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도 스압)

 

 

안녕하세요 25인 정공에서 레이드하는 한마리의 징박입니다.

4.03버전으로 그간 정리했던 글이 있었는데, 네파 하드를 잡은 다음주에 바로 4.06이 나와버려서

징벌기사의 많은 부분이 바뀌어 글을 수정하고, 다시 실전에 적용시켜보느라 재작성이 늦어졌어요.

 

이 글은, 25인 하드모드의 검은날개 강림지를 도전하시는, 도전하실 모든 징벌기사분들을 위한 글이며

각 공대의 공략법이나 구성, 성격에 따라 다소 차이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만

읽어주시는분들께 도움되셨으면 좋겠다는 마음으로 적겠습니다.

(10인은 안해봐서 잘 모르겠어요)

 

'딜러'의 관점이 아닌, '징벌기사'의 관점으로 부족하나마 읽어주시면 좋겠습니다.

 

※시작에 앞서 전 네임드 공통되는 사항

- 신성한 광휘는 언제나 사용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설마 단축키에서 빼두시는분 안계시죠?)

- 구원의 손길 또한 언제나 사용 준비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 신의 축복을 항상 준비하여 죽을 위험에 처한 공대원에게 꼭 사용해주세요.

- 쿨마다 광휘를 썼을 때 큰 엠소모에 대비하여, 주 문양으로 성격, 천망을 사용하였습니다. (극심한 엠소모 보완)

- 신의 가호 주 문양(받는 물뎀에 영향을 주지 않는 대신 받는 마뎀을 40%깎아줌)은 생존에 큰 도움이 됩니다.

- 각 네임드마다 최적의 트리를 준비하였습니다. (딜만 해도 되는 네임드 혹은 힐지원이 꼭 필요한 네임드 등)

- 패치 전(4.03)에는 [비난]이 네임드마다 선택사항이었으나,

 패치 후(4.06) [성스러운 보호막]은 트라이네임드에서는 필수. 단, 키마이론 제외.

- 특성은 네임드마다 바꿔 트라이하였습니다.

- 전 네임드 공통 필수 유틸기: 구원의 손길, 신의 가호, 신성한 광휘

 

 

1. 용암아귀

 

참고할만한 특성 :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2&idx=9747 (천폭 x)

준비할 유틸기 : (물려간 탱커에게)보호의 손길

 

탱커가 최우측에서 용암아귀 탱을 한다면, 밀리들은 최좌측 뒤를 잡을 수 있는 공간에서 딜을 하였습니다.

[법의 힘]특성의 도움을 받아 빠르게 전투에 임할 수 있었으며, 첫 쿨기로 열광만 돌렸습니다.

블러드(영웅심)를 첫 머리 내려올 때 사용하였기에, 그 때 고대왕과 응격, 물약을 사용하여 극딜하였고

그 뒤로 꾸준히 열광 & 응격을 번갈아가며 머리 딜을 하여 딜량 극대화를 꾀하였습니다.

용암아귀 슬럼프 타이밍이 올 때, 남들 올라가서 사슬 꽂을 때 딜을 좀 더 할 욕심도 있었지만

머리에 올라갔다가 내려오면 어글이 초기화되는 이점이 있기에

어글 리셋을 위해 어쩔 수 없이 한번은 꼭 올라가야했습니다.

(저는 첫 슬럼프에 기를쓰고 우클릭해서 올라갔음 어글리셋하려고.. 사슬 담당자는 따로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레이드 프레임을 주시하고 있다가, 밀리쪽 피 복구가 필요하면 망설임없이 광휘를 돌렸구요.

차례가 되면 물려간 탱커에게 보손을 시전하여 탱커 급사를 막았습니다.

혹여나 중간에 큰쫄 딜이 밀려 탱커님이 밀리쪽으로 데려와 딜을 도와달라는 오더가 내려오면

머리딜을 하고있건 뭐하고있건 일단 쫄딜을 돕는 데 최선을 다했습니다. (쫄이 밀리면 전멸 확률이 커짐)

25퍼에 용암아귀 2페이즈 시작, 밀리들도 산개해야하는데 어쩔 수 없이 앞잡아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전에도 밀리쪽에 바닥이 떨어진다면 탱커쪽에 같이 서서 딜을 해야하기때문에 앞잡는 경우가 생기구요.

