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공대까페에 올렸던글을 수정하던중에 그냥좀 많은사람이 봤으면 싶어서 글써봅니다.

 

탱커에게 정석은 없겠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더 해본 입장에서 적는거니 읽어보시라고 올리는거구요.

 

여러가지 태클이나 질문은 환영합니다만 스펙에관련해선 별로 얘기하고싶지 않군요.

 

 

===============================================================================================

인증글이 됬네요 ;ㅅ; 이왕 이리된거 짬날때마다 조금씩 수정해봐야겠습니다;

 

일단 댓글 의견을 들어서 제목을 좀 고첬고..   스킬들 아이콘과..  어글잡는거에 관한 부분을 추가해봤습니다.

 

가이드북이라고 쓰니깐 좀 많이 민망하네요 ;ㅅ;

===============================================================================================

 

 

 

0. 공대에서 죽기탱커란.

 

우선 탱커는 공대에서 가장 앞장서는 사람입니다.

던전에서 가장 앞장서서 적의 어그로를 끌며 딜러들이 안전하게 딜을 할수있게 해주는게 탱커라는거의 기본이겠죠.

여기서 탱커에게 기본적인 능력인 어그로를 잡는능력이 필요해지구요.

딜러보다 튼튼하기때문에 보스몬스터들의 무지막지한 데미지를 대신 맞아줘서 힐을 받기도 합니다.

이부분에서 탱커에게 조금이라도 더 튼튼해지기를 요구하게됩니다.

튼튼함에는 두종류의 튼튼함이 있는데

물리 데미지에서의 튼튼함 마법 데미지에서의 튼튼함으로 나뉘게 되겠죠.

 

죽탱은 타 탱커에 비해서 마법적인 면에서의 튼튼함을 기본적으로 깔고 시작하는 탱커이며

가장 물렁하다 느낄지도 모르지만 또 가장 많은 생존기를 가진 탱커입니다.

또 자체적인 체력의 수급과 특화도로인한 보호막으로 물리데미지의 약함을 커버하는 탱커이기도 합니다.

 

또 많은 보스몹들이 딜스왑을 요구하기도 하는데 판금딜러중 가장 안정적으로 팔리는 죽딜로서의 스왑이 가능한 탱커이기도 하죠.

 

실제 막공에선 공장마다 호불호가 갈리긴 하지만 절대 못해먹을 수준의 탱커는 아니라고 봅니다.

 

이 글에선 탱커로서 필요한 스텟의 정리부터 시작해서 그에따른 마법부여와 특성, 문양에대해 간단히 정리한뒤 탱스킬의 활용과 기본적인 운전방법에대해서 써보려합니다.

 

이 글은 좀 더 상위레이드로 가기위한것을 정리하였고 그냥 영던이나 간단한 일반레이드만을 라이트하게 즐기기위한글이 아니기때문에 위 대상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간단히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밑으로는 까페에 올렸던 글을 거의 그대로 올리는것이기 때문에 말이 좀 짧은점은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죽탱의 스텟

 

방막이 없는 죽기에게 중요한 스텟으론

방어력>>>>체력>=회피무막>특화>>숙련>=적중 인듯함

 

각각의 요구량은

회피 1% = 회피 숙련도 176.71899

무막 1% = 무막 숙련도 176.71899

특화 1    = 특화도 179.28   (죽격 힐량의 6.25% 보호막 생성)

무막 숙련도 1 = 힘 4.0073 (이 부분은 4.2패치 이후에 더 늘어나게됨.)

회피 1% = 민첩 422.3077  (이 부분은 4.2패치 이후에 사라지게됨.)

 

 

 

  방어력은 지금 높일방법이 템업글밖에 없긴한데 기공에있는 1분쿨 방어력증가 장갑마부가 죽탱에겐 가장 좋은듯함.

완방이 높아질수록 방어력의 중요성은 낮아지겠지만 리분때처럼 완방이 50%가까이 나오지 않는 지금상황에선 방어력이 최중요스텟임.  특히 죽기는 방패가 없기때문에 물리뎀감소를 방어력에 의존할수밖에 없음.

저같은경우 흡혈문양을 안박기때문에 흡혈이 단순 피뻥의 역할밖에 못해주는지라 흡혈+장갑마부로 방어력증가와 마뎀을 버틸수있는 피뻥으로 쓰고있음.

그런고로 장신구나 반지같은 방어력 안붙은템은 타 탱커가 효율이 더 좋을듯함...;

 

 

  체력완방이 30%가 넘기전까지는 불필요한 스텟이나 템이 갖춰질수록 중요도가 높아지는 스텟.

적 보스의 깡데미지가 강해질수록 중요도가 높아지는 스텟. 애초에 방어력을 높일 방법이 없는 지금상황에서 죽탱이 완방뚤리면 끔살날수밖에 없음에 끔살률을 줄여주는 체력은 버릴수가 없을듯.

거기다 죽격힐량,룬전환힐량이 결국 피통이 높을수록 효율이 높으므로 안올릴수가 없슴.

보충하자면 죽격힐량은 체력의 %가 아니라 받은데미지의 %이지만.. 체력이 높을수록 받을수있는 데미지가 늘어나게됨.

 

 

  완방은 중요스텟이긴한데 확률적계산에 의존하는 스텟이므로 적정량 이후는 템 업글되는 양에따라 올라가면 될듯함

물론 높을수록 좋은스텟이고 죽기탱으로써 가장 맞추기 쉬운 스텟이기도 하지만

트라이하고 탱킹해보고 느낀점은 할푸스,키마를 제외하고 30%이상은 불필요.

 

 

  특화도는..  올려보고 내려보고 이것저것 다해봤지만

특화로 증가되는 양이 적은게 1이요

죽격을 쳤을때만 발동되는게 2요

죽격의 치유량에따라 발동양이 결정되는게 3으로

 

높일필요는 없으나 있다는거 자체만으로도 좋은스텟

 

 

1번 이유는 특화 1당 6.25%증가라서 낚일수도 있는데 3번이유때문에 오르는양이 적음.

 

2번 이유는 순수하게 냉룬부룬을 죽격으로만 썼을때도 룬이 다시차는 시간이 혈기형상연마했을시 8초이고

룬은 같은속성룬이 완전히 사용가능해질때까지 두번째 룬이 차오르지 않다보니 처음만 2번이고 나머진 8초에 한번밖에 쓸수없는데다 질병도 리필해야하고 각종 어글스킬을 쓰다보면 8초에한번 죽격친다는게 말이안되는 상황

뭐 룬격으로인한 룬강화로 8초에한번 칠수도 있긴한데 어쨌든 타 탱커처럼 거의항상 발동해있는 상황까지오진 않음.

