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1 ............Tanker : 탱커

 

 

성 : 특성은 어디까지나 자기가 원하고 연구하는 결과에 따라 다릅니다.

 

직면하는 네임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완벽하게 정의 될 수 있는 특성은 없습니다.

 

저의 개인적은 특성의 예는 이러합니다. .

 

 

 

 

 

 

상급 문양은 고정이며 주문양은 취향대로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Setting

 

팅 용어 : 회피율 , 무기막기 , 방패막기 , 체력 입니다.

 

 

완방 : 회피율의 수치와 무기막기 수치를 더한 값을 완방(완전방어)라고 합니다. (회피율+무기막기=완방)

 

방막 : 방패막기라는 개념으로 수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특화도 수치를(방어전사에 한해서) 올리면 됩니다.

 

결방 : 결정적 방어라는 개념으로 수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특화도 수치를(방어전사에 한해서) 올리면 됩니다.

 

방막과 결방의 팁-by 불군메인탱커님의글

 

 

의 땅까지 전탱들은 올특화도로 돌렸습니다.

모든 템에 대한 재연마를 특화도로 돌렸습니다.

보석의 셋팅까지도 특화도로 돌렸습니다.(물론 색깔맞춤을 합니다.)

나머지 무막과 회피율의 차이를 무막이 2% 더 많게 셋팅을 하였습니다. (무막과회피의논의-by 불군메인탱커님의글)

 

 

 

그래서 불의 땅까지만 해도 완방은 30% 나머지는 특화도로 돌려 방막을 60%이상까지 맞추었습니다.

 

 

 

 

자신이 무슨 보석을 박을 것인지 어떻게 재연마 할 지는 아직까지 정해진 사항은 없지만

 

올특화로 간다고 생각한다면

 

회피율과 무기막기를 더한 완방의 수치를 '25% ~ 30%' 정도까지 맞추시고 나머지 올특화도로 올리시면 됩니다.

 

 

 

 

현재 용영은 그 수치가 논의중입니다. 결론이 나는대로 다시 업뎃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탱을 하는 방법 = 어글을 얻는 법

우선 어글에 대한 개념을 잡아야겠군요.

 

오베때 어글이라고 하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얼굴? 무슨 얼굴 이라고했드랬죠.. 쿨럭..

 

어글이라는 건 몹이 우리들의 캐릭을 적대치하는 수치입니다. 한마디로 우리를 보는 수치입니다.

 

몹을 보는 캐릭을 치는 것이죠.

 

 

그럼 이제 도발이라는 개념은 무엇이죠?

 

도발이라고 하는 것은 몹이 나를 바로 보게 하는 스킬입니다.

예를들어 다른 사람이 어글을 가져갔더라도 즉 몹이 다른 사람을 보더라도

나를 보게 해달라고 애원하는 스킬이 '도발'이라는 것이지요.

