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쉽게도 5.1패치 전에 공심을 완료짓지 못하고

리셋 되고 그날 공포의 심장을 완료지었습니다.

 

공포의 심장에서 도적은 따로 크게 부여받는 역할이 없습니다.

즉 생존과 딜링 능력만 최대한으로 뽑아주시면 되고. 까놓고 말해 이 글 안보셔도 됩니다.

 

10인 시점 공략입니다. 5.1 패치이후로 아마 25인이 주 레이드가 될 것임을 감안하면 제가 적은 전투 흐름과 실제 레이드 진행이 다를 수가 있으므로 감안하시길 바랍니다.

 

간단히 전투의 흐름과 도적이 해야할 일, 대략적인 쿨기 운용에 관해 적겠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참고로 필자는 단검이 없어(...) 전 구간 전투특으로 진행하였으며 시험해 보지는 않았지만 단일딜에서는 암살이 전투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구간 전투특으로 진행하셔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단 전투가 꼭 필요한 네임드는 있습니다)

 

문양의 경우 전투라면 아드,교란 / 암살이라면 원한,교란이 필수가 될것이고

남는 하나의 문양은 그망문양(물리피해 40%감소)을 사용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그 외에 전질, 만회 문양도 고려해 볼만은 하지만 공심에서만큼은 그망을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1 - 조르로크

 

추천 전문화 : 암살 or 전투 (딜 잘 나오는 특성)

추천 특성 : 교묘함, 마음가짐

 

기본적으로 페이즈 전환시에 메아리가 남아있으며 조를 나누어 메아리를 처리하고 넘어가야합니다.

 

1페이즈 힘과 활력부터 시작합니다.

보호막이 4개가 나오므로 힘활시에 미리 지정해둔 자리로 들어가셔서 교란돌리시면서 딜 하시면 됩니다.

 

네임드 딜 후 네임드가 다음 단상으로 날아가면 메아리가 남는데 '보호막을 2개만 던지므로' 도적은 필수적으로 밖에서 버텨야합니다. 교란 하나로도 버틸수 있으나 위험하다 생각되시면 생석 or 문양그망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1페이즈 감쇠는 그냥 피하시면 됩니다. 양파링에 녹색 방울이 추가되는데 녹색 방울은 맞으면 교란을 돌려도 거의 즉사이므로 정말 위험하시면 교란쓰시고 양파링을 지나가셔야합니다.

(교란돌릴 시 녹색방울 틱당 10만이상, 양파링 틱당 3~5만정도)

 

개종의 경우는 일반과 다른 게 없습니다

필히 연막탄, 실명, 쿨기를 써놓으셔야합니다

(여담이지만 실수로 광학을 쓰지 않고 개종걸렸는데 개종 후 광학에 탱이 1초만에 쓸렸습니다)

 

2페이즈는 44%즘에 넘어가고 아래 단상에서 40%정도까지 딜을 하시면 메아리가 생깁니다

메아리가 생기면 탱커가 본체를 메아리랑 최대한 멀게 떨어뜨려 놓을 것이니 본체 딜을 하시면 됩니다

 

2페이즈 메아리 생긴 이후에 도적이 신경쓰셔야 할 것은

감쇠+감쇠를 잘피하고 힘활시에 무조건 밖에서 교란쓰고 버텨주면서 딜 해준다

이거뿐입니다.

 

개종은 오지 않으니(확실치는 않으나 지금까지 한번도 메아리 이후에 개종이 온 적은 없습니다) 개종은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고.

감쇠+감쇠가 굉장히 피하기 힘드므로, 감쇠시에는 왠만하면 풀 교란을 유지해주시는걸 추천합니다(+문양그망)

 

*요약 :

1페이즈 메아리&2페이즈 힘과 활력은 밖에서 교란으로 버티기, 감쇠는 잘피하기, 개종전 쿨기빼기, 극딜 입니다.

 

 

 

2 - 타야크

 

추천 전문화 : 암살 (일격 시 기력로스가 심하므로 동템렙의 경우 암살을 추천합니다, 그외는 템렙이 최고.)

추천 전문화 : 교묘함, 그림자 밟기

 

일반과 다른점은 칼날 폭풍이라는 스킬을 사용하는데, 주기적으로 전 공대원을 끌어당겨 회오리를 돕니다.

그냥 네임드랑 반대로 뛰시면 됩니다.

그 외 바람 걷기와 일격의 데미지가 굉장히 아프므로 정교한 무빙이 필요한데 도적이 신경 쓸 건 아니므로 패스.

 

현재 공심 네임드중 가장 낮은 하드 난이도라 평가받는 네임드입니다.

