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서론

 

안녕하세요 전차게시판 글에는 처음으로 적어보는 육성기 글이네요

 

현재 OARA1 클랜 소속중인 월탱닉넴 '노도치'입니다

 

월탱을 작년 5월에 시작해서 현재 틈틈히 즐기면서 하는중인데 자주포를 처음 시작한 국가인 독일 자주포를

 

리뷰겸 소감을 간단히 적어볼까 합니다.

 

 

위에 말했듯이 빅커스 마크6 자주포랑,기갑자주포4호 B형 전차 자주포가 업뎃되기전에 시작해서

 

해당 자주포에 대한 리뷰는 부득이하게 넘어가고 비존이 첫 자주포였을때를 기준으로 잡겠습니다.

 

그리고 오래된것들은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틀린점도 있을수 있으니 혹시 잘못된거 발견시 잡아주셨으면 합니다.

 

조금이라도 재밌게 적어보고자 반말이 섞여있을수 있으나 그냥 태평양 같은 마음으로 이해해 주십시오 (__)

 

※ 2.독일 자주포의 특징

 

우선 독일자주포의 특징은 타국가의 자주포처럼 특징이 딱 드러나지 않고 정말 무난무난한 자주포 트리이고

 

상대적으로 지뢰라 불릴만한 자주포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그릴레가 약간 구설수에 오르지만 나름의 장점

 

은 존재) 그리고 상황에 따라선 구축질도 가능해지는 마법의 자주포(응?)

 

단점은 8.6 패치를 기복으로 일부 자주포가 전용엔진으로 변해버려서(게티p 라던가 게티p 라던가) 부품 호환의

 

나라라는 종특인 독일을 무색하게 만들어 버렸죠

 

말 나온김에 덧붙여보는 타국가 자주포의 특징(순전히 제 개인의견이고 다른생각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미국 : 준수한 스플래시 데미지와 10티어에서 정점을 찍는 화력(하지만 맞질 않지...)

 

◎소련 : 상대적으로 높은 발사각(그러나 영국이 출현)과 고티어로 갈수록 빠른 착탄속도와 정확도 일명 레일건

            화력은 덤

 

◎프랑스 : 약간은 떨어지는 데미지와 스플범위를 연사력과 좁은 탄착점으로 커버 그리고 10티어에선 월탱내에

               선 유일한 4발들이 클립식 자주포 그리고 그 희귀하다는 목돌이 자주포(물론 9,10티어만)

 

◎영국 : 홍차 종특인 약간 부족한 화력 6티어에서 왠 경전차가 끼어있고 그리고 어마어마한 고각사격

            허나 고각인 만큼 그만큼 착탄시간이 길어지는게 단점이라면 단점

 

 

 

※ 3. 본격적인 독일 자주포 리뷰

 

서론이 길었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파헤쳐 봅시다 첫타자는

 

 

현재는 3티어지만 한때는 자주포의 첫 시작 비존

 

바이슨,비존 뭐 이리 많이 부르지만 정식 명칭은 슈트름판처 Ⅰ 비존(SturmpanzerⅠ Bison)

 

뭐 저티어 자주포가 다 그렇듯 거기서 거기지만

 

이 녀석은 저티어이면서 무려 150mm 주포를 씁니다 골탄은 성형작약탄

 

약간의 패널티로 느린 재장전 시간(이큅과 승무원으로 커버가능)

 

당신이 돈이 썩어남아돌아 관통력 185mm인 골탄을 꽉 채워 나간다면 적에게는 충격과 공포를 안겨줄수 있습니다.

 

결론 : 짱쎄고 강한 자주포

 

다음 자주포는 현재는 4티어

 

 

SturmpanzerⅡ 슈트름판처 2

 

전티어와 크게 달라진점은 없고 연사속도와 정확도에 약간 미비한 차이가 생김

 

그리고 전티어에 비해 약간 납작해진 차체로 인해 위장률이 조금 올라갔음

 

다음 자주포는 5티어

 

 

 

Grille 그릴레

 

그릴에 구워먹는 그릴레

 

스톡포는 전티어에서 쓰던 그 주포

 

특징이라면 아는 사람들은 다 아는 좁은 좌우포각(게티p 예행연습한다 생각하고 타자.) 그리고 최종포를 얹었을때

 

빠른 탄속 맵 전부를 장악하는 미친 사거리였지만 그놈의 8.6 패치에서 탄속과 사거리 너프를 받음

 

아무래도 좌우포각이 갑자기 좁아지다 보니 처음타는 유저 같은경우는 어? 이게뭐야 하면서 타겠지만

 

그래도 적응되면 재밌게 탈수 있는 자주포

 

적 발견->에임조이기->적이동->차체 움직여서 에임 분산->다시 조준 × ∞ (-_-) 속터져도 그냥 참고 타자.