 

3번 이유는 죽격힐량이 지금템에 하드에서 가장 많이찬 힐량이 4만 평균치는 2만오천정도 흡혈이나 수호시 5만6만도 본적있지만 특화의 보막은 치유량증가에 영향을 받지않음.

고로 평균치 좀더 늘려서 죽격치유량의 100%라고 해도 3만의 보호막을 8~16초마다 한번씩 쓰는건데

특화1(=6.25%)의 요구량179.28를 완방 1.xxxx%로 돌려주는게 이득

물론 완방은 점감이 존재하고 특화는 점감이 없으므로 완방 30%이상 이후에는 특화도 투자도 나쁘지않은 선택일듯 한데

지금 템에 특화도 재연마로 다 돌려버렸음에도 회복량의 100%방어막이 생기는 특화 16에 가까운 지금상황에 딱히 올릴필요는 없을듯.  나중에 템업글이 더 되면 생각해봐야할듯.

 

 

그외 지금 13하드 킬을 한 입장에서 생각해봤을때도 시네를 제외하고 그닥 좋은스텟이 아닌게..

보기나 전사의의 특화는 데미지를 %로 줄여주는 역할이고

야탱의 특화는 전투력의 %로 거의항상 발동해있는거랑 비교해봤을땐

집중적으로 올릴만한 스텟은 아니라는게 아직까지의 생각.

이때당시는 16이었고  지금은 17.5정도의 수치로 다니고있는데

이는 완방을 유지하고 템 업글 되는대로 올라간 수치일뿐이라서 좋아서 올린게 아님.

물론 지금은 템파밍중이라 적중숙련도 올려서 적당히 다니고있을 뿐이고 4.2 불의땅이 나오면 적중숙련 깍고 완방이나 특화에 투자를 더 하긴 할것이며 점감받는 완방보다 특화가 더 이득이기도 한데

불의땅 네임드의 데미지와 비교해봤을땐 또 그냥 완방올리게 될꺼같음.

 

 

 그외 적중과 숙련

 

적중과 숙련의 필요성은 정말 낮음.

적숙에대해 오해하는 부분이 0%의 적숙이면 한방도 안맞을꺼라 생각하는데...

만적중은 8%. 만숙련은 회피율6.5% 무막률 6.5%의 확률을 올려줄 뿐이지 애초에 한방도 맞을확률이 없는게 아님.

노적중 이라도 적에게 92%의 높은확률로 적중하며

만숙련 이라도 적이 무막할 확률은 7.5%가 존재함.

물론 노숙련 노적중이라면 적이 맞을확률은 낮아지지만

현존 죽탱의 무기는 숙련무기이고 기본숙련 6도 존재하므로 상급벌파기준 기본 숙련이 14임.

14의 숙련이면 적이 무막이나 회피를 할 확률이 13.5%인데 결국 적이 맞을확률은 노적중기준 79.8%라는 꽤 높은 수치를 가짐.

1%대의 적중으로도 단일어글이라면 충분히 어글을 먹을수있음..

도발은 삑살이 나지 않도록 바뀐지 오래라서 어글이 튄다면 도발만해도 되는거고 초반어글만 조심하면 되기땜시롱

그리고 요즘은 비법시대라 비법의 초반어글은 적숙 올린다고 감당이 되는 레벨이 아님..  차라리 분신어글 복사하는게 더 이득.

 

벗뜨 무기를 양손무기를 쓰므로..  양손무기엔 완방이 붙지 않기때매 보통 특화나 숙련이나 적중이 붙은템으로 먹는게 좋슴.

적중과 숙련을 비교하자면 동일 적중과 숙련으로 오르는 %량이 숙련이 더 높으므로 단일 극어글이 필요하다면 적중보단 숙련을 올리는게 효율이 더 좋슴.

근데 숙련은 지금 나와있는 탱템을 보면 숙련이 붙은 템이 많아서 거진 템 맞추다보면 숙련은 자동으로 적정수준이 된다고 보면됨

적중은 차단이 필요한네임드에서 차단만적중 17%만 맞추면 되므로 무기적중 6.5%였나만 맞추면 되며 다음패치엔 그나마도 필요없음 (이 부분은 차단 적중패치가 됬으므로 지웠습니다.)

다만 광역어글 먹어야할땐 적중을 올려야함..  죽기의 광어글은 순수하게 죽부와 피소 그리고 전염병에만 의존하는데 적중에 영향받는 스킬인데다 룬이 들어가서 삑살날경우 어글을 감당할수없음..  광역도발기가 없다는뜻임.

 

또 추가하자면 룬격은 숙련삑이 안나는 스킬이지 적중삑이 안나는 스킬이 아님.(적중 0 숙련 0이라면 8%확률로 빗나갈확률이 있음)

 

 

 

2. 보석, 마부

 

앞에 스텟의 중요도로 보면

빨강보석홈 = 무막체력

노랑보석홈 = 회피체력

파란보석홈, 다색보석홈 = 체력or부족한완방+체력

얼개 = 체력+방어력or마법방어력

 - 일단 방어력이 최우선이긴 한데..  물리뎀지로 졸라아픈넴드보단 마법뎀지로 졸라아픈 넴드가 너무많음..

  죽기는 대마보라는 사기스킬이 있긴한데.. 마법뎀지 감소를 포기하고 방어력 올릴 네임드가 할푸스, 용암, 키마, 말로정도 뿐임..

  그나마도 용암이랑 말로는 마뎀도 졸라아파서 그게그거

  물론 마뎀많은 보스에게 트라이중인 죽탱에게 고민할 부분이며 그냥 방어력얼개를 박는게 전반적으론 좋음.

손목마부 = 체력40 or 회피50(회피0.3%정도)

장갑마부 = 특화65(죽격치유량의 보막생성량 2%증가) or 무기전문가(어글2%증가+무막20)

신발마부 = 체력30+이속증가 or 특화35+이속증가 or 특화50

망토마부 = 방어력

가슴마부 = 체력

무기 = 돌가죽(방어도4%체력2%증가) or 검분쇄(무막4%)

 - 장단점은 있으나 하드트라이중엔 돌가죽이 더 좋음..  검분쇄의 무막4%는 점감영향을 안받는다는게 장점

  벌파가 2자루라 스왑을 해보곤있는데 돌가죽이 확실히 더 안정적임.

나머지 머리 어깨 바지는 생략.

