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즐거운 공격대 야드 데오바인입니다.

 

얼마전 즐거운 공격대에서 라그 25인하드 공략에 성공하여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고자 야드입장에서 간단히 공략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성은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특성입니다.

 

부가 설명을 드리자면 야수의 습격 특성은 초기 트라이 시에는 찍었지만  이후 2,4페이즈가 안정화되면서

 

스턴 시간이 길지 않아도 쫄처리가 되었기 때문에 포인트를 빼서 쇄도 특성을 찍어 4페이즈 큰쫄 처리에

 

조금 더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킬 할 당시 세팅은 가속이였습니다. 가속 세팅시 적중과 숙련은 어느정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4피스를 마추신 분들이라면 가속 세팅을 추천 드립니다.

 

1페이즈

일반과 다른 점은 덫폭발시 데미지가 좀 더 크다는 점입니다.

1페이즈에 총 5개의 덫이 깔리게되며 이중에 3개는 터뜨리고 1페이즈를 넘어가야합니다.

 

하드 공략시 거의 1분 단위로 덫 폭발을 시키게 되며 덫을 밟을 때마다 껍질 쿨이 오게됩니다.

보통 1페이즈에 3번의 덫을 밟게되는데 처음 덫을 밟기 5초 전쯤 껍질을 돌리면  이후 2,3번째에도

조금씩 밀리면서 껍질을 돌릴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부분이 조금 귀찮다 싶으시면 2번째 덫에 생본을 돌려 주셔도 됩니다.

딜 부담으로 보통 4힐로 진행되니 힐러의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딜러로써 중요한 점은 1페이즈에서 2페이즈 넘어가는 시점에 최대한 딜을 해야한다는 것입니다.

기력을 모으고 넴드가 2페이즈 시작 후 용암으로 들어가기전까지 최대한 폭딜을 하도록합니다.

도트류는 용암으로 들어가면 지워지므로 사전에 작업(5버블 도려와 갈퀴는 넴드 72%쯤에 리필)

을 해두고 마지막에 5버블을 모아 흉포를 날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맹공은 2페이즈 쫄타이밍에 사용하는 것이 좋으므로 쿨을 보고 무리하게 사용하여 쫄딜이 밀리지 않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광폭화는 시작시 바로 돌렸습니다.)


2페이즈

 

딜야드로 참여시 보통 하나의 쫄에 스턴을 담당하게 됩니다.

저는 나엘이라 그림자 숨기-암습 + 무력화로 스턴을 하였습니다. 무력화는 본인 쫄의 위치에 따라 적당한 버블로 넣으시기 바랍니다.곰폼 강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딜적인 측면에서는 확실히 좋습니다.

 

주의하여야 할점은 2페이즈 돌입 후 라그나로스 용암에서 불화살(?)이 날아 오는데

그림자 숨기를 조금 일찍써서 불화살을 맞게되면 그림자 숨기가 풀리게 되니 나엘드루이드라면 주의하셔야 합니다.

 

전체적으로 산개되어 있으므로 본인의 체력을 살피시고(2페 직전에 덫을 터뜨렸다면 체력이 상당히 낮을 수도 있습니다.) 쫄딜이야 일반과 크게 다를 것이 없습니다.

 

본인 쫄이 적당히 이속이 감소되면 다른쫄들의 상황도 살펴주시기 바랍니다.


3페이즈

 

(3페이즈 시작시 광폭화를 사용하였습니다.)

일반과 가장 큰 차이점을 보이는 페이즈입니다.(일반과 달리 쫄들끼리 근접해 있으면 공격력이 증가하는 버프를 걸어줍니다.)

 

현재 공개된 여러가지 공략이 있지만 즐거운 공격대에서는 씨앗이 한지점에 떨어지게 하는 공략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많은 동영상에서 공개되어 참고하실 수 있으실겁니다.)

 

다만 조금 다른점은 모든 공대원이 한점에 모이는 것이 아니라 기본본진 반대편에 힐러1+딜러3(저희는 딜야드,징기,법사)을 배치하여 크로스되게 하였습니다.

