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1796&l=26903    <<1편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많은분들이 댓글로 몇가지 정보를 알려주셨더군요..^^ 감사합니다.

보니까 숙련부분에 대해서 제가 잘못알고 있었고, 의견이 분분하시던데 사실 "죽탱"에게 숙련은 그렇게 중요한 사항이 아니므로
^^;;

자그럼 2편 들어가겠습니다.

4. 아이템 입찰

4-1) 주특입

자, 일반적인 판금탱커 의 "주특입(주특성 입찰)"을 알아보도록 하겠음.

1편에서도 설명드렸다 시피, 탱커의 주요 스탯은 적중, 회피율, 무기막기, 특화도 등 이라고 볼 수 있겠음.

즉, 판금탱커에게 필요한 아이템은, 힘+체력 옵션의 아이템에 회피율, 무기막기, 특화도, 숙련, 적중도중 2가지 이상의

옵션이 붙은 아이템 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겠음.

만약 힘+체력 옵션의 아이템인데 특화도+가속도의 옵션이다. 이러면 "판금딜러"의 아이템 이라고 보는게 맞겠음.

5인 일던에서는 판금탱템위주로 입찰을 하면 좋겠고, 10인이상의 레이드 던전에서는 아마도 다른 한분의 탱커와 아이템

입찰을 하게 될 것임.

4-2) 판금딜러..

이야기가 나와서 하는 말이지만 언제나 끊이지 않는 논란의 대상은 바로 "판금딜러" 임.

판금딜러, 말그대로 전사, 죽음의기사, 성기사 의 판금클래스 중, 예를들어 분노전사, 냉죽, 징기 등의 딜을 탄 클래스를

말하는 것으로써 여기까지는 사실 아무 문제가 없음.(보다보면 딜도 상당히 잘 뽑음. 징기는 패치이후로 딜상당히 좋음)

하지만, 문제가 되는 부분이 이 판금딜 분들의 이중특성은 거의 대부분이 "탱킹 트리"라는 것에서 문제가 발생됨.

즉, 판금 딜러로 왓다가 괜찮은 탱킹템이 나오게 되면 입찰을 하게 되는 것임.

여기에 대해서는 할 말이 많지만 코멘트를 달지 않겠음. 어차피  초보분들을 위한 글이고 정보를 모른상태에서

이런상태가 발생하는 것 보다 미리 알고잇으면 여러가지 대처를 할 수 있기 때문임.

대처방법 몇가지를 알아보겠음.

        (1) 양해를 구한다
             필자같은 경우는 영던파밍중에 우선 판금딜이 있다면 이렇게 이야기를 했음.
             "안녕하세요. xxx님 주특입 가능하시죠.?^^;"
             "안녕하세요. xxx님, 제가 이던전 xxx템이 필요해서 왔는데 나오면 양보좀 해주세요.."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 100에 80이상은 "네"라고 대답을 해준다.
        (2) 다른서버 길드팟은 되도록이면 피하자
             필자도 사실 길팟을 가끔 다니는 편이다. 여기서 경험에서 우러러나온 팁을 한가지 주겠다.
             길팟이더라도, 길드원들의 파밍이잘된상태의 다른서버 길드팟이면 같이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파밍중이거나 자신과 클래스가 겹치는(판금딜러종류) 클래스가 있는 다른길드 길팟이라면
             피를보기가 쉽다. 물론 좋은분들도 많지만, 필자는 피를본 경우가 더 많았다.
        (3) 헤딩을 하기싫고 막넴까지 쭉~달리고 싶다면 섭팟을 모아라
             가끔, 영던졸업하게되면 용맹점수를 먹기위해 무작을 가는데 "막넴직 갑니다"이렇게 선언하는 탱들을 보면
             어이가 없다. 무작이 왜 무작이겠는가? 차라리 "드실꺼 없으면 막넴직 가도 되나요?"이렇게 물어보는건
             이해가 충분히 간다. 아예 막넴직을 가고싶고, 일일이 리딩하기 귀찮은 경우라면 서버에서 "막넴직팟 가실분, 탱대기중
             " 이렇게만 말씀하셔도 모이셔서 바로갑니다.

5. 탱커의 무빙

필자가 이 글을 쓰게된 이유이다. 탱커의 무빙에 대해서 하고싶은 말이 많기 때문에..

탱커의 무빙이란 무엇일까?

무빙, 움직이다 즉 기본적으로 움직인다 라는 뜻일 것이다.

자 그럼 여기서 처음으로 돌아가 보도록 하겠다.

탱커가 뭔가?


다들머릿속으로 바로 떠올랏 으리라고 생각한다. 탱커는 파티원들이 피해를 안입고 안정적인 딜, 힐을 할 수 있게

하는 직업인 것이다.

자그럼 다시 무빙으로 돌아가겠다. 탱커는 왜 무빙을 해야하나?

대격변에 들어와서부터는 무빙하는 구간이 상당히 많아졌다. "와우는 무빙"이라는 속담도 있다.(-_-)

탱킹을 하다가 넴드가 바닥을 깔앗다, 안피하고 말뚝탱하면 힐러엠마르고 탱도 바로 다이다.

다크스웜안에서 싸울텐가? 그거랑 똑같다.

이러한 점 때문에 탱커는 무빙을 해야한다. 여기서 발생하는 문제점..

필자도 처음 탱킹을 할때는 가만히 탱하면 심심하기도 하고, 폴짝폴짝 뛰면어 넴드 쪽으로 막 빙글빙글돌고

뭔가 무빙이 좀 하는것처럼(;;) 있어보이려고 그렇게 했던 기억이 난다. 딜러로 무작을 가봐도 이런분들이 많으시다.

딜러, 힐러입장에서는 ㅤㅂㅞㄺ!! 이다.

그렇게 머얼~리 이동하고 뛰어댕기게 되면 딜러들역시 똑같이 자리를 옮겨야 하고, 최소자리를 옮기려 하는데

그쪽에 또 장애물이 있다면 또움직여야 한다. 힐러역시 움직이다 힐이 끊길수도 있다. 이렇게되면 약간이나마

힐로스, 딜로스가 발생하게 된다.

바로 탱커는 몹만 잡고 있다고 탱하는 것이 아니라, 몹의 어글을 획득하고 있으면서 딜러, 힐러들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딜, 힐을 할 수 있게 해야한다는게 필자의 생각이다.

필자같은경우는 탱을 할때, (레이드) 바닥을 깔앗다 -> 뒷걸음질 1초정도 ->다시탱 -> 옆걸음질 1초 ->다시탱

이런식으로 거의 안움직이면서 탱을 하고 있다. 무빙이 많은구간이면 어쩔수 없지만 최대한 무빙을 줄이고

탱딜이 편하게 해주자. 그것이 바로 탱커다.

무빙할때 빠르게 도망간다고 앞으로 내다 뛰지말자. 몹에게 뒤통수맞고 한방에 훅가는 경우가 생긴다.

1편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무기막기와 회피율이 존재하지만 뒤에서 공격을 받았을때는 ..

그래서 항상 무빙할때는,명심하길 바란다. s키(뒷걸음)과 a, d 키(옆걸음)으로 해결을 하길 바란다.

이것은 탱커의 기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