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천의회 10인 하드 공략

 

공대구성

1탱 6딜 3힐 or 2탱 5딜 3힐 or 2탱 4딜 4힐 or 1탱 5딜 4힐 등 자기 공대 편한대로 하면 됨..

추천조합은 2탱 5딜 3힐

2탱일 경우 야드탱일 경우 변태트리(딜+탱) 로 3페 딜 하면 3페이즈가 더 쉬워짐.

 

1. 1페이즈(이그나시우스 100% ~ 25% , 펠루디우스 100% ~ 25%)

- 하드모드 진행시, 대기중인 네임드가 간접적인 행동을 가해, 공략을 어렵게 만든다.

(아리온(바람), 테라스트라(땅)이 간접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게 된다.)

- 펠루디우스의 물의 창 차단은 탱이 담당하며, 차단이 샐 경우 즉사에 가까운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주의를 매우 요한다.

- 주기적으로 아리온이 중력 핵, 테라스트라가 전하 과부하를 무작위 공대원에게 시전하며, 각기 다른 두 디버프의 대상이 한 점에 뭉쳐야, 디버프가 사라진다.

- 해당 디버프는 근처 약 6~10m 내의 사람들에게 전이를 시키므로, 해제 당할 때 까지 주변 공대원이 대상자 근처로 가면 안되며, 디버프 대상자는 빠르게 정중앙으로(그림에서 가운데 하늘색 정육면체) 모인다.(불은 밟지 말도록!)

- 디버프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에 절임 디버프 대상자는 제일 가까운 불의 양 끝 쪽으로 가서, 디버프를 지우도록 한다(위 그림에서 파란색 불)

- 혹시나 땅,전기 디버프가 전이 되었으면, 전이된 디버프는 10초가 지나면 사라지므로, 전이 대상자는 버틴다.

- 모든 딜러는 불길의 비호 5~10초전에 이그나시우스를 타겟으로 하며, 미리 사전 기술을 써 놓은 뒤에 최대한 극딜하며, 보호막을 깬 후 다시 물을 타겟으로 잡는다.

- 승천의회 하드모드에서는 광폭이 없고, 피 조절이 관건이므로, 물의 체력이 30%가 되면 모든 딜러들은 이그나시우스 딜을 하며, 최대한 양쪽 체력이 동일하게 되도록 딜 조절을 한다.

(물30%->불28%-> 딜스톱 -> 23% 23%)

 

※양쪽 체력 28%까지 조절되었으면, 전하과부하-중력핵 디버프를 한번씩 보고 넘어가야 한다. 만약 이것이 지켜지지 않았을경우 디버프를 가지고 2페이즈를 넘어가기 되므로, 해당 대상자는 죽어야 한다.(4.1 패치로 2페이즈 진입시 디버프가 사라집니다.)

 

1페이즈 요약 : 일반 모드 공략 + 전기,땅 디버프 대상자 가운데로 와서 잘 뭉쳐서 풀기

 

2. 2페이즈(아리온 100%~25%, 테라스트라 100%~25%)

- 하드모드 진행시, 대기중인 네임드가 간접적인 행동을 가해, 공략을 어렵게 만든다.

(이그나시우스(불), 펠루디우스(물)이 간접적으로 전투에 참여하게 된다.)

- 2페이즈 시작시 일정 간격으로 펠루디우스는 냉기 봉화를 시전하며, 잠시 뒤 봉화에서 얼음 구슬이 생성 되며, 특정한 대상을 따라가게 된다.(DBM 밑 빅윙에 표시 됨) 대상이 이 구슬에 닿으면 즉사의 전체 데미지를 주므로, 절대 닿으면 안된다.

또한 이그나시우스는 운석을 일정주기로 떨어뜨리며, 그 자리에 일정 시간 남아있는 불길을 깐다

(쫄의 불장판 생각하면 됨) 이 운석에 맞으면 즉사이며, 범위는 보는것보다 훨씬 넓으므로 넉넉하게 피하는게 중요하다.