 

 

 

3. 특성과 문양

 

 

특성

그냥 요즘은 단순하게 단일탱특성과 광역탱특성으로 갈고있음

단일은 32/6/3으로 냉기쪽 리혼만 찍는특성

 (최근 효용성이 없는거같아서 사용하지않습니다만.. 단일 생존을 위한 특성인건 맞습니다.)

광역은 32/0/9로 병독과 발병력 풀로찍는 특성

혈기특성쪽 은 생존을위한 선택폭이 매우 좁음..

1라인 칼보 칼갑은 필수고 (칼갑은 2 or 3 선택일수도)

2라인은 열병필수에 피향1포필수 그리고 1개의 특성선택 (피향1포더 or 질식쿨30초감소 or 혈전연마)

3라인은 뼈보 강인함 필수에 시너지 0포 ~ 2포 선택

4라인은 인내와 연마 필수에 구더기 선택.. 이긴한데 구더기가 은근 많이좋음!

5라인은 전부필수

6라인은 죽격 필수에 피소...... 선택이긴한데 왠만하면 걍 찍음

7라인 필수

 

문양

 상급문양

룬격 심강 고정에 리혼찍었을시 죽고, 광역시 죽부, 시네시 죽격

 주문양

대마보 룬무기 뼈보 룬전환 흡혈 의 선택

요즘은 대마보 룬무기 고정에 파티피 많이달때 룬전환, 이동많을시 뼈보  이런정도의 선택으로 하고있음

흡혈문양은 좋긴한데 트라이중이면 모르겠는데 파밍구간이라 안쓰고있긴함.  불의땅 나오면 트라이중 가끔 쓰일듯.

 보조문양

끌리는대로

 

 

 

4. 스킬 및 활용

 

 생존기류

 

Spell DeathKnight IceBoundFortitude.png얼음같은 인내력

 - 데미지 50%감소, 평소 12초 4셋시 18초지속, 기절에 면역이 되며 기절상태에서도 사용가능, 침묵시 사용불가, 3분쿨

 

Spell Shadow LifeDrain.png흡혈

 - 피뻥 15%, 받는치유량 25%증가, 침묵시 사용불가, 1분쿨, 문양시 피뻥 사라지고 치유량 40%증가

  심심해질때마다 돌릴수있는 완전 사랑하는 기술.

 

  최근 패치가 된건진 모르겠는데 검날 쫄이쓰는 침묵때 써졌던거같기도함.

 

Ability deathknight boneshield.png뼈의 보호막

 - 받는피해 20%감소, 공격력2%증가, 4번 맞으면 사라지나 특정상황(용암아귀 짖이기기, 할푸스 포효등 무력화시키고 뎀지들

  어오는 거의 모든기술)에선 달지않고 완방과 보호막으로 걸러질때도 달지않음. 1분쿨에 죽격을 칠 소중한

  부정룬 1개가 들어가서 보통 혈전이랑 묶어서 사용(쿨이 같음). 역시 침묵시 사용불가

 

INV Sword 07.png춤추는 룬 무기

 - 무막 20% 증가, 12초 지속, 문양박을시 어글50%증가, 광역탱킹시 어글수급용으로 써먹을때가 많고 완방이 증가하므로

  뼈보랑 같이돌리면 뼈보도 잘 안달아서 좋고 운없어서 완방뚤려도 생존기역할 해줘서 좋고.. 1분30초 쿨.

  룬마력 60이 필요해서 꼭 필요할때 못쓰는게 단점.

  또한 글쿨을 잡아먹음.

  몇몇 사용팁이라면. 대상을 잡고 쓰는 기술이며 소환된 룬무기는 그 대상의 후방에 위치하게됨.

  그 대상을 타겟잡고 내가 사용하는 모든 기술을 사용함

 

  또..  리혼자힐때 사용하면 나에게 죽고를 날리므로 피가 더 많이 차게됨.(추가)

  사용시 죽고를 쓸 룬마력60이 들어가므로 주의.

 

Spell Shadow RaiseDead.png리치의 혼

 - 2분쿨로 공포, 현혹, 수면에 면역되며 언데드화되어 자신에게 죽고로 자힐가능.  생존기 없을시 최후의 보루랄까..

  예전엔 지속시간10초동안 죽지않는 생존기였으나 너프로 끽해야 3~4번 자힐. 약 6~7만정도 체력회복, 침묵걸리면 ㅂㅂ

  요즘은 잘 안씀.

 

Spell Shadow DeathPact.png죽음의 서약

 - 쿨은 2분인데 구울소환 쿨이 3분이라 결국 3분쿨인 자힐스킬. 체력 25%회복. 생존기 없을때 피다는 타이밍 나오면

  구울 미리 뽑아놓고 피 달자마자 먹는식의 사용. 룬마력 40이 들어가고 침묵시 사용불가.

 

Spell DeathKnight RuneTap.png룬 전환

 - 30초쿨로 체력의 10%회복, 어짜피 혈기룬은 심강밖에 쓸데가 없으므로 걍 쿨마다 써주는스킬.

  거기다 지금 죽요결의 버그발동으로 피가 30%이하로 까일때마다 쿨이 돌아와서(내부쿨이 없음;) 죽을꺼같으면 연타............

  참고로 죽요결은 죽탱 체력 30%미만이 되면 발동 8초동안 데미지 25%감소하고 룬 전환 쿨이 돌아오며 자원 소비없이

  룬전환 사용가능.  원래 내부쿨이 45초인데 지금 버그로 데미지감소만 45초쿨이 있고 룬 전환 활성화는 내부쿨이 없음.

  문양박을시 같은파티원들의 체력 5%회복. 침묵시 사용불가

 

  요즘 느낀건데 룬 전환 활성화에 내부쿨이 없는게 아니라 데미지감소 시간.. 즉 죽요결 발동시간동안 피가 30%이하로 까일때마다 내부쿨이 활성화되는듯함.

 

Spell Shadow AntiMagicShell.png대마법 보호막

 - 5초간 마법데미지 75%감소. 각종 마법디버프 다 씹어줌. 활용에따라 죽기 최고의 생존기..  45초 쿨다운에 침묵시 사용불가

  문양박을시 지속시간 2초증가. 다만 체력의 50%이상 흡수하면 사라짐

  (예를들면 네바람의회 쫄디법 20중첩이상이거나 네파하드때 빠지직+브레스맞으면 기냥 사라짐)

 

  (이부분도 체력이 올라갈수록 효율이 높아져서 요즘은 더 많이 버티는듯.)