2페부터 광휘와 아주 가끔 위험한 사람에게 서약힐을 줌으로써 공대 생존에 도움을 주고

마지막 머리에 쿨기+고대왕으로 막판극딜을 했습니다.

 

 

2. 골렘 방어시스템

 

참고할만한 특성 :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2&idx=9747

준비할 유틸기 : 희생의 손길+천상의 보호막(무적), 천상의 보호막(연타하면 지워지는 매크로도 좋음), 비난

 

골렘이 나오는 순서에 따라 어려운 조합이 있고 쉬운 조합이 있는데

조합에 따라 난이도가 결정되는 아이러니한 네임드입니다. 각 골렘별로 나누어 정리하겠습니다.

30초에 한번씩 총 4마리의 골렘이 교대하기 때문에, 징벌기사의 2분짜리 딜쿨기를 특정 골렘마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블러드를 언제 쓰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저희같은경우 특정 상황에 블러드를 돌리는 경우가 없어

블러드는 염두에 두지 않고 용암골렘=열광(비교적 안정적 시즈딜이 가능),

비전골렘=응격(바닥활용의 극대화)을 사용하였습니다.

패치 전에 비해 타겟을 이동했을 때 딜손실이 상당히 줄어서 기뻤습니다.

 

- 비전골렘

때리기 시작하면 금방 5중첩이 쌓이니 쌓인거 보고 고대왕을 먼저 켭니다.

그 뒤로 5초쯤 세면 비전골렘 밑에 바닥이 생기는데, 디버프창에 바닥을 밟았을 때 생기는 아이콘이 있는데

확인하자마자 자신에게 구손넣고 날개를 켜고 극딜합니다.

바닥이 일반모드와는 다르게, 바닥에 네파리안이 어활같은걸 쏘면 바닥이 커지며 터지는데

엄청난 데미지를 입어 죽을 수 있으므로 이 때는 욕심내지 않고 바닥 먼저 피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보통은 탱커가 먼저 빠져주므로 따라가면서 딜하면 됨)

때에 따라 비난으로 차단을 도와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니 준비하시면 좋습니다.(ex>차단담당 죽음)

 

- 맹독골렘

저희공대 공략은 구석에서 맹독골렘을 탱킹하는 거였구요.

맹독골렘이 슬라임을 소환하면 슬라임 두마리째 나왔을 때 신성화를 깔아 광딜을 도왔습니다.

자신이 쫄 대상이 되면 신성화만 깔고 멀리 빠져나와 심판 퇴마 천망으로 쫄 막타만 쳤고

대상이 아니면 천폭 광역딜을 하시는게 도움이 됩니다(3마리 이상이 범위에 들어올 시)

특정 지역에 독바닥을 까는데, 하드모드는 그 독바닥으로 전 공대원을 죽손처럼 끌어 넣습니다.

재빨리 지정된 자리로 피해주셔야 힐러들의 부담이 줄어듭니다.

 

- 전기골렘

전기 전도체에 걸렸을 때 공대원들과 거리를 두어 공대에 피해가 가지 않게 하는 것은 일반과 같지만

하드모드에서는 전기 전도체 걸렸을 때 틱이 2번 터지고 바로 암흑 전도체로 바뀌어

자신과 멀리 떨어진 대상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므로,

암흑 전도체인게 확인이 되면 즉시 공대원들 사이로 뛰어 들어가야 합니다.

캐스터와 밀리의 거리가 조금 벌어져있는 진영이면, 그 사이에 서서 암흑 전도체 끝날 때 까지 계시면 됩니다.

나 혹은 남의 암흑 전도체가 터질 때, 광휘를 돌려주시면 좋긴 한데 보통 용암골렘에서 써서 쿨이 있을지는 장담못함.

쿨이 있다면 당연히 써주시는 게 좋습니다.

