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제공 - 코리아보드게임즈 ]

“어어 그거 잘못 놓은 거 아냐?”
“선생님 내 차례야! 내 차례!”


방과후 시간, 초등학교 교실에서 시끌벅적한 보드게임 판이 벌어졌다. 각자 4~6명씩 모여 앉은 30여명의 사람들의 치열한 게임승부가 2시간 가량 이어졌다. 게임을 하고 있는 사람들은 초등학생들이 아닌 교사들. 지난 3일, 부천의 송일 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보드게임 교사연수의 풍경이다.


교사들이 게임에 빠져있는 동안 조용성 보드게임강사(코리아보드게임즈 교육사업부장)가 앞에서 교사들이 빠져들어있는 게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우봉고는 초등 3학년 과정인 도형 밀기, 돌리기, 뒤집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수학 교구재로 활용하기 좋습니다. 꼬꼬미노는수개념과 확률에 대한 사고를 길러줄 수 있습니다.”

폴리오미노를 활용한 보드게임 우봉고를 즐기는 교사들의 모습

송일 초등학교에서 보드게임 교사 연수를 개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이미 교사 연수를 통해 익힌 보드게임을 성공적으로 교육에 도입한 바 있다.보드게임 교사 연수가 이어지는 이유는 새로운 보드게임들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을 검토하고 더 확대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타임라인 한국사

초등학교에서 보드게임 연수를 진행하거나 교육과정에 보드게임을 활용하는 것은 이제 생소하지만은 않은 모습이다. 아예 교사들이 보드게임 제작에 참여한 경우도 있다. 역사를 소재로 만든 보드게임 ‘타임라인: 한국사’가 이 케이스. 교사들의 모임인 ‘인디스쿨’안에서 소모임으로 ‘놀이샘’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이 직접 기획단계부터 뛰어들어 내용을 만들어낸 경우다. 상대적으로 역사 과목에 활용할만한 보드게임이 없다는 문제의식이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타임라인: 한국사’는 송일 초등학교 보드게임 연수에서도 선보여졌다. 참가자들은 “이거 어렵다. 어렵네”를 연발하면서도 한국사의 타임라인을 맞추는데 열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사용된 보드게임은 우봉고, 꼬꼬미노, 숲속의 음악대, 타임라인: 한국사의 총 4종. 학교측에서는 교육적 효과를 충분히 검토한 후 필요한 게임을 교육에 활용할 예정이다.

최근 몇 년간 보드게임이 교육과 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인 경향이 되었다. 은행과 증권사가 경제교육에 보드게임을 활용하거나, 영동교육지원청의 사례처럼 보드게임 학부모 연수를 진행하는 사례도 있다. 작년부터 시작된 문화체육관광부의 게임 리터러시 직무 연수에서도 보드게임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올해 1월에 진행된 3회차 직무연수에서는 ‘마이게임스튜디오’를 사용해 교사들이 보드게임을 직접 만들어보는 체험시간을 가지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최근 몇 년간의 변화인 셈이지만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보드게임을 학교수업에 활용하거나 보드게임이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는 것은 일상적인 풍경이다. 보드게임의 역사가 깊은 독일에서는 도서관에 반드시 보드게임이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는 협회 지침이 있는 주가 있을 정도다.

한국컨텐츠진흥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보드게임은 수개념과 언어능력, 시공간구성 능력 등 학업수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어, 교육현장에서 적극 활용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어느 게임이 어느 과목의 과정에 가장 좋은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율학기제의 운영과 더불어, 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만나는 일은 더욱 잦아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