 

Spell DeathKnight Butcher2.png죽음의 일격

 - 생존기라니깐 웃긴데 죽기 최고의 자힐스킬을 생존기로 분류안하기가 뭐함..

  특화도로 인해 오버힐이 되도 효율성이 있어졌지만 역시 오버힐 없이 쓰는게 핵심.

  5초간 받은 데미지의 % 힐이므로 죽을뻔한 이후에는 꼭 눌러줘야함

 

Spell deathvortex.png돌발 열병

 - 역시 생존기라기엔 이상하지만 1분쿨로 적에게 공속감소+데미지감소를 룬 소모없이 쓸수있게 해주는 기술..

  죽격을 한방 더 칠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니 쿨마다 사용요망

 

Ability upgrademoonglaive.png칼날 보호막

 - 혈기특성 1라인에 있는 데미지감소 특성

  이거를 유지하지 않으면 피가 급격하게 출렁출렁된다..

  혈기룬을 쓰지않는 오프탱상황이나 과다한 심강 삑사리, 또 타겟을 못잡고 대기하는 상황이나 타겟이 멀어서 칼보가 풀릴때는

  피소로 혈기룬을 소모해서 이 칼날보호막을 유지해야함.

  다만 혈기룬 사용스킬이 다 광역기라서 어글을 골라서 먹을수가 없음.....

  (용암아귀 작은쫄이 붙으면 칼보도 유지못하고 룬격만 날려야함.. 마찬가지로 네파탱중 쫄이 붙으면 암것도못함)

  그럴때를 대비해 피의 일격을 꺼내놓긴 하는데..  일단뭐. 그런상황이 안오도록 하는게 중요

 

 

 어글기술

 

Inv weapon shortblade 40.png심장 강타

 - 죽탱 주요 어글&딜링 스킬

  뎀지도 빠방하고 전방 3마리를 한번에 때리므로 소규모 광역탱킹에 좋음.

  죽기의 모든 어글스킬은 질병이 걸려있을때 데미지가 올라가므로 2질병유지가 필수.

  전방 3타겟이므로 특정몹을 치지 말아야할땐 그 몹을 등지고 쳐야함. 범위는 폭칼보다 살짝 좁은듯.

 

Spell DeathKnight BloodBoil.png피의 소용돌이

 - 죽탱 주요 광역어글 스킬

  but 질병이 걸려있지 않으면 정말 그지같은 어글력을 보여줌... 

  2질병걸고 전염병후 쓰는게 가장 좋으나 급할땐 룬무기피소피소피소

  문양박을시 범위증가 (기존 10미터 문양시 15미터)

  침묵시 사용불가

 

  1질병피소와 2질병피소 데미지가 같다는 말이있던데 확인을 안해봤음..;

 

Spell Shadow DeathAndDecay.png죽음과 부패

 - 죽탱 주요 광역어글 스킬

  죽탱의 광어글은 죽부로 시작해서 죽부로 끝남..

  문양시 죽부 지속시간 증가 (기존 10초 문양시 15초)

  죽부위에서 최대한 오래있는게 광어글먹는 요령

  침묵시 사용불가

 

Spell DeathKnight DarkConviction.png룬의 일격

 - 죽탱 주요 어글&딜링 스킬

  룬마력 30이 들어가고 절대로 숙련삑사리가 나지않음. 추가어글이 붙어있어서 달고살아야하는 스킬.

  (*4.2이후 이 추가어글은 사라짐.)

  근데 이걸로 룬마력을 쓰면 생존기 타이밍이 어긋남....(특히 룬무기!)  룬마력 관리가 필요함.

 

Spell Shadow PlagueCloud.png전염병

 - 적에게 걸려있는 질병을 주위 10미터에 퍼트림

  죽기는 광역 데미지감소+공속감소를 글쿨 4.5초로 걸수있음..  슬프다.

  죽기의 모든 어글기술은 죽격룬격을 제외하고 질병이 걸려있고없고에따라 데미지가 틀려짐.

  침묵시 사용불가

 

Spell DeathKnight Butcher2.png죽음의 일격

 - 위에서 한번 설명했고

  광역탱시엔 남는 냉룬과 부룬을 죽룬으로 돌리기위해서만 사용됨.

  죽격 힐량은 현재 광역어글에 도움이됨.. 그러나 이상한 잡몹을 끌어들임;

  잡몹이 나한테 달라붙었을 경우는 죽격을 안쓰는게 더 좋음..

  다음 패치이후 이 힐어글은 사라짐.

 

 

 그외

 

Spell DeathKnight ArmyOfTheDead.png사자의 군대

 - 시전동안 완방의 %를 합산해서 데미지감소효과가 있음. 사군쫄은 죽음의 서약으로 잡아먹기 가능.(사군쫄 선택후 죽서)

 

Spell Frost ChainsOfIce.png얼음 결계

 - 냉기룬 1개로 적의 이속 60%감소. 8초지속. 역시 죽격에 들어가는 소중한 룬을 잡아먹긴 하지만 이감필요할땐 써줘야함.

 

Inv axe 96.png강령술 일격

 - pve에서 강격은 효율성이 떨어지긴함..

  치유량의 %감소가 아니라 절대값 감소라 무지막지하게 힐하는 몹들의 힐량을 따라갈수가 없음

  다만 10초간 시전지연 30%가 있어서 차단 필요한 몹한테 가끔 써주면 좋음.

  역시 소중하디 소중한 부정룬 1개가 들어감...

 

Spell DeathKnight Strangulate.png죽음의 손아귀

 - 죽기의 심볼. 죽기의 트레이드마크.

  하지만 보스몹에겐 도발기술일뿐 ㅠㅠ

  비젼골램은 죽손에 영향을 받으며 초갈에서 개종을 차단할수있음.

 

Spell shadow deadofnight.png아군 되살리기

 - 파워 전봘.

 

INV Misc Horn 02.png겨울의 뿔피리

 - 힘과 민을 증가시켜 완방을 증가시켜주는 기술이기도 하지만

  20초마다 룬마력을 10 채워주는 소중한기술...  쿨마다 쓰는게 좋음.

 

INV Sword 62.png룬 무기 강화

 - 5분쿨에 모든 룬을 초기화 시켜줌..

  급할때 쓰고 죽격두방 넣는용도로 많이 써먹고..  사군 필요할때도 써먹음.

 

Spell DeathKnight BloodTap.png혈기 전환

 - 1분쿨에 대기중이거나 활성화된 혈기룬 1개를 죽음의룬으로 바꿔주며 대기중인 룬하나를 활성화시켜줌.