 

이렇게 크로스조를 둔 이유는 대부분의 광역 스킬이 10마리 이상일 경우 점감이 되어

본진의 쫄수를 줄여 조금 수월하게 쫄처리를 하기 위함이며

또한 크로스 조가 본진쫄근접하여(본인쫄이 없기 때문에) 광을 조금 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딜야드의 경우엔 뒤를 잡아야 딜이 수월하므로 딜야드가 포함된 공대라면 크로스조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하셔야 할점은 너무 광에 집중하지 말고 휘둘 두번정도만 한다고 생각하고 바로 빠져야합니다.

본인 쫄이 녹지 않았기 때문에 만약 다른 녹지 않은 쫄에 의해 버프가 걸린채로 맞게되면 즉사하게 됩니다.

 

반드시 남아 있는 쫄과 이격시켜 버프를 받지 않도록 해야하며 무리하게 딜하기 보다는 곰폼강타로 스턴을 걸어 빠져서 다른 원딜러들의 지원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휘몰아치는 불길이 3~4틱 정도 나누어진 구역으로 옵니다.

밀리는 1번과 2번 구역 사이에서 자리를 잡아 앞뒤로 조금씩만 움직여도 피해지니 반드시 피해서

한틱도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합니다.(정말 공대원 전원이 불길에 익숙해지는데 몇백트를 날린듯합니다.)

 

3페이즈 역시 4페이즈로 넘어가기전 1페이즈처럼 딜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8%까지 체력을 낮춘다면 5페이즈에 2유성을 볼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4페이즈

 

기본적으로 2페이즈와 동일하며 후예가 소환됩니다.

제한된 45초동안 얼마나 후예딜을 많이 하느냐에 따라 5페이즈 2유성이 결정되므로 중요한페이즈입니다.

2페이즈와 달리 최대한 빠르게 쫄을 녹이는 것이 아니라 5페이즈의 45초시간을 모두 소비하여 후예딜을 할 수 있게망치의 위치에 따라 망치에서 가장 먼 쫄의 징표를 찍어 천천히 녹입니다.

 

보통 죽기 한명이 징표가 찍힌 쫄을 외부로 빼줍니다. 만약 본인 쫄이 징표라면 쫄이 도트에 죽지 않도록 본인 도트 관리도 하셔야합니다.

 

라그가 팝업되고 처리가 안되면 쫄이 폭발하니 담당자를 정하여 빠르게 녹여주셔야합니다.

4페이즈의 핵심은 후예딜이므로 작은쫄의 피통이 50%이하가되고 이속이 느려지면 천천히 자연광에 녹게하고 후예딜에집중해야합니다.

 

4페이즈에 후예딜이 잘되었다면 5페이즈에  2유성을 볼 가능 성이 높습니다.

 

저는 5페이즈 직전에 광폭화를 키고 두개의 후예에 풀도트를 넣은 후 5페이즈에 집입하였습니다.

 

 

5페이즈(5페이즈 시작시 영웅심)

 

5페이즈가 되면 후예딜은 원거리 도트 딜러와 전투도적에게 전담시키고 라그딜 위주로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라그가 팝업되면 타겟을 라그로 옮기고 라그에 풀도트를 넣은 후 후예가 녹지 않았다면

라그딜에 크게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휘둘로 후예딜을 지원하였습니다.

 

극한의 딜을 뽑아 2유성을 보아야합니다. 4유성이 나오는 순간 잡는 것은 포기하시는게 좋습니다.

4유성으로 6페이즈를 연습 할수도 있으나 잡는것은 불가능합니다.


(꽤 오랜기간 4유성을 보았으며 4유성인채로 6페이즈 진입 후 연습한 것이 상당히 도움이 되었습니다.)

 

딜로스를 줄이기 위해 좌우로 산개하였으며 유성은 정해진 회드 두명이 쳐주었습니다.