초보를 위한 도발 개념정리 -by dreambaba님의 글

어글 수급 방법
- 단일탱(몹이 하나 일 때)
영웅의 투척 -> 방패 막기 -> 방패 밀쳐내기 -> 압도 ->(복수가 뜨면 복수) -> 압도가 쿨이 돌 때 영웅의 일격 -> 압도 ->(복수가 뜨면 복수) -> 압도가 쿨이 돌 때 영웅의 일격 -> 방패 밀쳐내기의 쿨이 돌아 왔을 때 쯤에 방패밀쳐내기
* 전사의 특성을 유심히 보시면 '무거운 반격'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 특성은 방패 막기가 활성화 되어 있을 때 방패 밀쳐내기의 공격력이 추가로 100%만큼 증가합니다. 그래서 방패막기후에 방패 밀쳐내기를 사용합니다.
* 네임드를 공략 할 때 돌진으로 먼저 들어가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힐러의 거리가 충분하다면 처음 분노를 수급 할 때는 유리하지만 힐러의 거리가 충분치 않다면 급사(바로 죽는 것)할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네임드를 상대 할 때는 돌진을 가급적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 광역탱,광탱(몹이 다수 일 때)
돌진 -> 분쇄 -> 회전베기 -> 천둥벼락 -> 충격파 -> 회전베기 -> 보복 -> 천둥벼락 -> 회전베기
*분쇄와 회전베기 및 천둥벼락을 하기 위해서는 분노가 60이 필요합니다. 60의 분노를 수급 하기 위해서는 몹에게 맞거나 미리 외침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광탱은 주로 네임드가 아니라 쫄 위주의 탱입니다. 그러기에 처음 대면하는 쫄 하나는 급사할 만큼 위험한 상황으로 내몰지 않습니다.(물론 힐러가 완전 다른 곳에 있다면 이야기가 다를 것입니다.) 그러므로 적당한 힐러의 거리가 된다면 분노 수급을 위해서 돌진을 먼저 사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참고로 블러드 엘프 전사는 비격으로 15의 추가 분노수급을 할 수 있습니다.

 

 

 

존기

전사는 다른 타 탱커에 비해서 생존기가 적습니다..

 

전사가 가지고 있는 생존기는

 

 

방패의 벽(방벽) 2분 재사용시간을 가지며 12초 동안 40%의 데미지를 줄여줍니다.

 

최후의 저항(최저) 3분 재사용시간을 가지며 20초 동안 일시적으로 최대 생명력의 30%를 올려줍니다.

-재집결의 함성과 쿨을 공유합니다.(즉 최저를 사용하면 재집결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격노의 재생력(격생) 3분 재사용시간을 가지며 10초 동안 전체생명력의 36%를 회복시켜줍니다.

-격생은 격노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강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전사의 격노 라는 스킬을 사용한 후에 쓸 수 있습니다.

 

방패 막기(방막) 30초 재사용시간을 가지며 10초동안 방패 방어확율이 25%만큼 증가 시켜줍니다.

 

재집결의 함성(재집결) 3분의 재사용시간을 가지며 10초 동안 일시적으로 30미터 반경내에 있는 모든 공대원의 최대 생명력의 20%를 올려줍니다. -최후의 저항과 쿨을 공유합니다.(즉 재집결을 사용하면 최저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많은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쿨럭....

 

 

존기를 사용하는 요령

 

이것은 어디까지나 경험과 연구입니다.

 

각 네임드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어디에서 생존기를 사용해야하고 맞춰야 하는지는

 

각 공대장과 전략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므로 생존기 로테이션에 대해서는 미리

 

공대장과 상의하거나 공략을 연구하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자신의 피가 없을 때 생존기는 반드시 사용하십시오.

 

힐러가 살려주겠지.. 하고 내버려두지 마십시오.

 

탱커가 죽으면 힐러가 엄청난 고수이거나 동물적인 반응을 나타낸다면

 

진행할 수 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리트라이를 갑니다.

 

탱커가 죽으면 당연히 공대원도 전멸합니다.

 

그 만큼 탱커의 위치는 중요하며 생존에 면밀히 신경을 써야 합니다.

 

  

 

 

드온

 

공격대 경보인 빅윙과 DBM

 

데미지와 죽음 , 받는 피해량등을 보기 위해서 Recount <왜 내가 이 상황에서 죽었는지가 나옵니다.>

 

어글 수치를 보기 위해서 Omen , 인벤어그로미터기

 

 

애드온을 많이 연구하면 좋습니다. 그 만큼 편해지며 시야기 넓어집니다.

 

 

 

 

 

 

 

전탱에 대한 간략한 점을 올려봤습니다. 고칠점이나 수정해야 할 점은 댓글을 통해 남겨주시고

추가 하고 싶은 내용 또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추가글은 제 이니를 투자해서라도 아이콘 선물 드리겠습니다.(__)

-전게지기 'Lexusz'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