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원숭이도 따라할 수 있는 심크 사용법을 들고 왔습니다.

언제나 자주 올라오는 질문들 있죠?

스탯 우선순위는 어떻게 되나요?
이 템이랑 저 템이 있는데 뭘 끼면 좋을까요?
제 템렙이 XXX인데 딜이 얼마나 나와야 정상인가요?
특성은 뭘 찍어야 하나요?

위 질문들에 정답부터 말하자면 "각자의 템 상황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그래서 심크를 돌려봐라, 심크는 어떻게 쓰는거냐 하는 말도 많이 나오는데요,
심크를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아주 쉽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시뮬레이션 크래프트는 www.simulationcraft.org < 여기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는 방대한 데이터와 심크 덕후들의 지원으로 끊임없이 업데이트 되는 아주 강력한 시뮬레이션 툴입니다.


1. 시뮬레이션크래프트 설치하기





심크 사이트 www.simulationcraft.org 로 갑니다.
상단의 DOWNLOADS 버튼을 클릭하시면 다운로드 할 수 있는 페이지로 갈 수 있습니다.
최상단에 있는 버전이 가장 최신 버전입니다. 시뮬레이션 할때는 항상 가장 최신 버전으로 할 수 있도록 합시다.
현재 최신 버전은 6.2.0, release2, 즉 620-02 가 되겠군요.

아래에 보시면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윈도우를 사용하실테니 32bit-64bit 운영체제에 맞게 받으시구요.
7z file 은 압축파일, installer 는 설치형입니다.
압축파일로 받으신 분은 적당한곳에 압축을 푸시고, 설치형은 설치해줍니다.







저는 압축파일로 받아서 풀었습니다.
저런 폴더가 생성됩니다. 버전인 620-02 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최신버전을 위해 항상 새로 다운받을 필요 없이 버전이 맞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런저런 파일들이 잔뜩 있는데 신경쓸 필요없고 바로 심크를 실행시킵니다.



2. 시뮬레이션 환경 설정하기






심크 실행화면입니다.
처음 실행시 상단의 Welcome 탭이 기본화면입니다.
침착하게 Options 탭으로 이동합니다.
그 아래의 Globals 탭에서 기본적인 설정들을 할 수 있습니다.

1) Region 은 국가입니다.
만약 본인이 미국섭에서 와우를 하고 있다면 US, 유럽섭에서 와우를 하고 있다면 EU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2) Iteraions 는 시뮬레이션시 반복 횟수입니다.
반복횟수가 높을수록 정확한 결과가 나오지만 시뮬레이션 시간이 길어지므로 너무 많이 늘릴 필요는 없습니다.

3) Length(sec) 은 전투시간(초) 입니다. 너무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4) Fight Style 로 말뚝딜인지, 무빙딜인지, 쫄딜이 있는지 등을 고를 수 있습니다.
Patchwerk - 옛 레이드 던전 네임드 "패치워크" 입니다. 가장 기본적인 말뚝딜
HecticAddCleave - 심한 무빙, 자주 쫄 소환
HelterSkelter - 무빙, 스턴, 방해 있음. 2분마다 타겟 변환
Ultraxion - 주기적 스턴 (용영의 "울트락시온" 입니다. 용영 레이드 경험이 있으신분은 어떤 전투형태인지 이해하실듯)
LightMovement - 가벼운 무빙 
HeavyMovement - 심한 무빙 (거의 전투 내내 움직이는 설정입니다)
Beastlord - 무작위로 무빙, 자리잡기, 자주 1타겟 쫄 웨이브 (용광로의 "야수군주 다르마크" 입니다)

5) Player Skill 로 플레이어의 숙련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Elite 인 경우 정해진 딜사이클을 한치의 오류도 없이 완벽하게 수행합니다.
Good - Average 로 갈수록 숙련도가 낮아집니다.
Ouch! Fire is hot! 은 개그옵션같습니다. 쓸데 없이 자주 도트를 리필하고, 우선순위가 높은 스킬을 빼먹습니다.

