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이 궁금해하실 부분만 요약 의역하여 올립니다. 

 

 

 

1. 문양

  진실의 문장 문양은 모든 문양 중에 가장 이득이 큽니다. 숙련이 16을 넘어도 재연마로 깎은 다음 진실의 문장 문양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에는 진실의 문장, 기사단의 선고, 성전사의 일격 문양을 권장하였지만, 계수의 변화로 인해 성전사의 일격 문양보다 퇴마술 문양이 좀 더 좋아졌습니다. 따라서 이제 이상적인 문양은 진실의 문장, 기사단의 선고, 퇴마술 문양입니다.

*퇴마술 문양의 도트 데미지도 따로 치명타가 존재합니다. 악마나 언데드의 경우는 도트도 무조건 치명타로 적중됩니다.

 

주 문양은 뭘 사용해도 상관없지만, 마나 소모량 감소 측면에선 엄격한 성전사가 가장 좋습니다.

 

 

 

2. 딜 사이클

  1) 단일 대상

  일반적인 경우 우선순위는 심문 > 성전사의 일격 > 기사단의 선고 > 천벌의 망치 > 퇴마술 > 심판 > 신의 격노 > 신성화 입니다. 단, 퇴마술의 문양을 박았거나 대상이 언데드인 경우에는 천벌의 망치와 퇴마술의 우선순위가 바뀝니다.

심문 > 성전사의 일격 > 기사단의 선고 > 퇴마술 > 천벌의 망치 > 심판 > 신의 격노 > 신성화

정리하면, 아직 신성한 힘이 3개가 아닐 때 전쟁의 기술과 신성한 목적이 터졌어도 성전사의 일격을 사용할 수 있다면 성전사의 일격을 먼저 써야 합니다. 후에 기사단의 선고를 써서 신성한 목적을 사용하고 퇴마술을 써서 전쟁의 기술을 사용합니다.

신성한 힘이 3개라면 성전사의 일격을 사용할 수 있어도 기사단의 선고와 퇴마술이 우선됩니다.

 

  2) 다중 대상

  위의 우선순위에서 단지 성전사의 일격 대신에 천상의 폭풍을 사용한다는 점만이 다릅니다. 대상이 많아지면 신의 격노의 데미지가 점감되므로 셋 이상의 대상부턴 신성화를 신의 격노보다 우선해서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추가로 Redcape의 모델에선 셋 이상의 대상부터 성전사의 일격보다 천상의 폭풍을 사용했을 때 데미지는 더 높게 나왔습니다. 하지만, 천상의 폭풍은 신성한 힘을 주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봤을 땐 대상이 넷일 경우까지는 성전사의 일격을 쓰는 게 좋다고 합니다. 즉, 성전사의 일격 대신 천상의 폭풍을 쓰는 건 대상이 다섯 이상일 때부터 추천합니다.

 

  3) 열광

  패치 이전엔 열광 상태에서도 퇴마술과 천벌의 망치가 우선이였지만, 이젠 다릅니다. 성전사의 일격 > 기사단의 선고가 우선이며, 다시 성전사의 일격의 쿨이 돌아오는 잠깐 사이에 다른 기술을 끼워넣어야 하는데 이때 천벌의 망치와 퇴마술을 사용합니다.

 

 

 

3. 스탯 우선도

  힘이 역시 최고입니다. 그 다음으로 적중, 숙련이 중요하며 이제 가속은 비교적 가장 떨어지는 스탯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우선도는 힘 > 만적중(8%) > 만숙련(26) > 특화도 > 치명타 > 가속도 입니다.

 

 

 

4. 보석

  단일 소켓에선 무조건 힘보석이 우선입니다. 만약 힘을 20 올려주는 보너스가 있다면 그 경우엔 색깔을 맞춰서 넣어야 합니다. 당연합니다만, 결과적으로 힘은 똑같이 40이 오르고 다른 스탯 20을 보너스로 받으니까요.

보석 장착 보너스가 힘이 아니라면 무조건 힘보석을 박습니다. 만약 소켓 2개의 아이템에서 보석 장착 보너스가 +30 힘이라면 색깔을 맞춰서 박습니다. 힘 10의 손해보단 40의 다른 능력치 획득이 다소 이득입니다.

이는 머리 부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머리에 색깔을 맞췄을 때 특화도가 +30 된다고 해도 색깔을 맞추는 것보단 힘보석을 박는게 약간이나마 이득입니다.

 

 

 

5. 마법부여

 

머리 - 와일드해머 or 용아귀부족 영석

등 - 치명타

어깨 - 테라제인 영석

가슴 - 모든 능력치

손목 - 힘

장갑 - 힘

다리 - 용비늘 다리 방어구 강화가죽

발 - 적중 or 특화도

무기 - 산사태 > 싹쓸바람 > 눈사태

 

 

 

6. 쿨기의 사용

  1) 응징의 격노

  응징의 격노가 가장 큰 효과를 내는 때는 공격속도가 증가하고 성전사의 일격의 쿨이 줄어드는 영웅심 동안입니다. 하지만 영웅심을 위해 응징의 격노를 쓰지 않고 기다리는 것은 손해입니다.

*응격은 블러드를 처음에 쓰는 게 아니라면 전투시간을 계산해서 쓰는 게 좋습니다. 만약 전투시간이 5분이라면 어차피 응격은 두 번밖에 못 쓰기 때문에 한 번은 보통 전투 상태에서, 다른 한 번은 블러드에 맞춰서 사용하는 게 좋겠죠. 또한, 아래처럼 응징의 격노와 열광을 함께 쓰는 경우엔 영웅심 등의 가속 상태가 아닐 때 사용하시는 게 좋을 수도 있습니다.

 

  2) 열광

  열광을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순간은 응징의 격노를 사용했을 때 입니다. 물론 이때 천벌의 망치와 퇴마술을 제때 못쓰는 단점이 생기지만 결과적으로 봤을 때는 훨씬 이득입니다.

 

  3) 고대 왕의 수호자

  쿨기를 돌릴 때 먼저 사용하는 걸 추천합니다. 가장 좋은 쿨기 사용은 고대 왕의 수호자 사용 10초 후에 응징의 격노와 열광을 사용하는 것(혹은 둘 중 하나라도)입니다.

 

 

 

 

출처 - http://elitistjerks.com/f76/t110342-retribution_concordance_-_4_0_6_compliant/

 

*계속해서 수정하고 있습니다. 해석이 잘못된 부분은 쪽지를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