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세나리우스 서버에서 플레이 중인 유저 '죽음의안부'입니다.

 

자세한 세팅법이나 기타 고급 정보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고 오로지 딜링 방법에 대해서만 다룬 글입니다.

보시고 다른 기타 궁금하신 부분은 게시판에 글을 올리시면 저보다 뛰어난 많은 분들이 댓글을 달아주실거에요!

 

 

 

 

 

 

 

 

 

[4.x] 부정 죽음의기사 기초 딜링 가이드

 

 

 

 

 

 

 

 

 

◆ 목차 ◆

 

- 기본 적인 특성 및 문양

 

- 부정 딜링의 운용 방법

 

- 유용한 매크로

 

 

 

 

 

 

 

 

 

 

 

 

< 기본 적인 특성 및 문양 >

 

 

 

 

 - 기본 베이스 특성 -

 

 

 

현재 EJ포럼에서 제공하고 있는 베이스 특성입니다. 꼭 찍어야하는 특성을 찍어 둔 특성이고 4포인트가 남습니다. 이건 레이드의 공략 방법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정 부분을 보면 죽손에 1포를 준 것이 보이는데 이건 단순히 10포를 채워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함입니다. 모독이나 되돌아오는 감염을 찍어주셔도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현재 가장 인기가 있는 2가지 특성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ㄱ. (7/2/32)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6&tab=398&tree=39801&talent=203200000000000000002000000000000000000013300321230131021231

 

대마보 특성은 1포만 주고 대마지를 포기한 트리입니다.

혈기전환2포와 룬마력2포를 주었으므로 혈기전환을 통한 조금 더 유동적인 딜링이 가능하며 룬마력에 2포를 주었으므로 룬마력 통 또한 넉넉해집니다. 생존 능력 및 룬마력을 흡수하는 양은 대마지 특성보다 조금 떨어지나 딜링에 조금 더 유리합니다.

ㄴ. (6/0/35)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6&tab=398&tree=39801&talent=2031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13300321230331121231

 

대표적인 대마지 트리입니다.

대마지는 타 공대생존기처럼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지는 않습니다만 꽤나 많은 도움을 주는 생존기입니다. 혈기전환은 1포만 주고 룬마력 쪽은 전혀 투자하지 않아서 자원을 알뜰하게 써주어야합니다. 대마보 특성에 3포를 주었으므로 마법 생존능력에 상당히 뛰어나며 룬마력 흡수량 또한 뛰어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특성입니다. (7/2/32) 특성에 비해 룬 운용을 조금 더 빡빡하게 해야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본인의 실력으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부분입니다.

 

 

- 문양 -

 

상급 문양 : 시체 되살리기 / 죽음의 고리 / 스컬지의 일격

주 문양 : 전염병 / 대마법 보호막 / 어둠의 원조(기타 질식이나 죽손, 피의 소용돌이 등 개인의 취향에 맞게)

보조 문양 : 겨울의 뿔피리 / 혈기 전환 / 얼음길

 

제가 추천해드리는 문양들입니다. 제가 굵게 표시해둔 부분은 꼭 착용해줘야하는 문양들이며 그 외에 문양은 본인의 취향에 따라서 다른 걸로 바꾸셔도 크게 상관이 없는 문양들입니다. 딱히 위에 문양 외에 다른 곳에는 바꿀만한 문양이 없는것도 사실입니다. -_-;

 

 

 

 

 

 

 

< 부정 딜링의 운용 방법 >

 

 

 

 

- 기본 딜사이클 -

 

얼음 손길(역병의 일격) - 역병의 일격(얼음 손길) - 고름 일격(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의 일격(고름 일격) - 혈기 전환 - 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가고일 소환 매크로 - 겨울의 뿔피리

 

 

기본적으로 '겨울의 뿔피리'는 항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딜사이클을 시작할 때 네임드 몬스터와 멀리 떨어져있다가 붙으면서 시작하기 때문에 얼음 손길을 먼저 쓰신 후 딜사이클을 진행하시는게 조금이나마 더 유리합니다. 다만 역병의 일격을 먼저 사용하셔서 딜사이클을 시작하시는 경우는 괄호친 부분의 순서대로 딜사이클을 시작해주시면 됩니다. 그 이유는 한 가지 룬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각각의 룬을 하나 하나씩 소모해주시는 것이 더 룬 운용에 이득이기 때문입니다.

 딜 사이클을 저렇게 시작하신 뒤에는 혈기룬/냉기룬의 경우는 '고름 일격'에 소비해주시면 되며 죽음룬/부정룬의 경우는 '스컬지의 일격'에 소비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룬 마력은 '죽음의 고리'에 소비해주시면 됩니다. 또한 불시의 파멸로 인해 발동되는 일명 '공짜 죽음의 고리'는 최우선 순위로 소비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한 가지 스킬을 항상 난사하시기보다는 룬 부패를 유지하시면서 딜사이클을 돌리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ex.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죽음의 고리 - 고름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죽음의고리 - 스컬지의 일격x3 - 죽음의 고리 - 스컬지의 일격x3 - 죽음의 고리 - 고름일격 - 스컬지의 일격 - 죽음의 고리.. 이하 반복)

 

이론적으로는 위와 같이 돌리는 것이 좋지만 실제로 레이드에서 딜을 해보시면 항상 저렇게 돌리는게 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도중에 역병 작업을 새로 해줘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고 혈기 전환을 통한 변수도 생기기 때문에 대충 '저렇게 돌리는게 좋다'라는 정도만 알고 계시면 됩니다. 실제 딜링에 있어서는 본인의 센스와 룬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중요합니다. 기본적인 딜 사이클은 이쯤 해두고 중요한 포인트는 아래 정리하겠습니다.

