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초보 분들을 위한 내용이며 기초적인 내용 이기에 죽기 딜링에 익숙하신 분들 뒤로가기를 누르세요



1. 부죽에 가장 최적화 된 전문기술은 기공과 재봉이며, 가장 좋은 종족은 오크입니다.(부스팅에 가장 최적화)

2. 부스팅딜에 대하여
-
죽기의 질병 데미지는 스킬을 걸었을때 플레이어 캐릭의 버프 상태에 따라 결정되며 이 데미지는 실시간 적용이 아니므로 장신구 버프가 끝나도 계속 유지됩니다.
이것을 이용해 딜시작시 [물약 + 장신구 + 전문기술 발동 + 종특] 등으로  버프상태가 가장 극대화 되었을때 질병을 걸고 '고름 일격'으로 이 질병시간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을 부스팅 딜이라고 합니다.

부스팅한 질병은 딜내역의 1-3위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도가 매우 높습니다.

부스팅 딜을 위해서는 항상 버프 상태를 주시 하시고, 클래스 타이머나 오라 돋보기 같은 애드온을 적극 활용하시면 편하게 부스팅을 할 수 있습니다.



3. 그외의 딜 방법
-
마법데미지가 많이 들어오는 오공 특성상 대마보를 적극 활용해 얼마나 많은 룬마력을 수급하고 '죽음의 고리'딜을 자주 꽂느냐가 딜 잘나오는 부죽, 못나오는 부죽을 가를 만큼 중요합니다.

죽기는 데미지 바닥을 내몸과 같이 사랑하며 디버프를 속거나 딜증 버프를 받은 것과 같이 기뻐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생하는 마법' 문양은 실수로 대마보를 늦게 돌렸을 경우 쿨을 반으로 줄여주는 역활을 하므로 대마보=룬마력 수급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추천합니다.


4. 가속에 대한 오해
-
가끔 보면 가속을 10800-11000 대를 맞춘 분들이 계신데 이는 천둥왕 시절 가고일 추가 틱 가속입니다.
이 시절에는 부형이 가고일에 영향을 주지 않아 10800+을 맞출 필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부형 20%를 적용 받기 때문에 9000+ 만 맞추셔도 + 20%가 되여 가고일 추가틱이 들어갑니다.

'부정의 광기'로 늘어난 가속은 가고일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자세한건 Succeeding님이 작성하신 부죽 가속과 가고일 실험을 참조)
그러므로 상황에 따라서 부광과 가고일을 따로 돌리셔도 됩니다.


5. 오그리마 공성전에 맞는 세팅법
-
일정 템을 맞추셨다면 [가속 9000+ 이후 치 >특] 이 가장 무난한 셋팅이며 냉쌍을 스왑하시는 경우에는 특 > 치 를 가시면 됩니다. 
졸업 스펙에 근접할 경우(585+) 가속 9000+ 노버프 치타 35%전후로 맞춘 후 특화를 가는 셋팅이 무난하게 쓰이고 있습니다.

스펙이 오를수록 저가속을 가시는 분들이 제법 있는데 이는 위의 3번 글을 적극 활용 할 경우 손이 노는 경우가 적으며 한방 한방딜이 쎄지기 때문입니다(거기다 질병이 고흑같은 캐스터와 다르게 가속에 영향을 안받는 고정틱이기 때문이기도 함)


6. 끓는 피에 의한 질병전이
-
캐릭터 타겟이 무엇이 되었든 상관없이 '피의 소용돌이'를 맞은 가장 가까운 몹을 기준으로 전염병이 퍼지며, 전염병 문양을 박았을 경우 문양이 적용되어 15미터 범위로 퍼집니다. 고로 단일딜 넴드를 제외한 나머지 넴드는 전염병 문양 필수


7. 기타 유틸기의 활용
-
영혼 쐐기는 스킬을 건 후 대상이 35%이하일 경우 큰 데미지를 주는 스킬이지만, 피가 작은 쫄들의 경우 5초전에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 경우에 가속 증가 버프를 주기 때문에 특정 넴드의 경우 주기적으로 블러드를 받는 효과를 냅니다.(마우스 오버 매크로를 만들어 영쐐를 적극 활용하세요)

어둠 복제는 상대방이 마나를 소모하는 스킬을 복사하는 스킬인데 7넴 칼드리스의 '냉기폭풍 화살', 가로쉬에 나오는 선견자 늑대 기수의 연번 처럼  상당히 강력한 스킬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용할 수 있는 건 조금이라도 이용해서 딜을 늘려봅시다.(아 안구에 습기가..)


------------------------------------------------------------------------------------------------------------

허접 글이긴한데 요즘 부죽을 접하시는 초보 분들이 보여 도움이 될까 몇자 적어봤습니다.

도움이 될려면 이런거 말고 넴드별 팁이나 써야되는데 귀차니즘은 어쩔수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