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입문 – 3-1. 시전, 사용 계통

 

3편에서는 지난 글에서 예고했던 바와 같이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단 /명령어 중에서 /s 같은 일반적으로 많이 쓰는 채팅 명령어나,

/dance 같은 많이 사용하는 감정표현 명령어는 생략하겠습니다.

 

감정표현 같은 경우는 너무나도 다양한데다 잘 알려져 있고,

거기에 더해 무려 애드온까지 나온 상황이라 저는 매크로에 집중하겠습니다.

 

매크로를 계통별로 최대한 나누어보고 그에 맞는 작성법까지 다뤄보겠습니다만

별도로 명령어 뒤의 문법이 적히지 않은 것은 1편에서 본 기본문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1. 시전, 사용 계통

 

/cast

 

말 그대로 목적어 자리에 오는 스킬을 시전하라는 명령입니다.

/시전 이라고 한글로 써도 됩니다.

 

/use

 

역시 말 그대로 목적어 자리에 오는 아이템을 사용하라는 명령입니다.

/사용 이라고 하셔도 됩니다.

아이템 이름을 목적어로 사용하실 경우에는 고민 없이 사용하셔도 됩니다만,

use명령에는 두 가지 사용방식이 더 있습니다.

 

/use 캐릭터창슬롯번호

/use 가방번호 슬롯번호

 

캐릭터 창 슬롯 번호라는 것은 기본 단축키 c를 누르셨을 때 나오는

캐릭터 창에서 각각의 아이템 칸에 부여되는 번호입니다.

 

머리가 1

목걸이가 2

어깨가 3

속옷이 4

가슴이 5

허리가 6

다리가 7

발이 8

손목이 9

손이 10

반지1 11

반지2 12

장신구1 13

장신구2 14

등이 15

주 장비 16

보조장비 17

원거리무기 18

투척무기 19

탄환(사라졌죠 지금은?)이 0

 

이 번호는 차후 /eqipslot 명령에도 사용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공 노움 손가락 같은 매크로가

/use 10 이런 명령이 붙어있었을테고,

저 같은 경우에는 장신구 매크로를 /use 13 이라고 해서

급장일 때는 급장, pve 사용 장신구일때는 사용 장신구를 쓸 수 있게 합니다.

 

가방 번호는 가장 오른쪽 기본 가방이 0번이고,

오른쪽에서부터 1, 2, 3, 4번까지 5개의 가방이 있습니다.

 

슬롯 번호는 각 가방의 좌측 상단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붙습니다.

 

16칸 가방이나 20, 24칸 가방처럼 직사각형 가방의 경우에는

 

1  2  3  4

5  6  7  8

…..

 

이런 식으로 번호가 부여되고,

 

18, 22, 26칸 가방의 경우에는

   

         1     2

3   4   5   6

7   8   9  10

…..

 

이런 식으로 번호가 부여됩니다.

 

기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번호를 쉽게 파악하실 수 있지만,

실상 가방 애드온의 사용 등으로 크게 중요하게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castrandom 스킬1, 스킬2, 스킬3, … , 스킬n

 

목적어 부분에 많은 스킬을 콤마(,)로 구분해서 써 두게 되면,

그 스킬들 중에서 무작위로 하나를 시전하게 됩니다.

 

중요한 탱킹/딜링/힐링 스킬에는 사용하기 힘들지만,

탈것들을 쭉 써 두시게 되면 탈것 뽑기 하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userandom 아이템1, 아이템2, … , 아이템n

 

캐스트랜덤과 마찬가지로 무작위 아이템 사용 명령입니다.

 

/startattack

 

앞에서의 cast가 주문 시전 명령이었다면,

startattack은 밀리클래스의 자동 공격 시작 명령입니다.

 

/stopattack

 

스타트어택의 반대로 공격 중지 명령입니다.

 

/stopcasting

 

시전 중인 주문을 취소하는 명령입니다.

급하게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 생존기 매크로 등에 붙여서 자주 사용합니다.

 

 /cancelqueuedspell

 

대격변이 되면서 새로 생긴 명령어입니다.

주문 예약 기능으로 인해 예약된 주문을 예약 취소해줍니다.

줄여서 /cqs 라고 쓸 수 있습니다.

스탑캐스팅이 필요한 매크로라면 이것도 같이 붙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assist

 

대상 지원 명령입니다.

 

/castsequence [조건] reset=조건 스킬1, 스킬2, 스킬3, … , 스킬n

 

마지막으로 연속 시전 명령어입니다.

/연속시전 이라고 줄여 쓸 수 있습니다.

[조건] 부분은 일반적인 매크로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조건을 붙여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만,

한 가지 추가되는 조건문이 ‘reset=조건부분입니다.

 

연속 시전 매크로라는 것은 뒤에 나열된 스킬1, 스킬2, 스킬3 등등을

나열된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매크로입니다.

 

처음 누를 땐 스킬1번이 사용되고, 그와 동시에 스킬2번을 사용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되며

또 누를 땐 스킬2번이 사용되고, 그와 동시에 스킬3번을 사용할 수 있는 대기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소위 원키 딜링 매크로따위를 보면 연속시전 명령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조건 reset 부분은 이 연속시전의 순서를 초기화하는 조건입니다.

스킬1, 스킬2, 스킬3까지 사용하고 스킬4가 대기상태이지만,

특정 조건에 의해 다시 스킬1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돌아오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reset=조건 에서 조건 부분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은

임의의 숫자 n 또는 target, combat, shift, alt, ctrl 입니다.

 

임의의 숫자 n을 넣을 경우에는

이 매크로가 마지막으로 사용된 뒤 n초 후 리셋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스킬1 쿨이 20초이고 스킬2는 쿨이 없는데 묶고싶다 하는 경우

 

/연속시전 reset=20 스킬1 스킬2 스킬2 스킬2 스킬2 스킬2 스킬2 스킬2

 

이런 식으로 스킬1부터 쓰고 그 뒤엔 스킬2를 막 쓰다가 20초가 되면 스킬1로 돌아와야지!

하는 분들이 종종 계신데 이건 리셋 조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그런 것입니다.

저런 매크로를 짜서 연타한다손 쳐도 스킬2를 적은 만큼 사용하지 않거나

마지막으로 스킬2를 사용한지 20초가 지나지 않는 이상 스킬1은 돌아오지 않습니다.

 

조건에 target을 넣으면 자신이 찍고 있는 대상이 바뀔 경우

연속시전 매크로를 리셋합니다.

 

combat을 넣으면 전투가 풀리는 등의 전투상태 변화에 따라 리셋됩니다.

 

쉬프트 알트 컨트롤은 아시다시피 기능키라고 부르는 것들로,

해당 기능 키를 누른 상태로 매크로를 작동시키면 연속시전 순서가 리셋됩니다.

 

리셋 조건은 [조건]과 마찬가지로 복수 조건을 넣으실 수 있습니다만,

컴마로 구분하지 않고 슬래시로 구분하게 됩니다.

 

전투가 풀리거나 매크로를 사용한지 20초가 지나면 리셋을 시키고 싶으신 경우에는

reset=20/combat 이라고 쓰시면 되는 것입니다.

 

아니나다를까 쓰다 보니 엄청나게 길어졌네요;;

다음 편에서는 버프/탈것/대상에 관한 명령을 다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