 

- 용암골렘

가장 유틸기를 신경써야 할 골렘입니다. 보통 순서를 맞춰 신기분들이 희손+가호 혹은 희손+무적을 쓰셨는데

어쩔 수 없이 징기가 희손+무적을 써야 할 때가 올 수도 있으니 필히 준비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특정 사람이 용암골렘의 빨간 레이저(스킬이름을 모르겠음)에 걸렸을 때, 자신의 순서라면 대상에게 희손+무적.

자신이 대상이 되면 무적으로 재빨리 씹어주시고 씹힌게 확인되면 무적지우고 유유히 하던 딜 하시면 됩니다.

소각장치였나 공대원 전원에게 데미지를 주는 사방브레스(?)를 사용하면 광휘를 켜주세요.(너프되서 크게 아프진 않음)

비교적 안정적 시즈딜이 가능하기에, 용암골렘 때 열광을 켜 딜을 하였습니다.

빨간 레이저의 일반과 하드의 차이점은, 간혹 레이저 대상자가 움직이지 못할 때가 생깁니다.

그 점에 유의하셔서 반대편으로 무빙해주시면 어려운점은 없습니다.

 

 

3. 키마이론

 

참고할만한 특성 :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2&idx=9747 (천폭 x)

준비할 유틸기 : ★꼭!!! 구손(먼저죽기 싫으니까)★, 보호의 손길, 천상의 보호막

 

저희공대는 대학살때엔 그대로 산개해 있다가, 반목이 되면 뭉쳐서 같이 힐을 받는 방식으로 공략을 하였습니다.

공대 내에서 유일한 공증3퍼 시너지를 갖고 있다면(비법, 야냥이 없다면)

자리를 최대한 공대 진영 중심에 배정해달라고 해주세요. (저는 반목 때 뭉치는 자리 바로 옆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정해진 자리에 서서 쿨기 꾸준히 돌려가며 열심히 딜을 했는데

매번 반목을 쓰는 타이밍이 달라서, 효율적인 쿨기 사용 타이밍은 정확히 짚진 못하겠지만,

적어도 반목때만 딜쿨기 안쓰시면 무리는 없으리라 봅니다.

독화살에 맞아 디버프가 걸려있을 때에는 성격이 삑날 확률이 매우 높고, 삑나면 신성한 힘도 차지 않기에

데미지+신성한힘 손실이 큰 성격 말고 다른 스킬을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데 신경을 썼습니다.

반목 때 뭉쳐있을 때, 일정 간격으로 계속 독화살을 맞게 되는데,

디버프 시간을 잘 보고 있다가 디버프가 없어진 직후 성격을 사용하여 삑을 없애고,

독화살 디버프가 있는 타이밍에 광휘로 힐지원을 하거나 구손으로 있는 어글을 깎았습니다.

전투중 두번정도 반목 때 구손을 쓸 수 있었으며, 어글이 많이 내려가서 (남들에겐 미안하지만)생존 확률이 올랐습니다.

대학살 시전바가 올라갈 때, 자신의 HP가 1만 미만이라면,

망설이지말고 생석이나 자힐을 하여 일단 살아야 했습니다. (2버블 서약만으로도 생존이 가능)

2페이즈가 시작되면, 아주 조금씩 피가 깎이는데 가호를 켜주면 피가 덜 깎여 먼저죽을 확률이 더욱 줄어듭니다.

2페이즈에 자힐이나 힐지원은 전혀 소용이 없습니다.

딜을 짜내도 결국 어그로 미터기에서 자신이 가장 위, 키마이론에게 맞아죽을 타이밍이 오면 무적을 켜시고

무적 지우지 마시고 무적 끝날 때까지 딜, 무적 끝나면 어쩔 수 없이 죽고..

2페이즈에 캐스터에게 보손을 주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되는데,

흑마는 즉시어글감소기가 있고, 법사는 환영복제와 얼방이 있으니 거의 괜찮습니다.

조드나 암사 등 다른 캐스터에게 우선적으로 주시는 게 좋습니다.

패치 전에는 구손을 어그로 감소기가 없는 딜 좋은 딜러에게 줬었는데(ex>고술, 죽기 등등),

패치 후에는 자신에게만 써도 무방한 듯 했어요. 딜이 많이 올라서.

 

 

4. 말로리악

 

참고할만한 특성 :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2&idx=9747

준비할 유틸기: 비난

 

보통, 돌연변이 소환과 비전 뭐더라.. 채널링 스킬을 차단하는 사람을 따로 지정하여 트라이하는 네임드입니다.