 

다음 자주포는 6티어

 

 

Hummel 후멜

 

험멜,훔멜 이런저런 명칭이 있지만 정식발음은 후멜(편의상 이하 훔멜로 표기)

 

드디어 나온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훔멜

 

자주포를 죽어나가게 했던 8.6 패치 이전에는 자주포라곤 믿기지 않는 기동력과 우수한 성능으로

 

구축전차 취급을 받았던 훔멜(하지만 정말 독일 2차구축 트리에 나스호른이 나왔다)

 

하지만 8.6패치후 기동성에 너프를 먹고 그냥 평범한 수준의 6티어 자주포로 전락

 

허나 부자는 망해도 3년을 산다고 그릴레에 비해 빠른 탄속,긴 사거리는 건재하다

 

필자는 훔멜의 사기성을 체험하지 못했음 이거 뽑았던 시기가 그릴레 너프 전과 훔멜이 구축이였을때

 

딱 뽑고난뒤 8.6 패치가 진행돼서 경험을 못해봄 그래도 재밌게 탔던 구ㅊ.. 자주포중 하나

 

여담이지만 저기서 주포만 88 mm(승리의 아흐트 아흐트)로 바꾸면 딱 나스호른이여서 나스호른과 엔진 공유가 됨

 

그러니 자신이 독일 자주포를 타고 구축은 야크트판터까지 풀업 시켜놓으면 나스호른은 첫 출고후 궤도만 빼고 풀업

 

무전기야 다들 집에 Fug12 한트럭 가지고 계시잖아요?

 

다음 자주포는 7티어

 

 

Geschützwagen Panther(G.W Panther) 게쉬츠바겐 판터

 

통칭 게판이라 불리는 녀석

 

흔히 독일자주포 탈려면 여기까지만 하는게 좋다고 말할 정도로 명품 자주포

 

가장 큰 특징은 맵 절반을 장악할수 있는 넓은 좌우포각

 

그리고 준수한 기동력(이 녀석도 8.6 패치 이후로 기동력 칼질) 승무원 100% ,장전기 기준 29초정도의 장전속도(맞나?)

 

딱 하나의 옥의티는 이 녀석 전용엔진 씁니다. 그리고 못 생겼어...

 

그래도 저런 단점들 다 씹어먹을 정도로 풀업하면 재미나게 몰수있는 자주포

 

원래 필자도 여기까지만 할까? 하다가 이왕 시작한거 10티까지 가보자 해서 다음 티어를 연구했죠.

 

다음 자주포는 8티어

 

 

 

Geschützwagen Tiger P(G.W Tiger P) 게쉬츠바겐 티거 포르쉐

 

통칭 게티피,게티포르쉐 혹은 음란마귀 끼인 분들은 게티포르노

 

잊혀진 그릴레의 악몽이 여기서 다시 봉인해제

 

그리고 전티어처럼 전용엔진을 쓰는 자주포

 

허나 자주포이면서도 정신나간 떡장을 자랑해서 어느정도의 충각에 면역인 동시에 적이 충각을 안해주고

 

최종포인 21cm 포의 준수한 데미지와 철갑탄을 사용 가능함 이 주포는 다음 티어에서도 사용

 

단점

 

우선은 스톡포는 못해먹을 정돈 아닌데 약간 아쉬운 데미지 0.72의 명중률로 어느정도는 커버 최종포는 0.86

 

그리고 최종주포 연구 경험치가 67,500이라는 자주포로서는 결코 적은양이 아닌 요구 경험치

 

그리고 결정적인 그릴레를 다시 떠오르게 하는 좁은 좌우포각

 

게판에선 그리 넓은 포각을 줬으면서 다시 빼았다니 싸우자 워게이

 

전용엔진을 사용하니 거의 스톡엔진으로 그냥 때우고 다음티어 가니 덩치에 걸맞는 처절한 선회력과 속도

 

하지만 이때부터 느낄수 있는 원샷으로 차고행으로 보내버리는 쾌감은 독자주를 타는분들은 느낄수 있는 즐거움중 하나

 

이고 무엇보단 최종포는 철갑탄이 사용가능하니 한번 시원하게 쏴주면 적들은 비명을 우리팀에선 환호를 느낄수 있죠.

 

 

 

※ 4. 마치며

 

부족한 실력이지만 그래도 처음시작했던 자주포 트리였고 나름의 애증을 가지면서 플레이 했던지라

 

이렇게 글도 남겨보네요 저티어 자주포들은 오래전 기억 더듬으면서 작성한거라 현 시점과는 안 맞는 다던가

 

하는 오류가 있을수도 있으니 그런점은 댓글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마음같아선 10티어까지 하고 육성기를 적어보고 싶었지만 왠지 시간도 오래 걸릴거 같고 해서

 

우선은 현재 해봤던 자주포만 이리 해봅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많은 전차장분들이 제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돼 독일 자주포 유저가 늘어 났으면 좋겠네요.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음에 글을 또 적을기회가 있다면 독일 1차구축 라인을 해볼까 생각중이네요

 

마지막으로

 

 

 

 

Panzer vor (판처 포 : 전차 전진)

 

이상 OARA1 소속 노도치 였습니다.

 

2014.1.21  1차 수정

 

2014.1.23 2차 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