  보통 뼈보를 쓰기위해 쓰는경우가 많고 죽격한방 더칠려고 쓰기도함.

  뼈보와 같이돌렸을때의 장점은 뼈보의 쿨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수있음(부정룬이 사용대기중이면 뼈보가 쿨이 돌아왔어도 대기중인것처럼 뜨는경우가 많음)

 

Spell Nature ShamanRage.png어둠의 명령

 - 도발

 

 

5. 운전방법

 

 

 ㄱ. 탱커의 기본 운전법

 

   운전법을 설명하기전에 말하고싶은건

  완방중에 무기막기(방패탱커라면 방패막기도)는 전방에서부터 들어오는 물리데미지에만 발동함.

  무막이(방막도) 100%라도 후방에서 몹이 때리게되면 데미지가 들어온다는 얘기.

  회피는 이에 영향을 받지않긴 하는데 어쨌든..

  이 전방이란 위치는 한쪽 옆구리부터 반대편 옆구리까지의 전범위를 뜻함.

 

  탱커 운전의 기본은 몹을 항상 내 전방에 위치하게 하는것이 핵심이며 이는 모든종류의 무빙에서 기본적으로 가져야할 개념임.

  여기서 초보탱커들이 하는 실수가 있는데.  몹을 전방에 위치해야한다고 해서 빠른 무빙이 필요할때 뒷걸음질을 치는경우가 있음.

  만약 이속마부를 했다면 전방과 게걸음(사이드스텝)을 할때의 이속은 108%이지만. 뒷걸음질 칠때의 이속은 64%임.

  여기서 중요한게 게걸음인데 빠른 무빙이 필요한 구간에서는 적을 옆구리에 끼고 게걸음으로 이동하는게 중요하단거임.(특히 막공에서 네파를 다른케릭으로 잡다보면 뒷걸음으로 대려가는 탱커가 많은데 힐러고생시키는 주범)

 

   광역탱시엔..  광역탱킹을 하다보면 적들이 겹치게되고.. 제자리에서 다수의 몹을 겹쳐놓게되면 몹들이 가만있질못하고 내 기준으로 부채꼴로 퍼지게되며 이를 개속 유지하게되면 적들이 내 후방에까지 위치할 가능성이 생김.

  또 광역탱킹의 의의는 광역딜을 하기위해 유도하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광역딜이 편하게 해주는게 중요하며 몹을 겹처놓을수록 광역딜이 편해지고 또한 광역딜의 위치가 고정되는게 광딜하기가 더욱 수월함.

 

  무빙하지않고 가만히 있으면 적이 흩어지며 무빙을 하면 광역딜이 느려지게된다는건데.

  이것을 극복할수있는 무빙의 기본은.. 다이아몬드 스텝임.

  ↘↙↖오른쪽으로 화면돌리고↘ 이런식으로 적에게 등을 돌리지않고 화면을 돌리면서 대각선 뒷쪽으로 살살살살 모아주면 이쁘게 뭉치면서 이쁘게 한자리 탱킹이 가능해짐.

 

  또한 이 무빙을 얼덫위에서 하게되면 몹에게 적당한간격을 유지하면서 별로 맞지않고 탱킹할수있게되는데 이를 카이팅(연날리기)이라고 함.

 

 

 ㄴ. 기본

 

   죽탱의 기본 운영법은. 앞에도 한번 썼지만 2질병유지+칼날보호막유지 가 가장 기본 베이스로 들어감.

  이것을 유지 못하면 죽탱은 버틸수가없다...  아니 이걸 유지해도 생존기를 안돌리면 못버팀...

  어느 상황에라도 이것만은 유지할수있도록 해야함.

   어글을 잡는법은 정말 기본중의 기본이므로 따로 설명하진 않겠음.  그냥 주어진 스킬을 사용해서 몹들이 나를 보게 만들면됨. 

 

 

추가)))))

  어글에 대해서.. 설명을 안하고 넘어가려고 했는데

  이왕 인증글도 된거 조금 집고 넘어가보려함

 

  일단 탱커가 어글잡는것은 초반을 넘기는거에 의의를 둠.

  격변이 열리며 등장한 복수심이란 개념부터 설명해야할꺼같은데

  복수심이란 맞을때마다 전투력이 오르게되서 탱커가 어글을 잡을수있도록 해주는 4탱커 모두가 가지고있는 기본적 특성임

  맞을때마다 데미지의 %단위로 전투력이 오르며 최대 탱커체력의 10%만큼까지 오르게됨.

  여기서 초반어글의 문제점이 나오는데 넴드시작 초반에는 이 복수심이란 수치가 없이 시작하게되므로 어글을 잡는데 무리가생김

 

  해서 격변이후 탱커들의 우선 과제는 이 복수심이 없는 넴드시작 초반에 어글이 튀지않고 무사히 넘기는걸 기본으로 하고있음.

 

  이 탱커가 어글을 잡는다 라는 말은 한마디뿐이지만 많은얘기를 담고있는데.

  몇가지 복합적인 상황에의해 결정됨

  여기서는 죽기탱커의 경우로만 생각해보겠음

 

 a. 탱커의 어글작업

 

 - 우선 가장 우선시되야할게 탱커의 어글작업임.

 당연히 탱커는 몹이 날 보게만들기 위해서 노력해야하며 이 작업에 최선을 다하지도않고 어글이 튀는거에대해 불만을 가져선 안됨.

 

  ◆ 보편적인 단일어글 = 얼손 역격 심강 죽격 룬격 을 때려준뒤 나머진 스킬이 시키는대로 하면됨.

 어글수치는 룬격>>>심강>>죽격 순이고 얼손과 역격은 질병을 걸고 심강데미지의 상승을위해 도울뿐임.

 

  ◆ 보편적인 광어글 = 죽부 얼손 역격 전염병 후 [4타겟이하는 심강과 대상마다 룬격]. [더 많으면 무한피소와 대상전환룬격.]

 어글수치는 룬격>>>심강>죽부>>피소 순이고 역시 얼손역격전염병은 질병을 걸기위함임.

 광어글시도 죽격은 사용하지만 어글을 위해서가 아닌 광어글작업시 남게되는 냉룬 부룬의 소모& 죽룬으로 전환을 위해서임.

 보통 딜러들이 광을칠땐 특정 대상을 중심으로 딜링하게되는데 나의 타겟에게 징표(보통 해골)을 박아주면 어글이 튈 가능성이 줄어들게됨.

