복속도를 100% 올려주는 특성입니다. 이를 최대한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혈기,냉기,부정의 룬을 각각 1개씩 소모한뒤 바로 죽고를 날려주는 패턴을 반복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자면 <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죽고 >의 패턴입니다. 각각의 룬을 1개씩 사용한 뒤 룬부패를 발동 시키는 딜 사이클을 반복하시면 룬부패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손이 노는 시간이 없는 딜사이클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딜을 하는 이유는 대격변 이후 변경된 룬의 회복방식을 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

 

그 외에 죽음의 고리를 사용할 경우 구울에게 어둠 주입이라는 버프가 생깁니다. 이게 5중첩이 되면 어둠의 변신이라는 스킬 사용이 가능해 지는데 부정죽기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합니다. 부정죽기의 경우 가장 높은 딜 비율이 차지하는 것이 구울이므로 죽음의 고리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서 구울을 빨리 변신 시켜주는 것이 딜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가고일의 경우 부정죽기의 궁극기(?)와 같은 스킬인데 룬마력을 60을 소모하여 30초간 전투를 도와주는 가고일을 소환합니다. 간혹 보면 부정죽기분들중에 가고일을 아예 쓰지 않는 분들이 계시는데 부정죽기 스킬중에 룬마력 60을 소모해서 가장 많은 데미지를 줄 수 있는 스킬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고일은 뽑을 당시의 캐릭터 본체의 능력치를 그대로 복사해서 소환이 되는데 그로 인해 장신구나 여러가지 쿨기등이 활성화 되어 있을 때 뽑아주시는게 가장 좋은 효율을 발휘합니다. 그렇다고해도 장신구가 터질 때까지 기다려서 가고일을 뽑는 것은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쿨마다 사용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특히 가고일에 대해서 팁을 드리자면 가고일의 경우는 공격스타일이 일반공격과 가고일의 일격이라는 두가지 종류의 스킬을 사용합니다. 이게 몬스터를 정면으로 보고 가고일을 그냥 뽑으시면 자신의 정면시야에서 약 10시방향에 가고일이 소환됩니다. 그럴 경우 몹에게 너무 근접되어 있어서 가고일의 일격보다 일반공격을 더 많이해서 딜로스가 많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를 방지에 가고일을 뽑기전에 시야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100도쯤 꺽으셔서 뽑으시면 가고일이 자신의 뒤에 생성되므로 이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가고일을 뽑으실 때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리고 딜 사이클을 돌리시다보면 죽룬/혈룬 , 죽룬/냉룬과 같이 에메하게 룬이 남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그냥 고름 일격으로 둘 다 사용하셔서 다음 죽음의 룬 2개를 스격에 사용해주시는 것이 딜사이클 꼬임없이 조금더 안정적입니다.

 

 

그 외에 룬도 모두 돌고 남은 룬마력조차 없다 하는 상황에서는 겨울의 뿔피리를 한번 불어주시면 됩니다. 겨울의 뿔피리의 경우 사용시 룬마력이 10 회복 됨으로 아무것도 할 것이 없는 상황에서 많은 도움이 됩니다.

 

위의 설명을 모두 이해하시고 딜 사이클대로 허수아비를 처보시고 아래와 같은 순으로 딜 순위가 나올텐데요, 이 쯤까지 딜사이클을 익히셨다면 제가 더 이상 드릴 팁이 없는 수준이 되셨다고 봐도 무관할 듯 합니다.

 

 

스컬지의 일격 >= 죽음의고리 > 일반공격 > 스컬지의 일격(암뎀) > 고름의 일격 >= 질병데미지

 

죽음의 기사의 경우 룬에 대한 이해도와 본인의 센스가 커갈 수록 더 능동적으로 딜사이클을 돌리실 수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리고자 한 딜사이클은 가장 기본적인 베이스가 되는 부분으로 이 후의 딜링에 대한 센스는 본인이 게임을 플레이하시면서 익히시면 될 듯 하네요.

 

 

 

광역딜 부분에 대해서는 크게 설명을 드릴 부분이 없네요. 그냥 역병 작업 이후에 전염병, 그리고 어글을 봐서 죽음과 부패를 깔아주시면 됩니다. 광역딜의 경우 크게 중요한 부분이 아니기 기본적인 역병유지와 광역스킬 몇번씩 써주면서 딜링해주시면 됩니다. -_-; 너무 간단하네요.