자신이 특정 담당이 아니어도, 차단 담당자가 유사시 바로 지원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돌연변이 차단을 맡았는데, 돌연변이 차단을 맡았을 시에 요점은

암흑페이즈 전에 시전하는 돌연변이 소환은 무조건 끊고, 암흑페이즈가 지나간 이후 3번은 보내고(9마리)

3번 보냈는데도 암흑페이즈가 안왔는데 시전하면 끊고, 그 뒤로는 손 놔도 됩니다. 어차피 9마리 남았을 테니까요.

암흑페이즈 때에 더러운 수액(쫄)이 나오는데, 돌연변이들까지 같이 있으면 공략이 힘들어집니다.

더러운 수액이 나왔을 때, 바닥을 밟고 있지 않도록 최대한 많은 무빙을 하면서

심문유지 천폭으로 광을 치시고 무빙 중간에 쫄이 한 자리에 가만히 있겠다 싶은 타이밍에 신성화를 깔아주세요.

중간에 광휘를 켜주시면 밀리 생존에 도움이 됩니다.

붉은 페이즈에 앞을 잡고 딜을 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열광은 되도록이면 켜지 않으시는 게 좋습니다. (손실이 너무 큼)

녹색 페이즈 전에는 신성화를 아껴두시고

녹색 페이즈가 시작되면 보통 딜하다가 넉백을 당하고, 말로리악도 어찌됐건 같이 계단쪽으로 오게 되는데

그곳에 쫄을 모아둔 경우에, 신성화를 깔고 쿨마다 천폭(몹에 디버프 없어질때까지)을 쳐 광딜을 해주세요.

2페이즈에 산울림 때 가호와 광휘는 자신과 공대의 생존에 도움이 됩니다.

산울림+혹시 모를 얼음구슬 폭발에 대비하여 레이드 프레임을 항상 주시해주시고, 필요하다면 서약힐을 넣어주세요.

 

 

5. 아트라메데스

 

참고할만한 특성 : 하시던거 하시면 될듯

준비할 유틸기 : 글쎄요 딱히...

 

패치 전에 입구공략을 사용해서 잡아본 이후로 단 한번도 참여를 못해서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하드가 열리기만 하면 잡는 국민 호구 네임드라 들었는데; 수준과 요즘 공략을 몰라서.. 죄송합니다.. --;

 

예상공략: 이글거리는 불길 타이밍에 광휘 꼬박꼬박 돌려주시고 브레스 잘피하고 원반 잘피하고..

 

 

6. 네파리안&오닉시아

 

참고할만한 특성 : http://wow.inven.co.kr/dataninfo2/talent/simulator.php?job=2&idx=9747 (천폭 x)

준비할 유틸기 : 비난, 자유의 손길, 보호의 손길, 천상의 보호막, 희손+무적 등 모든 유틸기

 

패치 전에 비해 굉장히 수월해진 네임드입니다.

일반과 다른점이, 네파리안이 땅에 착지 후 15초정도에 한번씩 몇몇 공대원에게 정배를 거는데

스킬창이 바뀌면서, 1번은 정배를 스스로 푸는 스킬, 2번은 [훔쳐낸 힘] 중첩을 쌓는 스킬을 쓸 수 있게됩니다.

정배를 당하는 순간 어딘가의 작은 차원문으로 연결되어 천천히 끌려가게 되는데요,

2번으로 중첩을 빠르게, 최대한 많이 쌓아 작은 차원문에 캐릭터가 닿기 전에 1번을 눌러 정배를 푸셔야 합니다.

중첩을 많이 쌓으면(패치 전엔 최대 150, 패치 후는 모르겠음 아마도 150 같으리라 봄)

정배를 푼 후 약 17초동안 데미지가 비약적으로 상승합니다.

(패치 전에는, 정배를 푼 직후에 시전하는 단 하나의 스킬에만 데미지뻥튀기가 적용되었고,

징기의 기사단의 선고나 천망이 적용되지 않아서 타클에 비해 딜 손실이 너무나 컸음)

이 때 쿨기를 돌리면 엄청난 순간딜이 가능하긴 하지만...