 

 ◇ 위 두 경우에서 (얼손과 역격)대신 돌발역병으로 대신할수있으며

     이는 글쿨을 1.5초 더 절약하게되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어글작업이 가능해짐

 

     다만 원거리에서 어글을 먹어야할 경우에는 얼손으로 시작하는게 더 유리함.(단일어글)

 

 

  ★ 공략상 초반 극딜이 필요한경우 ★

 

 대격변의 몇몇 네임드는 초반부터 극딜이 필요한 경우가 많음.

 공략상 필요한부분이기때문에 탱커도 각종 유틸기를 사용해서 어글을 최대한 먹을수있도록 노력해야하는건 당연함.

 이런 기술들의 활용은 다양하므로 죽탱은 이런상황시 이런 유틸기를 사용해야한다는점만 말하고 넘어가겠음

 

  죽격은 적의 질병에 영향받지않으며 죽기가 가장처음 때릴수있는 기술중에 가장 데미지가 쌘 기술에 속함.

  얼손역격대신 돌발역병을 사용하면 1.5초 글쿨에 룬의 소모없이 질병을 걸수있음.

  문양박은 춤추는 룬무기는 탱커의 어글을 50%증가시켜줌. 다만 룬마력이 60이 들어가게됨.

  시작하기전 뿔피리는 룬마력10을 채워주고 시작할수있게함

  죽음과 부패의 특성과 문양을 박은경우 단일어글때도 어글수급에 도움을줌.

  뼈의 보호막을 감고 시작하는건 생존에도 도움을 주지만 데미지를 2%증가시켜 어글수급에도 도움을 주게됨.

  룬을 모두 사용한뒤 룬무기강화를 돌리게되면 룬이 모두 초기화되며 룬마력도 상당량 차게되므로 어글수급에 많은도움이됨.

  단일 어글시엔 초반 룬무기를 쓰는거보다 룬격2방을 때려박는게 더 이득. 룬무기강화를 사용하지 않을경우임.

  광역 어글시엔 룬마력이 차는대로 무조건 룬무기를 먼저 써줘야함.

  모든 룬은 하나 사용할시 10의 룬마력을 얻게됨.(룬을 모두 소모하고 뿔피리까지 불면 룬마력이 70이됨)

  (*예외로 룬전환은 룬마력을 채워주지않음, 피소는 데미지를 주지못하면 채워주지않음)

  6심강 때리는건 소수타겟 광어글을 제외하고 tps(어글수치를 초단위로 계산한것)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 이유는

  초반어글에서 가장 중요한건 룬격을 최대한 많이 때리는것이고 룬격을 때리기위해선 룬마력이 필요한데

  6심강시 60의 룬마력을 얻기위해 9초를 소모하는데 비해. 2심강 2죽격시 60의 룬마력을 6초만에 얻을수있으며

  6심강의 어글량보단 2심강 2죽격 2룬격의 어글량이 동일 시간에비해 월등히 높음.(단일어글)

  스펙에서 말했지만 단일어글시 숙련, 광어글시 적중을 올리면 어글작업에 많은 도움이됨

 

 

  ※ 예상치않은 경우로 애드가 났을경우

 

 파티원중 누군가의 실수로 다른몹들의 애드범위에 들어갔던가 리딩하는 탱커자신의 경험부족으로 로밍몹을 인식못한경우

 리딩실수라면 탓할게 자신밖에 없고 파티원이 실수했다고해서 내 수리비와 시간을 날려먹을순 업ㅂ슴.

 애드가 난 몹은 첫 애드 대상자를 처다보고 가다가 무조건적으로 힐러를 보게 되어있음. 빠르게 캐치해주긔.

 기존에 잡고있던 몹들에게 룬을 소모했기때문에 추가로 오는 몹에대해선 어글이 약할수밖에 없음..

 이경우 딜러들이 어글관리를 하는게 가장 좋지만 룬무기강화를 일단 돌려주고 빠르게 어글작업을 해줘야하며

 기존몹+추가몹으로 인해 맞는데미지가 늘어나므로 생존기를 꼭! 돌려주도록 해야함.

 다수무리 애드시 죽부와 피소난사가 가장 무난하며

 단일or소수 애드시 도발과 룬격,심강등으로 적절하게 어글을 먹고

 또한 단일 로밍몹의 경우 특수능력(충격파나.. 기타등등)을 가진 경우가 많기때문에 머리돌리기등 무빙에도 신경써야함.

 

 

 b. 딜러의 어글관리

 

 - 탱커도 탱 나름대로 신경을 써야하지만 도저히 못잡겠다 싶으면 딜러들도 어글을 관리할방법이 있으므로 요청할수있다.

 도적과 냥꾼은 각각 속임수거래와 눈속임으로 잠깐동안 어글을 탱커에게 돌릴수 있으며 이는 초반어글에 많은 도움을 줌.

 법사는 환영분신(3분쿨)으로 몹의 인식을 받지않고 어글을 올릴수 있으며 이 어글은 아무리 높아져도 환영분신의 지속시간이 끝나기전까지 몹이 인식하지 못하며 도발로인한 어그로복사가 가능함.  하지만 이미 법사를 인식한후에 분신을 쓰게되면 몹은 법사의 분신을 대상으로 공격하게됨.

 도적은 소멸, 냥꾼은 죽척, 법사는 투명화, 흑마는 영붕. 퓨어딜러들은 각각 자신의 어글을 소멸시킬수있는 기술을 가지고있다.

 퓨어딜은 아니지만 암사의 소실, 야냥의 웅크리기, 기사의 구손도 어그로를 감소시켜주며 특히 기사의 구손은 파티원에게 걸어줄수있다.

 몹은 대상이 면역상태가 된 경우 일시적으로 2어글자를 때리게되며 다시 이 면역상태가 풀린경우 1어글자를 대상으로 하게됨.

 면역상태란 기사의 무적, 기사의 보손, 법사의 얼방.

 밑에 또 말할테지만 첫타를 때리는건 항상 탱커가 되어야함. 이는 어그로의 기본 개념에 속하는데 몹은 자신이 타겟으로 인식한 대상을 기준으로 파티원들의 어그로를 인식하게됨.

 이 외의 방법으로 어글이 튈꺼같은경우 딜을 중지하거나 잠깐 다른몹을 친다거나 하면서 어글관리를 할수도 있지만 왠만해선 이런경우가 생기지않도록 탱커 자신이 노력해야함.

 

 

 c. 힐러의 어글관리?