냉기 봉화로 생성된 구슬은 메테오가 떨어져 생성된 불바닥에 올려 놓으면 사라지므로, 무빙을 최대한 잘하여서, 봉화 구슬을 불길 위에 잘 올리는게 중요하다(메테오 이후 생성된 불바닥은 아프지 않으므로 가로 질러 지나가도 된다)

 

※아래 바닥과 같이 봉화가 생성되었을땐, 대상이 지정되지 않고, 일정 시간 지난뒤 구슬이 생성되었을때 봉화 대상자가 결정되므로, 봉화 바닥이 생기면 모든 공대원들은 미리 바닥에서 멀리 떨어져서 있어야 한다.(가까운 대상자가 구슬 걸리면 도망갈 시간이 줄어 들음)

또한 봉화 대상자는 항상 메테오가 어디 떨어지는지 시야를 넓게 가져야한다. 공대 전멸기를 사용하므로 엄청 주의를 요함.

-봉화 대상자는 좌우이동을 빠르게 난타하며 이동하면(좌-우-좌-우-좌-우-좌-우), 구슬이 따라오는 이동속도를 늦출 수 있다.

-봉화 대상자는 어그로에 관련된 스킬을 일절 쓰면 안된다(구슬이 사방으로 튐)

ex 얼방 무적 구손 소실 환영 등 등 등

 

- 봉화 대상자가 제일 많이 실수 하는 것은 무빙 도중에 중력 우물(이속 감소), 회오리(튕겨 나감)에 닿아서 구슬을 터뜨리는 경우다. 자신이 무빙 할 땐 확실히 중력 우물 과 회오리를 닿지 않도록 이동하여야 한다.(혹시나 닿았을 경우 사제가 땡겨주면 좋다)

- 테라스트라 탱커는 무조건 단단한가죽을 차단하여야하며, 차단을 못했을 경우 리듀스 생존기를 꼭 돌려야 한다.(테라스트라 데미지 100% 증가)

- 승천의회 공략의 대다수가 2페이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그만큼 매우 중요하고 개개인 실수가 없어야 하므로 집중력을 매우 요하며, 광폭이 없으므로 무리하게 딜하지 말고 생존에 최우선 하여야 한다.

- 벼락막대 대상자는 일반모드와 같이 최외곽으로 빠지며, 아리온의 점멸 차단은 무리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별로 안아픔)

- 사제는 신성사제 특성으로 육영(보호막시 이속증가)를 최대한 이용하여, 봉화 대상자가 구슬에 닿지 않도록 하며,(봉화 걸리자마자 사용하지 말고, 대상자가 구슬에 가까웠을 때 사용) 위험 할때 언제든지 땡기기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땡길 시에 대상자와 사제 사이에는 회오리나 중력우물이 없어야 하므로, 아무 장애물이 없는 곳에서 대상을 땡겨야 한다)

- 또한 항상 공중부양-접지를 받아야하며, 혹시나 못 받는 사람이 생길 경우 외부 생존기(희손,고억,천수)를 지원하여 즉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피조절 역시 중요하므로, 한쪽의 체력이 30%가 되면 다른 쪽 딜을 지원하면 되며, 양쪽다 28% 가 되면 각자 맡은 네임드를 딜을 한다.

 

2페이즈 요약 : 일반 모드 공략 + 냉기 봉화 대상자는 회오리, 중력우물을 조심하여 무빙하면서 불바닥에 잘 넣어서 없애며 메테오 잘 피하자

 

3. 3페이즈(엘레멘티움 괴물 24%~0%)

- 3페이즈에 왔으면 이제 열심히 딜 할 시간이다. 정해진 자리에서 딜을 한다.

- 3페이즈에서 제일 아픈 데미지는 커진 바닥과 용암 씨앗이므로 잘 피하자!

- 블러드는 네임드의 체력이 20% 되는 순간 사용하며, 용암 씨앗은 최소한의 무빙으로 피한다.

- 모든 기계공학 이용자는 망토에 신축성 모피(낙하산)을 부여하여, 중력 붕괴 대상자가 되어서 떨어질때 낙뎀을 받지 않도록 한다. (기공-낙하산, 법사-저속낙하, 사제-공중부양, 기사-무적, 드루-표범)

낙뎀을 줄일 수 없는 공대원은 보축을 지원하여, 낙뎀을 받지 않도록 하자!

- 딜러가 하나 죽었거나 피조절이 안되서 27~30%에 육박해도 좌절하지말고 끝까지 집중하면 잡을 수 있다.

 

3페이즈 요약 : 자리고수 + 생존 + 딜&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