 

도적은 기본적으로 3가지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 일격 전에 최대한 기력을 써놓자

- 일격 시 교란

- dbm 일격 타이머를 보고 쿨기 사용에 주의

 

그 외에 일격으로 튕겨나간 후 그밟으로 바로 붙어 딜로스를 줄이는 방법도 있고, 취향에 따라 맘가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2페이즈 전환시 교란이 있다 하더라도 혼자 달려나가면 죽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공대원과 같이 움직이시는걸 추천합니다

11%즈음에 양쪽 난기류를 타고 미리 가있는건 개인 판단에 따르시면 됩니다.

 

요약 : 보이지 않는 일격 시 교란, 극딜.

 

 

 

3 - 가랄론

 

추천 전문화 : 전투

추천 특성 : 착취독 or 교묘함 , 그밟 or 맘가

 

네임드 구조상 체력이 계속해서 빠지고, 디피컷이 높은 보스이므로 기력을 소모하지 않는 착취독을 사용해 봄 직도 합니다(단 으깨기때는 필히 교란을 써주셔야합니다)

 

그밟 or 맘가의 경우 빠른 기동성으로 다리딜을 효과적으로 한다는 면과, 그망을 연속으로 사용하여 힐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는 면에서 둘다 장점이 있으므로 취향에 따라 고르시면 됩니다.

(그망타이밍은 페로몬 전이 3~5초전이 가장 적당합니다)

 

일반과 다른점은 으깨기가 페로몬과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오는것, 체력 33% 이하에서 페이즈 전환이 이루어 지는 것인데, 도적 시점에서는 일반과 다를게 없습니다. 그냥 으깨기시 교란, 페로몬 고중첩시 그망만 써주시면 됩니다

 

기어 체크 네임드이지만 효과적으로 잡기 위해 그만큼 세밀한 딜링 택틱이 필요합니다.

다리 고치기 타이머는 다리 하나가 파괴 된 후 돌아가므로 전투 시작후 빠르게 다리 하나를 점사하는게 중요합니다.

그 후에는 마음에 드는 다리 딜을 하시되 다리는 20%정도까지만 체력을 깎으시고 남은 딜은 도트나 묻딜로 처리가 되도록 해야 합니다.

 

가랄론이 분명 도적이 딜을 잘 뽑을 수 있도록 설계된 네임드는 맞습니다만, 공대 택틱에 따라서 딜이 잘 나올수도 있고 잘 나오지 않을 수도 있으며, 개인 딜딸 욕심에 공대 rdp가 떨어질 수 있으니 생각을 잘 하셔야합니다

 

가랄론의 다리 4개가 모두 파괴된 시간 ~ 다리가 새로 하나 나오는 시간 까지가 rdp가 떨어지는 시간이라고 생각하시고 운용을 하시기 바랍니다.

 

요약 : 적절한 딜 분배 및 으깨기 시에 교란 유지, 적절한 그망

 

 

 

4 - 멜자라크

 

추천 전문화 : 전투

추천 특성 : 교묘함, 마음가짐

 

일반과 다른점은

일반은 쫄 한무리를 잡을때 마다 네임드 중첩이 쌓이므로, 쫄을 동시에 다 잡은 후 2페이즈로 돌입하지만

하드는 쫄 한무리를 잡을때마다 일반 2페이즈 수준의 중첩이 30초간 지속이 되고, 일정 시간 후 쫄이 다시 젠됩니다.

 

즉 쫄점사 - > 네임드 30초간 디버프 -> 네임드 극딜 - > 피 낮은 쫄 점사 -> 네임드 디버프 - > 극딜

이런식의 패턴이 지속됩니다.

 

전투 특성을 추천한 이유는,

1. 전체적인 쫄광딜보다는 점사+묻딜이 중요하고

2. 아드+광학의 쿨이 원한+어칼 쿨보다 짧아서 네임드 극딜에 쿨기를 활용하기가 용이하다

(첫 쫄이 만피에서 잡히는데까지 1분 30초 정도가 걸립니다)

 

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암살도 원한의 지속시간이 30초로 디버프 시간과 동일하다는 점에서 좋지만.

개인적으로는 전투를 추천합니다.(사실 암살 안해봐서 모릅니다)

 

도적이 여기서 주의해야 할점은

- 호박석에 걸리면 꼭 외부로 빠지기

- 부메랑을 2타로 맞지않기

- 칼비때(특히 디버프칼비) 교란유지 입니다.