 - 힐어글이 튄다는건... 탱커가 어글작업을 아직 못했을때 밖에 없어야 하며

 이런게 아닌데도 힐어글이 튄다는건 탱커가 손 놓고있을때밖에 없음

 힐러중 가장 어글이 쌘 정격킨신기의 경우도 딜러가 한대 때리면 딜러를 처다보지 힐러를 처다보진 않음..

 파티진행중 힐러가 맞는경우는 광역데미지거나 랜덤타겟으로 때리는경우밖에 없도록 해야함.  이건 노력이아니라 그냥 해야함.

 

 

 d. 어글의 기본개념.

 

 - 어글(어그로)은 기본적으로 예를 들자면

 

 1의 데미지를 적에게 주게되면 그 대상에대해 1의 어그로를 획득함.

 1의 힐을 파티원(혹은 소환수)에게 하게되면 0.5의 어그로를 적 전원에게 획득함.(오버힐 제외)

 

  이것이 어그로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임.

  다만 탱커의경우 (전사의 방태, 기사의 정격, 죽기의 혈기형상, 드루의 곰폼) 여기서 추가어글을 먹게됨. 

  1의 데미지에 1의 어글이므로 특히 크리티컬데미지가 상당한 딜러들이 어글이 튈 가능성이 높음(*예 전딜)

 

  또한 몹은 자신이 타겟으로 인식한 대상을 기준으로 파티원들의 어그로를 인식하게되는데.

  이 대상보다 다른 파티원의 어글이 높아지게되면 대상이 바뀌는데 이를 어그로가 튀었다라고 함. 

 

  어그로가 튀는데는 조건이있는데

  

  어그로가 튀는 조건은

 

  대상(나)의 어그로보다 110%가 넘는 어그로를 가진 20m내의 범위에있는 파티원(근접한 파티원)

  대상(나)의 어그로보다 130%가 넘는 어그로를 가진 20m밖의 범위에있는 파티원(원거리 파티원)

  각종 도발기를 사용한 파티원

 

 에게 튀게되며 이렇게 타겟이 바뀐경우 탱커가 다시 어그로를 뺏어오려면 그 대상의 어그로의 110% 이상을 얻어와야함.

 

 이 작업을 간편히 하기위해 탱커들은 도발기를 가지고있음.

 

 

 e. 도발의 개념과 활용

 

 - 도발이란 대상 몹이 가진 최대 어글자의 어글을 나에게 복사하고 3초동안 나를 바라보게하는 모든 기술을 말함.

 

 죽탱의 도발기술은 Spell Nature ShamanRage.png어둠의 명령Spell DeathKnight Strangulate.png죽음의 손아귀 라는 2가지 기술이 있음.

 

 이 도발기술을 사용시 적의 타겟을 강제적으로 나로 3초간 전환시켜주며 1어글대상자의 어그로를 복사해오게됨.

 

 3초의 시간이 끝나고 어그로가 튈 조건이 갖춰지지 않았으면 적은 그대로 나를 바라보고 때리게되고

 3초의 시간이 끝났는데 다시 또 어그로가 튈 조건이 갖춰지게되면 어그로가 튀게됨.

 

 또한 이 도발은 어글이 튀었을때만 사용되는게 아니라 탱킹중 어그로가 튈꺼같을때 어그로를 복사하는 용도로도 쓰여짐

 

 예를들면 원거리에있는 조드의 어그로가 나의 120%쯤 되서 어글이 튈꺼같다. 싶어지면

 도발을 하게되면 나의 어글량은 조드의 어글량과 같아지게되고 도발기 하나로 순간적으로 어글을 획득하게됨.

 이후 룬격을 이용해서 어그로를 올려주는식으로 어글이 튀지않고 탱킹을 할수있게되며

 어그로가 튀어서 몹이 이동하는거보다 어글이 튀지않고 몹이 고정되어 딜링과 공대전체의 생존에 도움이됨.

 

 또하나 예를들면 비법이 초반 분신쓰고 극딜을해서 어그로가 마구 치고올라가는 상황인데

 분신을 쓰면 적의 대상으로 인식되지 않기때문에 법사의 어글이 200% 300% 치고올라가도 어글이 튀지않음.(오멘엔 회색표시)

 하지만 분신이 끝나도 어그로가 사라지진 않기때문에 분신이 끝나면 바로 어그로가 튀게되는데

 오멘의 경우 분신의 지속시간이 나오고.. 이 분신이 끝나기전에 도발로 어그로를 복사하게되면

 손쉽게 모든 딜러들이 따라올수없는 어그로를 획득하게 되며 법사에게 어글도 튀지않게됨.

 또한 이 직후 법사가 투명화를 써서 어그로를 소멸시키게되면 어그로가 튈 가능성이 사라지게됨.

 

 뭐.. 도발에는 이있고 몹중에는 도발이 먹히지않는 몹도 있긴하지만. 현 대격변 레이드보스들은 모두 도발이 가능함.

 

 

 ㄷ. 생존기

 

   생존기는.. 쿨마다 돌려야할게 있고 로테이션을 돌려줘야하는 생존기가 있고. 아껴놔야하는 생존기가 있음.

  쿨마다 돌릴건 역시 룬전환..  이건 그냥 쿨 올때마다 돌려주는게 만피가 아닌이상 무조건 이득..

  로테이션이란 흡혈과 뼈보 룬무기를 꾸준하게.. 피다는거보고 약간씩 텀을줘서 돌려주면 3개가 꾸준히 돌아간다.

  뼈보 돌릴때는 죽격을 타이밍맞춰 잘써주면 오랬동안 유지가 가능함.(맞고 죽격 맞고 죽격)

  얼인은 진짜 왠만해선 최후의 보루로 아껴두고..

  리혼이나 서약같은 자힐스킬은 만피 유지용으론 좋지만 로테이션 돌리기엔 애매한 스킬인듯

   위의 것은 꾸준하게 아픈데미지가 들어오는 보스일경우이고 별로 아프진 않은데 주기적으로 위험해지는 보스는

  룬무기랑 뼈보만 꾸준히 돌려주고 흡혈+자힐 or 얼인 으로 위험할때만 써주긔

 

   대마보는. 특수한 상황을 주는 보스(무조건 대마보로 맞아야하는 경우) 가 아니면 적은 마뎀이라도 감소시켜주는게 좋음..

  어짜피 죽탱는 항상 물리뎀도 다른탱보다 많이 아프기때매 마뎀이라도 좀더 감소시켜줘야....

  거기다 특수한 상황이 45초 이내로 오는게 아니면 걍 돌려줘도 무방하다..  계산해봐서 쿨다시 돌아오겠다 싶으면 걍 써버리자.