 

 

ㄱ. 가고일

 

가고일은 쉽게 말하면 부죽의 궁극기-_-!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룬마력을 60소비하며 30초 동안 전투를 도와줄 가고일을 소환합니다. 가고일의 능력치는 소환할 당시에 본체의 능력치레 비례하여 정해집니다. 즉 가고일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모든 장신구 및 발동효과가 발동 중일 때 가고일을 소환하시면 가장 강력한 가고일의 소환이 가능합니다.

 

얼음 손길(역병의 일격) - 역병의 일격(얼음 손길) - 고름 일격(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지의 일격(고름 일격) - 혈기 전환 - 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의 일격

 

위와 같이 딜을 시작하시면 룬마력이 약 70정도 쌓여있고 대부분의 발동효과와 장신구가 발동되었는지의 여부가 결정되어 있을겁니다. 위와 같이 딜사이클을 시작하고 나서 모든 장신구 및 발동효과가 발동하였다면 최상의 상황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도 있을겁니다. 장신구가 모두 발동되었을 때 가고일을 소환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그렇다고 다른 장신구가 터질 때까지 딜사이클을 더 진행하고 가고일을 뽑으려면 딜 사이클이 꼬일 염려도 있으며 전투시간에 따른 손해가 발생합니다. 그러므로 모든 장신구가 발동하지 않았더라도 한정적인 전투시간 내에 가고일을 보다 많이 뽑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장신구가 터지지 않았더라도 쿨마다 써줍시다.

 

그리고 가고일을 소환 하실 때 중요한 포인트 하나 더!

패치 이후 가고일은 일반공격이 사라지고 오로지 가고일의 일격만을 사용하도록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생긴 부작용도 있으니 가고일이 네임드에 너무 가까이 소환이 될 경우 사거리가 나오지 않아 가고일이 조금씩 뒤로가는 시간이 생김으로써 그 만큼의 시간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모든 네임드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유난히 덩치가 크거나 근접 사거리가 넓게 적용되는 네임드에서 이런 현상들이 나옵니다. 그걸 방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우선 가고일의 경우는 시전자의 정면에서 10시방향에서 나오게 됩니다.

그러므로 타겟에서 고개를 시선을 왼쪽으로 90도 정도 꺽어서 뽑아주시면 시전자의 뒷 편에 가고일이 소환이 되게 됩니다. 이럴 경우 첫 소환 위치가 타겟에게서 상당히 먼곳에 소환이 되기 때문에 뒤로 날아간다거나 하는 시간손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고개를 잠깐 돌리는 것이기 때문에 평타를 못쳐서 생기는 딜로스는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설마 평타 딜로스가 아까워서 또는 귀찮아서 그냥 뽑으시면 몇몇 네임드에서는 가고일이 뒤로 날아가는 시간 때문에 많은 손해를 보게 됩니다.)

 

 

 

ㄴ. 질병부스팅

 

질병부스팅이란 죽음의 기사의 질병의 경우는 처음 시전 당시의 능력치를 질병이 새로 리필이 되거나 없어지기 전까지 쭈욱 유지 됩니다. 그 말은 질병이 걸린 상태에서 장신구가 터진다해도 데미지가 유동적으로 증가하거나 하지 않는 다는 소리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장신구와 발동 효과가 모두 터졌을 때 질병을 걸어주시고 그 질병을 오래 유지해주시는게 딜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부죽은 질병데미지가 전체 딜링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1순위로 유지해주셔야 되는 부분입니다. 질병부스팅을 하는 방법과 유지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얼음 손길(역병의 일격) - 역병의 일격(얼음 손길) - 고름 일격(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지의 일격(고름 일격) - 혈기 전환 - 스컬지의 일격 - 스컬지의 일격 - 가고일 소환 매크로 - 겨울의 뿔피리

 

역시 스타팅 사이클을 한 사이클 돌고나면 대부분의 발동효과와 장신구의 발동여부가 정해졌을 것 입니다. 여기서 주의깊게 보셔야 할 것은 '힘 증가 효과 및 전투력 증가 효과'의 여부입니다. 질병데미지는 본체의 힘의 수치에 따라 데미지가 결정되므로 힘 증가, 전투력 증가 효과가 모두 발동되었다면 그때 '돌발 열병'으로 질병을 새로 리필해주시면 됩니다.