유성이 가까이오더라도 도망치거나 본인이 쳐서 딜로스를 생기게 하면 안됩니다.유성담당자를 믿고 끝까지 불길에 집중하면서 본인 최고의 딜을 뽑아주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불길은 절대로 한틱도 맞으면 안됩니다. 회드 두명이 유성담당을 하고 있고

디버프도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딜러가 불길틱으로 피가 빠져서 위험해 진다면 유성처리가 어려워 질 수 있습니다.

 

10% 밑으로 내려가면 6페이즈에 진입하게 되는데 여기서도 라그가 들어갈때까지 딜이 되므로

끝까지 딜을 해주시고 본인이 유성 대상자라면 좌우 끝으로 유성을 잠시 드리블해주시기 바랍니다.

 

 

6페이즈

 

저는 불길을 지우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현재 제 생각엔 불길을 가자 지우기 좋은 클래스는 비법이라고 생각됩니다.불길을 지우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불길이 처음 내려오는 곳을 파악하여 빠르게 그곳으로 이동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비법의 점멸은 불길지우개 역할로서 정말 좋은 스킬입니다.

 

이속은 어차피 폭우버프를 받으면 25% 증가가되며 빠른 이속도 중요하지만 처음 불길자리를 파악하여 이동하는것이 더 중요합니다.

또한 원거리 딜러로서 불길을 지운 후 딜지원도 가능합니다.

 

저희는 야드 도적 법사 3명이 기본적으로 3구역을 나누어 불길을 지웠으며 도적은 본진 및 탱커 주변을 우선적으로 지우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법사도 좋지만 야드도 지우개로써 충분히 좋습니다. 전질, 쇄도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이속 130%(폭우 버프를 받은것 보다 5% 높음)가 있으므로법사와 함께 최대한 외곽을 우선적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기공이시라면 니트로가 큰 도움이 됩니다.(부작용이 뜨면 망...)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불길 지우기의 핵심은 불길이 나올때마다 처음 떨어지는 자리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이미 퍼진 불길을 지우기 보다는 불길타이머를 보시고 새로나오는 불길을 먼저 지우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유성을 서리바닥에 얼리고 깰때 가능하다면 딜지원도 해주면 좋습니다.(본진에서 멀다면 밀리딜이 불가능하여 딜이 밀릴 가능성도 있음)

 

보통 유성을 본진 근처에서 드리블을 하기 때문에 본인이 불길을 지우다가 멀리서 유성대상자가 되면 본진이 위험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유성이 다 깨지기 전까지는 유성의 위치도 파악을 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식으로 지우다 보면 4번째나 5번째 서리 바닥 부터는 더이상 불길을 지우는 것이 의미가 없어집니다.

저희는 5번째 바닥이 나오면 지우개 담당자들이 서리바닥위의 정해진 위치로 가서 불길을 무시하고 극딜을 하였습니다.

 

폭우버프를 받은 사람과 같은 위치에 서게되면 불길의 피해는 받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원거리에 본진을 담당하여 딜사거리가 안나왓는데 중요한 점은 반드시 서리 바닥위에서 자리잡고 난후에 위치를 지켜야한다는 것입니다.

조금 딜을 하기위해 괜히 움직엿다가는 온천이 떠서 망할 수 있습니다.

 

처음 불길 위치(폭우 근처에서 처음 불길이 나오면 우앙 굳) 그리고 불길이 본진 바로 근처에 떨어지지만 않는다면 불길로 전멸하는 일은 없습니다.

 

본진 근처에 불길이 나왔을때 주의 할 점은 무리하게 지우러 갔다가 온천을 띄우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본진에 싸인을 주어  본진에서 몇명을 빠지게 한 후 지워야 할 경우도 있으니 공략 중이시라면 반드시 숙지하고 가셔야합니다.

 

최대한 짧게 쓰려고 햇는데 길어졌네요.(전투 시간이 15분이 넘다보니) 

특별히 딜싸이클이나 세팅등에 대해서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아는 한도 내에서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긴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타 및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