네파리안이 언제 저를 정배걸어줄지도 모르겠고(킬 당시 정배 딱 한번걸림)해서 쿨기는 제때 돌렸습니다.

※팁: 걷기(보통 숫자패드의 /키)를 눌러두시면 천천히 끌려가서 중첩을 더 많이 쌓을 수 있음

네파리안의 피가 10퍼센트 줄어들 때마다, 공대원 전체가 전기 공격(편의상 빠지직)을 받게 되는데

피가 아주 많이 까이니 2번에 한번은 꼭 신의 가호로 데미지를 덜 입을 수 있게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빠지직때마다 광휘를 돌려주시면 공대원 피 복구에 도움이 됩니다.

2페이즈에서 쫄차단 담당을 맡게 되면 차단을 신경써서 해주셔야 하고

폭탄이 걸리면 바로 무적으로 풀어버리세요. 무적을 바로 써도 주변 공대원들을 튕겨내지 않습니다.

부득이하게 무적이 쿨일 경우, 디버프가 4~5초쯤 남았을 때 용암으로 뛰어들어

공대원들이 있는 기둥에서 10미터정도만 거리를 벌려 혼자 터져주시면 좋습니다.

터질때 가호 쿨이 있으면 가호를 쓰시면 힐 부담이 줄어드니 좋음.

네파리안 주시를 잡아두시고, 지배 스킬을 시전할 때마다 스킬창 1번은 잠시 아껴두시는게 좋습니다.

연타하고 있다가 정배걸렸는데 바로 풀려버리는 경우가 빈번히 일어나니까요.

(단축키 1번이 성격이나 선고이신 분들은 이 네임드에서 만큼은 단축키를 바꿔주시는 것을 권장함)

3페이즈는 1페이즈와 거의 동일하며, 딜러로써 별 어려움이 없습니다만

빠지직 직전에 만피가 아닌 공대원이 있다면 서약힐로 도움을 주시는 게 빠른 공략에 도움이 되지 싶습니다.

2페이즈에서 무적을 사용할 일이 없었다면, 3페이즈에서 빠지직때 탱커에게 희손+무적을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추가 : 효율적 유틸기 사용을 위한 마우스 오버 매크로

마우스 오버 매크로를 쓰면, 타겟을 바꾸지 않아도 남에게 힐+기타등등 대상시전 유틸기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타인에게 구손.

마우스 오버 대상(레이드프레임이나 캐릭터에 마우스 커서가 올라가 있는 대상) 혹은 대상에게 시전.

대상이 없거나 적일 시 자신에게 구손 시전.(자신에게 자동시전 체크)

 

#showtooltip
/시전 [target=mouseover,help][help]구원의 손길 ; 구원의 손길

 

일일히 다른 사람을 클릭하지 않아도 유틸기를 넣을 수 있습니다. 꼭 활용해주세요.

각종 힐 스킬, 구손, 자손, 보손, 신축 등 활용에 용이합니다.

 

 

 

막상 다시 써보니 정말 두서없이 생각나는대로 적어내려간 것 같은데

오타나 틀린 점이 있다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

 

유틸기 사용이나 힐을 글쿨 낭비다, 별 도움 안될 것 같다, 딜 떨어진다 하시며 꺼리시는 분들이 계실지도 모르겠는데..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한명이라도 덜 죽어야 네임드를 잡는다는 절박함이라면 뭐든 해야지요.. 도움이 분명히 됩니다.

예전에 신기를 했던 경험이, 레이드 프레임을 보는 것과 유틸기 사용에 어려움을 덜어준 듯 합니다.

신기를 해보지 않은 징기분들에게, 신기로의 레이드 경험은 정말 도움된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리고 참고 트리를 나열해보니 검은날개 강림지는 전부 같은 트리를 베이스로 트라이 했었네요..

황혼의 성채나 네바람의 왕좌는 거의 힐지원 트리를 이용하여 트라이를 했습니다.

며칠 후에 황혼의 성채+네바람의 왕좌에 관한 글도 남기겠습니다.

 

오늘도 내일도 즐거운 레이드 되시길 바랍니다.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