 

질병부스팅에 성공하셨으면 질병데미지가 눈에 띄게 올라간 것이 보이실겁니다. 그럼 유지하는 방법과 질병부스팅을 리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새로운 질병을 다시 걸게 되면 기존에 부스팅 되어있던 질병이 사라지게 되므로 절대 질병을 새로 거시면 안됩니다. '고름 일격'이라는 스킬을 사용해주시면 되는데 고름 일격의 툴팁을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현재 걸려있는 질병의 시간을 추가적으로 연장시켜주는 스킬입니다. 이 스킬로 다음 장신구 쿨 및 돌발 열병의 쿨이 올 때까지 부스팅된 질병을 유지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후 돌발열병의 쿨이 오고 장신구가 모두 발동되면 다시 돌발 열병으로 질병부스팅을 걸어주시면 됩니다.

 

모든 장신구가 발동 된 첫번째 질병부스팅을 끝까지 살려갈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만 물론 가능은 하지만 굳이 그래야할 특별한 사유가 있는 네임드가 아니고서야는 다음 장신구 쿨이 돌아올 때 리필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굳이 첫 질병부스팅을 끝까지 유지하려고하시다보면 고름 일격의 타격횟수가 많아짐으로 오히려 딜로스가 될 수 있습니다.

 

간혹 딜사이클이 매끄럽지 못해 돌발열병이나 장신구의 쿨이 오기도전에 질병이 끝나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럴 경우는 어쩔 수 없이 역병의 일격과 얼음 손길로 새로 질병을 리필해주시고 다음 장신구 쿨과 돌발 열병 쿨이 모두 돌아오면 다시 질병부스팅을 시작해주시면 됩니다.

 

 

 

ㄷ. 구울

 

구울은 부죽의 가장 큰 특징인 소환수입니다. 구울 또한 본체 못지 않게 많은 딜을 해주는 녀석이므로 관리를 잘해주셔야 합니다. 별 다른 팁이나 방법은 없고 '죽음의 고리'라는 스킬이 적에게 적중하게 되면 '암흑 주입'이라는 버프가 구울에게 쌓이게 됩니다. '암흑 주입'이라는 버프는 구울에게만 적용되는 버프로 구울의 공격력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 버프가 5중첩이 되면 '어둠의 변신'이라는 스킬이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어둠의 변신이라는 스킬을 사용하시면 구울이 30초간 변신을 하게 되는데 일반 구울보다 공격력과 스킬이 강화됩니다. 변신이 되어 있는 동안은 '암흑 주입' 버프가 생기지 않으며 30초가 지나게 되면 구울은 다시 일반 구울로 돌아옵니다. 그리고 다시 '암흑 주입'이 5중첩이 되면 바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현재 구울이 많이 너프되면서 예전만큼의 우선 순위를 가지는 부분은 아니지만 구울 변신은 부죽이 딜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꼭 신경써주서야 합니다.

 

 

 

ㄹ. 대마법 보호막

 

부죽에게 있어서 대마법 보호막은 뛰어난 생존기임 뿐만 아니라 훌륭한 쿨기(?)입니다. 대마법 보호막 특성을 1포라도 투자하였다면 마법데미지를 대마법 보호막이 흡수할 때 마다 룬마력이 생성되는데 이 것이 딜 상승에 큰 도움을 줍니다. 특히 바닥을 까는 네임드에서는 일부로 대마보를 켜서 바닥위로 올라가 데미지를 받으며 룬마력을 충전하는 방법 또한 딜링에 도움이 되며 일부 마법 데미지를 쿨마다 대마보로 씹어주시면 룬마력을 충전해주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물론 대마법 보호막 특성을 3포까지 준 상태가 아니라면 일부로 가서 맞는건 힐러분들의 눈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_-a

 

대마법 보호막을 꼭 아껴야하는 구간이 있는 네임드가 아니라면 마법 데미지를 쿨마다 흡수해주며 룬마력을 충전하시면서 딜링을 해주세요. 딜링 상승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 유용한 매크로 >

 

 

#showtooltip 혈기 전환
/시전 혈기 전환
/시전 어둠의 변신

 

- 혈기 전환과 어둠의 변신을 묶은 매크로입니다. 어둠의 변신이 가능할 때 룬이 없을 경우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showtooltip 가고일 부르기
/시전 피의 격노 (오크의 경우)

/사용 10 (기공 장갑의 경우)
/사용 13또는 14 (사효 장신구의 경우 쿨이 맞는다면 넣어주시면 됩니다. 위 쪽이 13번 아랫 쪽이 14번 입니다.)

/시전 부정의 광기
/시전 가고일 부르기

 

- 가고일 매크로입니다. 피의격노나 기타 장갑,장신구의 경우는 따로 써주셔도 상관은 없지만 부정의 광기의 경우는 가고일과 같은 3분쿨 기술이기 때문에 꼭 같이 묶어서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showtooltip 부정의 광기
/시전 [target=pet] 부정의 광기

 

- 자신의 구울에게 부정의 광기를 거는 매크로입니다. 키마이론 등 본체에 부정의 광기를 걸면 안되는 네임드에서 사용하시면 유용합니다.

 

 

 

#showtooltip 죽음의 고리
/시전 [@pet] 죽음의 고리

 

- 타겟 지정하지 않고 바로 구울에게 죽음의 고리로 힐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