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장에는 전흑술 전법드 도법사 죽냥기 전죽수 흑냥술 법암드 조정기 조흑술 도냥사 등등.. 많은 조합이 있지

기본적으로 힐러가 제일 뒷자리에 딜러 둘은 부르기 편한대로 부르다 보니 자연스래 굳어지는거지만

난 이러한 3:3 투기장 조합 작명에 암묵적인 서열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원칙 1. 힐러가 제일 뒤에간다

원칙 2. 밀리+캐스터면 밀리-캐스터순

이 원칙을 깨는 사례는 내가 알기론 없다.

(냥꾼은 캐스터에 포함)

그렇다면 두캐스터, 투밀리가 들어가는 조합끼리 비교해보면 대충 서열이 나오겠지.

밀리 전>도>죽>고>징>야
(* 풍운 : ?)

1순위 전사.

전사는 그 어떤 조합을 해도 가장 앞에 이름이 붙는다. 전@힐 말고 @전힐이라고 부르는거 본사람?

2순위 도적.

도흑술 도법드 도냥드 도죽사 도야사 등 수많은 조합이 있(었)지만

도적이 2순위로 밀리는 사례는 딱 한번 전도기에서만 목격되었다.

3순위 죽기.

전죽힐, 도죽힐이라고 하지 죽도힐 죽전힐이라곤 안하잖아?

그 외 나머지 사례는 다 죽기가 앞에감

4-5순위 고술, 징기.

전고, 죽고, 도고, 전징, 죽징, 도징

근데 고술+징기의 조합을 못들어봐서 딱히 서열은 못가리겠는데

징고보단 고징이라 부르지 않을까 싶네

6순위 야드

투밀리에서 항상 뒷자리에 위치한다.

전야 죽야 징야(?) 등등..

번외.. 풍운?

'죽풍기'로 보아 죽기 뒷석임은 확실한데

고풍 징풍 풍야는 들어본적이 없는것같다.

다만 윗줄에 쓴대로 발음하기 쉽게 야드앞자리에 넣으면 맞지 않을까 하네.

캐스터 조>흑>정>법>암>냥

8순위 조드.

의외로 조드가 캐스터 최상위석을 차지하고 있다.

조흑술, 조냥사, 조정기..

9순위 흑마.

애매한 케이스가 '흑법술'과 '법흑술'인데..

영문명은 MLS로 법사가 앞에가긴 한다만

법흑술은 전통적인 @흑술의 라임에 맞춰 그렇게 부르는거고

흑법술이라는 바리에이션이 굳이 흑술의 라임을 뚫고 존재한다는것만으로도

흑마 판정승

10순위 정술.
11순위 법사.

33에서 정술과 법사가 같이 나오는 경우를 못봤다. 법정사라고 하냐 정법사라고 하냐?

다만 5대5 '전정법사기'의 사례가 있기 때문에 정법사라고 부를걸로 추정.

12순위 암사.

암사는 대부분의 조합에서 뒷자리 그러니까 세명중 중간자리를 고수하고 있다.

그나마 이번시즌 냥암힐이 새로 생겨서 냥암힐과 암냥힐이 혼재돼있긴 한데..

개인적으로 나는 냥암힐이라고 부르지만 통전게 내부 검색결과 '암냥'쪽이 압도적이기에 암사 승

13순위 냥꾼

냥꾼이 첫번째자리의 이름으로 불리는 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조합 안나온다는 법냥도 법냥이라 부르지 냥법이라곤 안부르잖아...



보너스로 사장된 5대5의 조합들을 통해 힐러간의 서열도 대강 파악이 가능하다.

운>사>술>드>성


사제가 힐러 둘이 들어가면 힐러중 최상석을 차지하는건 자명하다.

왕자조합도 전사술, 전사드 식으로 불리잖아.

55 조합도 @@@사술 @@@사기 @@@술기

다만 드루의 경우는 5대5에서 메이저 조합에 들어가는 경우를 못들어봤기 때문에..

하지만 드술 술드 드기 기드를 대충 비교해보면 술>드>기가 자연스럽다는걸 알 수 있다.

운무는 글쎄.. 잘 모르겠지만

평전 3대힐러갑 '운사신'의 명칭을 생각해보자.

정리하면

전>도>죽>고>징>야>조>흑>정>법>암>냥>운>사>술>드>성

앞으로 평전 조합을 부를때도 이런 순서로 10개 골라서 부르면 명칭이 통일되겠다...

라고 쓰는 순간

5대5 '전냥술사기'에 생각이 미치자 이 글은 망글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