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부분 미리 징표+눈속을 해둡니다.

 

2. 공격시작 매크로를 넣은 '저승까마귀' 로 전투를 시작합니다.

 

3. 쇄도(있으면 쓰구요),  그 후에 속사(광견병+오크전용피분) + 글레이브 + 폭샷 해줍니다.

 

4. 첫번째 폭샷 전이나, 첫번재 폭샷후에 전율이 떴다면, 바로 전율일제(집중20) 로 독사쐐기를 넣어줍니다.

  -> 일제로 초반 독사를 넣는 이유는,

      일제사격데미지 + 독사연마데미지 + 독사쐐기

      를 살려주기 위해서 입니다.

      집중 20 으로 꽤나 좋은 효율을 낼 수 있지요

  -> 그후에 집중 수급후에 검화를 넣어줍니다.

 

 

5. 첫전째 폭샷까지 사용했는데도 전율이 뜨지 않았다면, 그냥 독사(집중15) 로 독사쐐기를 넣어줍니다.

  -> 그후에 집중 수급후에 검화를 넣어줍니다.

 

 

6. 그후에 차분히 딜사이클을 돌리다가.....

   2번째 글레이브 후, 다음 폭샷을 쏘고나서

   '집중 30 후반, 혹은 40'  정도를 만들어서 '만반' 을 씁니다.

  -> 그후에 '폭샷 -> 글레이브' 넣어주고 다시 차분히 딜사이클을 돌립니다.

  -> 그후에 2번째로 장신구 효과(내부쿨 45초짜리 장신구)가 터졌을 때, 

     2번째 속사+저승까마귀를 사용합니다.  

      만반후의 2번째 속사 타이밍은 입맛대로 하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여기까지가 초반 사이클이구요.

 

 

 

 

그 후에는,

7. 실탄이 뜨면 제대로 사이클을 돌려줍니다.

  -> '폭폭폭' 해주면 7틱,  즉 9틱에서 2틱이 씹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씹힌 틱만큼의 데미지가 다른 틱에 합산되어 보정됩니다.

      따라서 집중의 양이 충분하다면 '폭폭폭'  을 엄청 빠르게 연타하셔도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8. 전율버프가 있을 때, 실탄버프도 동시에 떴다?

   -> 고민하지 말고 중간에 신사를 섞어줍니다.

       전율버프는 쿨타임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폭폭폭' 의 마지막 폭에 새로운 전율이 뜰수도 있지요.

       앞선 전율을 다 소비하지 못하고, 뒤의 전율이 터지게 된 상황이라 조금 아까울수도 있습니다만.....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전율버프의 횟수에 따라

       중간에 신사1~2회 를 섞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9. 정말 당연한 이야기이겠지만, 전율 버프를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

  -> '전율' 을 찍은 생냥은 그야말로 피아노를 치셔야 합니다.

      말그대로.... 3특성을 통틀어서 '전율' 을 찍은 딜사이클이 가장 어려운 딜사이클 입니다.

      따라서 초보자 분들은 아래의 사항을 염두하고 '전율' 특성을 찍으셔야 합니다.

 

  -> 무조건 전율버프 3방을 연속으로 써버리는 것은??

      절대로~!! 좋은 방식이 아닙니다.

 

  -> 전율버프가 1회 혹은 2회 정도 남았더라도

      '폭샷' 과 '검화' 와 '글레이브' 쿨이 돌아오기 최소 3~4초 전에는

      자신의 현재 집중량과 실탄버프 까지 잘 계산해서,

      코사를 한두방 섞어줄지, 아니면 계속 신사를 난사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 만집중이 되는 사태가 자주 벌어지거나, (1)

      전율버프가 뜨면 신사를 무조건 난사하는 버릇이 있어서......

      폭샷or검화or글레이브 의 쿨이 가끔씩 밀리거나,   아예 사용할 집중이 안 될 때가 많거나, (2)

      독사쐐기가 중간에 끊어지는 일이 많거나,   아예 끊어진 줄도 모르고 전투를 마무리 할때가 많거나 (3)

      하신분들은.........

      연습을 충분히 더 하시거나,

      자신의 눈에 잘맞는 '버프or디버프 애돈' 을 꼭~!!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혹여 연습을 충분히 했거나,

      좋은 '버프or디버프 애돈' 을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위 123 번의 안 좋은 예가 계속해서 발생된다면??

      차라니, 전율보다는.....

      광야를 선택하시는 것이 오히려 딜상승에 더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10. 독사의 데미지가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 생냥은..........

      다른 특성에 비해서 독사의 데미지가 월등히 강하며,

      독사를 넣어줄 때 '독사연마' 데미지도 들어가게 됩니다.

 

  -> 따라서

      공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선에서 (1)

      해당몹의 체력+생존시간 을 고려(너무 빨리 없어져 버릴 대상에게는 신사 1방이 더 좋음)해서 (2)

      여력이 된다면 전율일제(집중20) 를 활용해서 다수의 대상에게 (3)

      독사를 넣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11. 은신이든, 다중타겟 도트딜유지건, 생존기 건..........

     냥꾼은 다른 직업들에 비해서 그 효율이 70~80% 정도입니다.

  -> 이는 하나에 특출나지는 않지만 모든 직업들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 이번 패치로 냥꾼은 이제 무빙딜의 독보적인 황제가 되었고,

      독사쐐기의 200% 버프로 인해, 

      냥꾼 3특성 중에서도 특히 생냥다중타겟 도트딜의 능력을 어느정도 얻었습니다.

  -> 넴드의 특성과 공대의 택틱에 맞추어서 자신만의 딜사이클을 만들어 내어 봅시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