 

호박석은 따로 말씀드릴건 없고,

부메랑같은 경우는 날릴때 판정이 굉장히 넓으므로 근딜의 경우 피하기가 쉽지 않은데, 꼭 맞아야 하겠다 싶으면 교란을 키고 맞아주시고. 디버프 부메랑은 제대로 뒤 잡을 자신이 없으시면 부메랑을 날리고 돌아올때까지 딜을 포기하시는걸 권유합니다

참고로 칼비 때는 교란 유지 하시면 힐 하나도 안받아도 생석하나로 버틸수가 있습니다(추가 : 회피가능합니다)

 

쫄의 체력을 수시로 파악하고 쿨기를 적시적소에 사용하는것이 이 네임드의 포인트입니다

 

요약 : 쿨기의 적절한 운용, 칼비 때 교란, 부메랑은 어지간하면 멀리 피하기, 호박석 X맨조심

 

 

 

5 - 운속

 

추천 전문화 : 전투

추천 특성 : 그밟, 착취 독 or 교묘함, 전투준비

 

2타겟 딜이 많으므로 필이 전투를 타주셔야 하고, 발구르기시 빠른 복귀를 위해 그밟을 사용합니다

 

슬라임 개체수에 따라 체력이 주기적으로 빠지므로 착취독을 사용해 볼 만 하고, 발구르기시 데미지 감소를 위해 교묘함을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기생충 디버프는 그망으로 지워집니다

전투준비는 슬라임이 붙어서 평타를 치는 경우에 사용하시면됩니다(근데 이걸로 뎀감이 되는지는 체감이 잘;;)

 

편의상 괴수를 아빠골렘, 변형을 애기골렘으로 지칭합니다

 

전투 흐름은 일반과 거의 동일합니다.

 

단 일반은 애기골렘의 1번(불안정화) 중첩을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반면에

하드모드는 이 중첩이 끊기면 리트를 해야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3페이즈 들어가면 시네스트라 구슬처럼 대상을 찍고 구슬이 2개가 오는데 자기한테 닿으면 전멸이고

시네처럼 크로스하셔서 구슬 2개를 합치시면 구슬이 사라집니다

 

그 외에 슬라임이 죽었다가 30초후에 부활 하는 거지같은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는데 도적은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운속 잡는 택틱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정석으로(네임드 설계자가 의도한 택틱으로 생각되는...) 잡는 택틱을 설명하겠습니다

 

호박석 비수 한번에 슬라임이 4개가 생기고, 죽었던 슬라임은 시간이 지나면 부활이 되므로

골렘 변형 한사람당 슬라임을 4개를 드셔야합니다(즉 일반과 다르게 3페이즈에는 바닥이 없겠죠..)

 

애기골렘은

1.운속중첩

2.아빠골렘중첩

3.자기차단

4.아빠골렘차단

5.바닥4개먹기

을 신경써주셔야합니다(굉장히 어렵습니다)

 

2페이즈에서 3페이즈 넘어가는데 애기골렘 변형이 5~6번쯤 일어나므로 도적분들도 골렘에 대해 완전히 확고셔야합니다

(어지간하면 인벤오라디스플레이나 디버프필터를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운속과 아빠골렘 중첩 확인을 위해..)

 

애기골렘의 운용과 전투 흐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레이드 게시판 닉네임 '머즈커'로 검색하시면 택틱이 세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면됩니다

 

도적이 신경써야 할건

- 발구르기시에 교묘함+그밟

- 내던지기시에 어글이 튈 수 있으므로 빠른 회피

- 애기골렘확고

- 3페이즈 구슬조심.

- 애기골렘 체력관리

 

정도입니다

 

 

바닥을 4개를 먹으므로 애기골렘 딜이 은근히 빡빡합니다

아빠골렘을 타겟으로 폭칼딜을 하지마시고, 애기골렘을 타겟으로 잡으시고 폭칼딜을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일반에 비해 매우 세세한 컨트롤이 필요할뿐 택틱이 다른 네임드는 아니므로 하시던대로 하시면됩니다

(단 중첩은 절대 끊기면 안됩니다)

 

요약 : 발구르기 시 교란,그밟   ,  내던지기시 어글튈경우 빠른회피,   애기골렘 체력관리,  골렘확고

 

 

 

6 - 셰크지르

 

추천 전문화 : 암살 or 전투 (개인적으로는 전투를 추천합니다)

'필수' 특성 : 교묘함

 

일반과 하드의 차이점은

 

- 샤가 2개의 음파공명 장 중에 하나를 타락을 시켜 지속적으로 2명의 공대원에게 틱당 75000의 암흑뎀을 줍니다

- 진짜 정말 더럽게아픕니다(사실 도적은 별로안아픔)

- 3페이즈에 1네임드 내쉬기처럼 시선이 꼽힙니다

 

나름 공포의 심장 막넴다운 포스를 보여주는 네임드입니다.