 

 

 

 

 

 

- 유용한 매크로 -

 

 

< 구울 관련 >

 

#showtooltip 스컬지의 일격
/시전 [@target, harm] 스컬지의 일격
/시전 [pet:구울, @playertarget, harm] 할퀴기

 

이 매크로는 showtooltip부분의 스킬명과 /시전 부분의 스킬명만 바꿔 주시면 다른 스킬과도 묶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구울의 할퀴기라는 스킬이 있는데 이 것을 자동발동으로 해놓으면 구울이 기력이 찰때마다 바로바로 쓰는 것이 아니라 에메하게 스킬을 쓰기 때문에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스킬과 구울의 할퀴기를 같이 묶어둠으로써 기력이 차는대로 바로바로 할퀴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크로입니다. 딜링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이 매크로에 죽음의고리를 묶을 경우 구울에게 힐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죽음의고리는 [@targer, harm] 이 부분을 지워주세요.]

 

 

#showtooltip 어둠의 변신

/시전 혈기 전환

/시전 어둠의 변신

 

혈기 전환을 쿨마다 사용해주시는 분들도 있으시겠지만 저 같은 경우 손이 둔해서 어둠의 변신에 묶어서 사용을 합니다.

어둠의 변신 유지가 딜링 포인트에 중요한 부분인데 막상 어둠의 변신 쿨이 떴는데 부정룬이 없다면 그만큼 딜을 손해보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그런 상황을 없애기 위에 혈기전환과 같이 묶었습니다.

 

 

 

< 가고일 관련 >

 

#showtooltip 가고일 부르기

/시전 피의 격노 (오크의 경우만)

/시전 부정의 광기

/사용 물약이름 (물약을 같이 묶어서 사용할 경우)

/시전 가고일 부르기

 

위와 같이 가고일을 뽑기전에 쿨기나 여러가지 증폭효과를 몰아넣어두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을 해드렸기 때문에 따로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특히 부정의 광기의 경우 가고일과 쿨이 3분으로 같으므로 안성맞춤의 스킬입니다.

 

 

 

< 특정 네임드 구울 매크로 >

 

#showtooltip 부정의 광기
/시전 [target=pet] 부정의 광기

 

위의 매크로는 키마이론 트라이시에 대학살로 인해 피가 1만이하로 빠지는 것이 위험하기 때문에 부정의 광기를 구울에게 걸어주는 매크로입니다. 키마이론 트라이시에만 사용하시면 유용합니다. 물론 이때는 가고일에 포함되어 있는 부정의광기를 잠깐 지워주셔야겠지요?

 

 

 

 

 

글을 쓰다보니 다소 길어지게 되었네요.

 

제가 글솜씨가 부족한 관계로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자세히 설명드린다고 썼는데 도움이 될지 모르겠습니다.

 

수정해야 될 사항이나 기타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을 남겨주시면 시간이 되는 대로 댓글을 달아드리겠습니다.

 

 

제 주관적인 경험과 생각에서 나온 글이므로 '이 것이 정석이다'라는 것은 아니니 참고만 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죽음의기사분들 모두 화이팅!

 

 

 

----------------------------------------------------------------------------------------------------

 

매일 확인하며 혹시나 도움을 드릴 일이 있나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 또한 놓치고 있던 부분을 댓글이나 쪽지로 지적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틈틈히 내용을 조금씩 수정하고 있습니다. 모두 감사드립니다.

 

질병부스팅 등의 다소 난이도가 있는 딜사이클 방법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기본적인 딜사이클의 베이스만을

알려드리고 작성한 글입니다.

 

 

2011/3/31

 

이 글은 어느 정도 시간이 많이 흐른 글입니다.

지금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딜사이클에 대한 부분은 아주 기초적인 부분을 적어둔 것으로써 조금 더

조금 더 복잡하지만 더 높은양의 딜을 원하시는 분들은 제 글중에 부죽딜에 대한 간단한 팁이라고 적어놓은 글이있습니다.

그글에 '질병부스팅' 등 사소한 팁을 몇가지 적어두었습니다.

 

참고하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