  그리고 깨진 형상의 거울은 죽탱에게 대마보를 한개 더주는 무진장좋은 장신구임 +_+

 

 

 ㄹ. 매크로

 

   일단..  탱커는 딜러와달리 모든상황이 똑같이 맞춰오는게 아니므로 원키매크로따위에 의존해선 안됨.

  다만 Ace라이브러리를 쓴다면 /in 매크로를 사용해서 생존기가 끝나는 타이밍을 알릴수있으므로 쓰고있음.

 

#showtooltip
/시전 얼음같은 인내력
/y 얼인. 18초. 뎀지감소
/in 18 /y 얼인종료

 

  이런식으로 쓰게되면 얼인을 사용할때 외침으로 알리게되고 얼인이 끝나는 18초뒤 외침으로 얼인종료를 알리게됨.

 

 

   또한 지금 몇몇 네임드는 보축으로 디버프를 지우거나 보축도발로 맞아야하는 네임드가 있는데.

  이경우 그 상황이 끝나고나면 다시 보축을 지워줘야할 경우가 많음.

  해서 매크로로 하면 편하게 처리할수 있게됨.

 

#showtooltip
/cast 룬의 일격
/cancelaura 보호의 손길

 

  /cancelaura 는 /오라취소 와 같은명령어

  다른 어글기술과 달리 룬격은 약간 생각을 하고 눌러줘야하는 기술이다보니 룬격에다가 오라취소를 묶어주게되면 지우지 말아야 하는 상황에 지워지는걸 방지할수있음.

 

 

   레이드중 얼결지원이나 질식 지원이 필요한경우도 있는데 이경우 마우스오버를 사용하면 보다 편하게 지원할수 있음.

 

#showtooltip
/시전 [@mouseover, harm][@target] 얼음 결계(혹은 질식시키기)

 

  마우스오버 대상이 적인경우에 얼결(혹은 질식)발동.

  적이 아닌경우 타겟에게 얼결(or질식)발동.

 

 

   생존기는 묶어쓰지 않는게 좋긴한데..  단축키가 너무많이 꼬여서 고민끝에 몇가지 생존기를 묶었는데..  흡혈과 기공장갑마부.

 

#showtooltip
/cast 흡혈
/y 흡혈. 10초. 피뻥. 치유효과증가.
/in 10 /y 흡혈종료
/사용 10

 

  10은 착용하고있는 장갑을 뜻함.  몇몇가지 더 얘기하자면 장신구는 13과 14이며 허리는 6 망토는 15임.

 

 

   또한 뼈보는 부정룬이 하나 들어가게되서 부정룬이 없을땐 발동이안되고..

  혈기전환은 글쿨을 먹지 않고 죽탱에게 별로 쓰일일이 없어서 둘을 같이 묶어서 쓰고있음.

 

#showtooltip
/시전 뼈의 보호막
/시전 혈기 전환

 

  이경우 뼈보는 글쿨을 먹고 혈전은 글쿨을 먹지않기때문에 만약 혈전만 필요하다면 다른기술을 쓰자마자 이 키를 누르게되면 뼈보는 발동하지않고 혈전만 발동하게됨.

 

 

   죽부는 두번누르면 시전이 취소되게 되서 탱킹하는 입장에서 조금 불편할때가 있음.

  이 두번누르면 취소되는걸 방지하는 매크로

 

#showtooltip
/공격시작
/시전 !죽음과 부패

 

 

   그리고 누구나 알고있는 리혼자힐 매크로

 

#showtooltip
/시전 리치의 혼
/시전 [@player] 죽음의 고리

 

 

 ㅁ. 추천하는 애드온

 

  블링크 체력텍스트

 - 적의 체력과 나의체력. 또 적에게 걸린 질병의 남은시간과 뿔피리의 사용가능여부를 간단하게 알려주는 애드온.

  Blood Shield Tracker

 - 죽격의 회복량과 방어막의 여부. 그리고 방어막의 수치를 알려주는 애드온.

  EventAlert

 - 생존기류의 지속여부와 상황발동형 버프를 보기쉽게 보여주는 애드온.

  GTFO

 - 각종 바닥에 피해를 입으면 경보음으로 알려주는 애드온.

  Headline

 - 적 체력바 에드온인데 나를 보고있는적과 나를 보지않는 적을 색깔로 구분해주는기능이 있음. 
  LowHPAlert

 - 체력이 반피이하로 내려가면 효과음이나는 애드온.

  nnCast

 - 생존기나 차단류나 각종기술 사용시 알려주는 애드온.

  oRA3

 - 공대인원들의 각종 스킬의 쿨다운을 알려주는 애드온.

  SmartAuraWatch

 - 설정을 일일히 다 해줘야하는건 까다롭긴한데 대상과 주시대상 그리고 나에게 들어오는 모든종류의 버프와 디버프를 표시해줄수 있고 각종 외부생존기가 들어올때의 소리도 설정해줄수있는 애드온.

 

 

6. 마치며

 

가끔보면 죽탱 스펙좀 봐주세요- 라는 글이 자주보이는데

스펙은 그냥 템렙이 높을수록 좋은겁니다.

물론 적중과 숙련을 낮춰서 그 템렙보다 더 높은 방어능력을 갖출수는 있고

또한 자신의 취향에 따라서 완방집중이나 특화집중으로 나뉠수도 있습니다만

어짜피 힐러가 힐을 주는거다보니 이 몹에게 맞을수 있느냐보단 어떻게 탱킹할수 있느냐가 더 중요한 능력입니다.

거기다 적절한타이밍의 생존기만 더해지면 저 스펙으로도 어려운난이도의 보스몹을 잡을수도 있겠지요.

물론 이 능력은 경험이 많을수록 늘어나는 능력이다보니 막공의 공장들은 템스펙을 보고 탱커의 능력을 파악하기도 하게되지만

탱커로써 기본적인 능력이 안되고 템렙만 높은 탱커보단

템렙은 낮아도 경험있고 실력있는 탱커가 레이드에선 더 사랑받게 되있습니다.

 

항상 공략을 보실땐 어디에서 어떻게해야하고 어떤무빙을 해야하며 어떤타이밍에 생존기를 돌릴지를 생각하면서 공략을 보시고

공략글을 100번 읽는거보단

한두번 확실하게 읽고 죽탱시점 동영상을 보면서 이놈은 왜 이렇게 움직일까 이놈은 왜 이때 생존기를 돌릴까를 생각하면서 보시면

처음 경험하는 네임드라도 잘 할수 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