 

포스라기보단 그냥 데미지만 무식하게 쌥니다

택틱은 정말 단순한데, 정말 데미지가 무식하게 아파서 고생을 하는 네임드입니다(4힐로 진행합니다)

 

파라곤 10인 영상 택틱과 동일하게 진행하였으므로 영상을 보시면 이해가 빠릅니다

 

기본적인 전투흐름은

 

샤가 타락시킨 공명장을 공포의 비명 대상자+마나를 사용하는 오프탱커 가 들어가서 빠르게 폭파시킵니다

쫄페이즈를 2번 봅니다. 즉 1페->쫄페->1페->쫄페->1페->3페 로 구성이 되며

마지막 1페이즈에 장을 모두 파괴시키고 다음 공포의 비명 대상이 꼽히기 전에 3페이즈로 넘어가셔야합니다

 

 

*현재 버그인지 의도된 건지 1페이즈에 공포의 비명 대상자가 공명장 안으로 들어가면 공포의 비명 데미지를 대상자가 받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건 그냥 대상자가 와리가리 하시면서 힐받고 다시 들어가시거나 해야합니다.

버그 발생시에 체력이 2초만에 쓸려버리므로 주의하셔야합니다(도적은 신경쓸거음슴)

 

쫄페이즈에는 탱커 하나가 작쫄6마리, 다른탱이 큰쫄2마리를 잡으므로 한쪽은 속거로 작은쫄을 몰아주셔야합니다

쫄은 뭉쳐있는 갯수에 따라 데미지 증가 버프가 생기므로 빠른 점사+묻딜로 한마리씩 처리하셔야합니다

(전투를 추천한이유)

 

3페이즈에는 내쉬기처럼 시선이 꼽히는데 오프탱 뒤로 숨으시면 됩니다.

사실 150트남짓 하고 영상을 수십차례를 봤습니다만 아직도 이게 무슨 매커니즘인지 모르겠습니다.

체력이 주기적으로 깎이는건 아니고 시선이 종료된후 체력이 한번에 깎이는거 같은데 정확하진 않습니다.

 

도적이 주의하셔야할건

- 샤가 타락시에 그망, 타락한 공명의 장이 터질때까지는 풀교란

- 터질때는 당연히 교란

- 쫄 빠른 점사(광딜 안됩니다)

- 3페이즈 시선꼽힐시에 오프탱 뒤로 숨기

- 3페이즈 디버프때 빠지기

정도입니다.

 

1페이즈는 공명파괴시에 공대원 급사, 2페이즈에는 쫄탱커 급사+시선자가 한방에 찍(원거리 딜을 합니다...)

이 주된 전멸의 원인이며

 

택틱은 정말 단순한데 정말 진짜 젼나아파서(+버그) 고생을 합니다

4힐로 해도 힐이 굉장히 빡세며, 1페이즈 종료시 레이드 프레임을 보시면 힐러들 마나가 쫑나있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버그라고 적어놓은건 경험상 거의 50%확률로 걸리므로 이번트는 버그안뜨길 비시는건 별 효과가 없을거라 생각됩니다.

 

1페이즈를 3번을 보고 3페이즈로 넘어가기 때문에 딜이 아주 빡센 네임드는 아닙니다

블러드로 70%->47%->블러드로 30% 까지 빼면 되기때문에

도적은 그냥 풀 교란을 유지한다고 생각하시고 운용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매 트라이때마다 받은 피해량 최하위를 꼭 유지하셔야합니다)

 

거의 모든 데미지가 물뎀이고 타락한 공명의 장이 던지는 덩어리(?)가 암뎀이므로 그때 그망을 써주시면됩니다

문양그망이시면 터지기 전에 쓰시면 됩니다

 

2페이즈는 필히 속거로 어글을 잡아주셔야하고, 탱커 생존기가 다 끝나기 전에 점사로 한두마리를 녹여주셔야 탱급사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쫄이 근딜에게도 시선을 꼽으므로, 1초 내로 반응하셔야 하고, 반응 못하시면 2대맞고 죽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사실 셰크는 하드와 일반이 택틱이 별반 다른게 없어서 얘기 드릴게 없네요

그냥 받은 피해량 최하위 유지하시면서 딜하시면됩니다;

 

 

요약 : 1페이즈 교란유지, 쫄 빠른 점사 및 시선대상시에 빠른 반응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길게 써놨지만 사실

 

교란

 

으로 요약할수 있습니다

 

판다로 넘어오면서 가장 상향 된 부분이라고 볼수 있으며, 저거 활용안하는 도적 데려갈바엔 그냥 다른 공대유틸기 있는 근딜이나 원딜 데려가는게 훨씬 좋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딜 더럽게 못한다고 생각하며, 그때문에 공대에 도움이나 되자고 공략 영상 수십차례 보면서 데미지 들어오는 구간 생각하고 교란 타이밍만 연구하고있습니다-_-;;

 

공심 하드 트라이 하시는 도적분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템자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