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에 말씀드리자면

정확한 데이터에 의한 주장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 생각에 의한것임을 미리 명시합니다.

 

조금 설명이 장황하므로 귀찮으신분은

색칠된 부분만 적당히 읽으셔도 됩니다.

 

많은 정술분들이 4셋 이후 가속을 어디까지 맞춰야하고

특화를 어디까지 맞춰야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많으신걸로 압니다.

저 또한 그런 술사중에 한명이었습죠.

 

그래서 꽤 시간이 지났지만, 그래도 후발 정술 합류자 분들을 위해

이렇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가속 가이드에 대해 말씀드리고

이 가이드 가속이 어떻게 해서 나온건지에 대해서도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정기 주술사] 화충 틱수와 필요 가속도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4&l=36397

위의 링크에 들어가시면 가속에 따른 화충틱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있게됩니다.

제가 주목한 부분은 화충문양을 박았을 시 12틱이 나오는 2781 가속부분입니다.

 

그리고 참고로 t13 정술의 4피스 효과는

정기 과부하가 일어날 때마다 4초 동안 250만큼 가속도가 증가합니다.

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서론은 이정도면 될거 같구요.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제가 생각하는 적정가속은 2281입니다.

이제부터는 그 근거를 말씀드리려 합니다.

 

1. 화충 유지시간의 극대화

 

화충틱을 맞추게 되면 화충의 유지시간이 가장 길어지게됩니다.

화충은 최대 28초를 기준으로 가속이 높아질 수록 유지시간이 짧아지면서

그만큼 화충 틱이 자주 오는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예를들면)

가속이 2780의 경우 화충은 25초의 유지시간을 가지게 되며 11번의 틱이 들어가게 됩니다.

그러나 2781의 경우 화충은 28초의 유지시간을 가지게 되며 12번의 틱이 들어가게 됩니다.

가속이 추가로 증가하는 경우 12틱은 유지되며 화충의 유지시간이 줄어들게 됩니다.

 

틱이 늘어나는 지점에 가속을 맞추게되면 그만큼 화충을 동일 전투시간동안 적게 사용하게

되는 이점이 생깁니다. 이만큼 번화에 더 투자할 수 있으므로,

번화의 딜량도 늘어나며, 번화를 더 많이 쓰므로 정깨의 타이밍도 더 빨리오며,

번개보막의 중첩 또한 더 많이 모으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딜량 상승에 도움을 주게 됩니다.

 

전투시간 6분을 기준으로 했을때 화충을 칼같이 리필한다고 할 때

25초의 화충은 14.4회를 시전해야하며

28초의 화충은 12.8회를 시전해야한다.

칼같이 중첩이 유지하는것은 거의 불가하므로

최소 2회이상의 화충 시전 차이가 생기게 된다.

 

충격류의 쿨타임이 5초정도라고 한다면(정확히 기억이 안나네요 ㅠ)

2회의 시전은 결코 작은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화충은 적게 쓸수록 딜에 도움이 되니까요.

 

2. 정기 과부하의 2중첩 유지 확율 vs 3중첩 유지 확율

 

제 정술 407정술의 특화력 2755를 기준으로 특화력 발동 확율은 46.74%입니다.

처음 특화가 발동하여 1중첩이 된 상태를 가정할 때

1중첩이 사라지기 이전에

2중첩이 유지 될 확율은 = 0.4674+0.5326*0.4674+0.5326*0.5326*0.4674 = 0.8489 = 84.89%

3중첩이 유지 될 확율은 = 0.4674^2*0.5326x3 = 0.3491 = 34.91%

 

2중첩 이후 유지될 확율은 둘다 동일하므로 유지되는경우는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단순 해당중첩을 얼마나 자주보느냐의 싸움으로 간다면 2중첩이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러므로 12틱의 화충가속을 유지하기에 3중첩을 가정하는것 보다 2중첩을 가정하는것이 훨씬 안정적입니다.

 

(참고 : 왜 위의 확율만 계산했냐면, 첫 1중첩 발동확율과 중첩의 유지 확율은 어차피 2중첩이든 3중첩이든

동일하기 때문에 계산하지 않았고 2중첩과 3중첩의 결정적 차이인 중첩 발동 확율만 계산했습니다.

아마도 중복되는 확율을 합산하게되면 위의 확율차이는 어느정도 줄어들게 됨을 미리 말씀 드려봅니다.)

 

(추신 : 왜 안정적인 가속을 유지해야 하는가?

화충은 그냥 막 쓸수 있는 기술이 아니라 몇초가량의 쿨이 존재하는 기술입니다.

이러한 화충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쓰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가속을 맞춰서 사용하게 되는데,

3중첩을 기다리면서 화충을 쓰게되면 너무 자주 쓰거나 혹은 화충 유지가 끊기게 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2중첩을 기준으로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화충유지가 가능하게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제 마무리 결론을 지어볼까요 ^^

 

보통 요즘 정술분들은 2000~2300의 가속을 맞추고

나머지를 모두 특화에 몰빵하는것이

최근 정술의 대세 세팅입니다.

(2중첩 혹은 3중첩 상태에서 2781이 유지되는 가속)

 

하지만 디피를 조금이라도 더 올려보려는 노력에

수차례 세팅변화와 스킬연구를 통해서 위와같은 결론을 내게 됬습니다.

 

1. 화충의 유지시간이 최대가 되는 효율 극대화 지점인 틱변화지점을 포인트로 하되

2. 보다 안정적으로 가속이 유지 가능한 2중첩을 목표로 가속을 설정한다.

 

그러므로 적정가속은 2781 (12틱가속) - 500 ( t13 4셋 효과 2중첩 ) = 2281

나오게 된 것입니다. [권장 가속 : 2281~2285 사이]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