6) Num Enemies 로 적의 수를 정합니다.
네임드가 여러마리 일 경우를 가정하여 시뮬레이션 하기 좋습니다.

7) World Lag 은 지연시간입니다.
보통은 건드릴 필요가 없지만 해외에 살면서 한국 서버에서 게임을 한다던가, 그 반대의 경우에는 조금 높게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Globals 탭의 설정은 끝났습니다.
Buffs/Debuffs 탭으로 가주세요.
시뮬레이션에 버프 효과를 줄것인지 말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순서대로
전투력, 주문력, 치명타, 가속, 연속타격, 특화, 기력, 올능(힘민지), 유연성, 블러드 입니다.
레이드를 가정하여 돌리는 경우 모두 체크하면 되겠죠?







다음은 Scaling 탭입니다.
여기는 스탯의 가중치를 계산하길 원할때만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을경우엔 Enable Scaling 을 비활성화 시켜주세요.
이 작업은 같은 시뮬레이션을 특정 능력치만 바꿔가면서 다시 시뮬레이션을 하여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시간이 길어집니다.

필요한 스탯만 골라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지능, 주문력, 치명타, 가속, 특화, 연속타격, 유연성에 체크해줍니다.

여기까지 하면 설정은 끝났습니다.



3. 프로필 입력하기





설정이 끝났으면 Import 탭으로 갑니다.
아까 설정에서 Region 을 KR 로 설정하셨다면 한국 서버의 와우 화면이 나옵니다.
우측 상단에서 직접 캐릭터명으로 검색해도 되고,
아래의 주소창에 자기 캐릭터의 전정실 주소를 직접 복사해 넣으셔도 됩니다.
위 처럼 제대로 본인 캐릭터의 전정실 화면이 뜬다면 Import!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러면 해당 캐릭터의 정보가 적절하게 가공되여 Simulate 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4. 시뮬레이션 하기





Import 를 하면 이렇게 뭔가 잔뜩 쓰여진 창이 나오는데 당황하지 마시고,
침착하게 Simulate! 버튼을 눌러주기만 하면 됩니다.
앞서 말했다시피 Scaling 옵션을 체크했다면 시뮬레이션이 조금 오래걸립니다. 차분하게 기다려주세요.



5. 결과보기




시뮬레이션이 끝나면 자동으로 Results 탭으로 넘어오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줍니다.
DPS 는 58110 이 나오는군요.
이건 여러번의 반복 시뮬레이션 결과의 평균값으로 돌릴때마다 약간씩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과를 저장해두고 나중에 다시 보고싶다면 Save! 버튼을 눌러 html 페이지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아래로 스크롤을 쭉 내려보시면 심크 페이지처럼 이런저런 정보가 많이 있습니다.
미터기 딜내역같은것도 나오구요, 버프 업타임, 스킬 사용횟수, 전투 내내 어떤 순서로 스킬을 사용했는지 등도 나옵니다.






Scaling 옵션에 체크하신 분은 스탯 랭킹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Scale Factors는 해당 능력치를 올렸을때 딜 상승량이구요
Normalized 는 지능을 1로 봤을때 나머지 스텟의 가중치를 비례로 나타낸 것입니다.

결과를 보니 Int > SP > Mult > Mastery ~= Haste > Crit > Vers 순서로 나오는군요.
참고로 ~= 이 표시는 '두 스탯의 가치가 크게 차이나지 않아 거의 같음' 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심크 사용법, 원숭이도 따라할 수 있는 초급편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정도만 사용할 수 있어도 법게 질문글의 절반 이상은 안올라오지 않을까 생각하네요 ㅋㅋㅋ

가끔 딜사이클이나 스탯에 대해 정확한 데이터를 모르고 잘못된 생각을 가진 분을 볼때마다 안타까웠는데
모두 심크쓰고 자신의 캐릭터를 분석하여 쩔법사가 되세요!
(물론 전 어디에나 널려있는 흔한 양민법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