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 LCK 팀들의 대규모 리빌딩이 진행됐다. 많은 팀들이 리빌딩을 통해 전력이 강화됐다는 평가를 들었지만, 젠지는 오히려 반대였다. 정신적 지주인 '앰비션' 강찬용이 은퇴했고, 든든한 버팀목인 '코어장전' 조용인과 공격의 중심 '하루' 강민승이 팀을 떠나면서 전력이 약해졌다는 평가를 들었다. 다행히 정상급 정글러 '피넛' 한왕호를 영입하며 정글러 공백을 메웠지만, 바텀이 여전히 불안 요소로 꼽혔다.

그러나, 신예 서포터 '라이프' 김정민의 기량은 기대 이상이었다. 사전 점검 단계인 KeSPA 컵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처럼, '라이프'의 게임의 흐름을 읽는 능력과 판을 만드는 능력이 탁월했다. 무엇보다 '룰러' 박재혁과 호흡이 찰떡궁합이었다. 물론, '라이프'가 '코어장전' 조용인의 빈자리를 완벽하게 메웠다고 보기는 아직 어렵다. 보완해야 할 부분이 많고, 경험도 많이 쌓아야 하기 때문이다.

오히려 현재 젠지에서 가장 아쉬운 포지션은 다름 아닌 미드-정글 캐리 라인이다. 젠지에 새롭게 합류한 '피넛' 한왕호는 비교적 팀에 잘 녹아든 모습이었지만, 여전히 전성기에 걸맞은 포스를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다. 주도적으로 판을 만들기보다는 받쳐주는 역할에 더 치우친 모습이었다.

젠지가 2017년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미드라이너 '플라이' 송용준의 역할도 중요하다. 지난 2016년과 2017년, 부진을 겪은 송용준은 2018년 젠지로 이적해 준수한 활약을 보여줬다. 하지만, 준수함 그 이상의 무언가를 보여주진 못했다. 라인전에서 너무 손쉽게 솔로 킬을 허용하는 등 여전히 플레이에 기복이 있었다.

물론, 젠지가 여전히 강팀인 것은 변함이 없다. 이변이 없는 이상 젠지가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할 거라는 상상이 쉽게 되지 않는다. 하지만, 젠지는 단순히 포스트시즌 진출에 만족할 팀이 아니다. 한 번 정점을 찍어 본 팀으로서 다시 한번 정점에 오르기 위해서는 한 단계 진화가 필요하다.

■ 핵심 전력, 에이스 '룰러' 박재혁, 각성이 필요한 시기


'룰러' 박재혁은 삼성 갤럭시 시절부터 팀의 에이스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2017 롤드컵에서 박재혁의 손으로 삼성 갤럭시가 우승을 차지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줬다. 마치 승리의 '보증 수표'처럼 중후반까지 버티면 박재혁이 모든 것을 해결했다. 오죽하면 팀원들이 '재혁이 형'이라고 불렀을까.

햇수로 3년이 지난 지금, 그때와 비교해서 메타가 많이 바뀌었다. 원딜이 무난하게 클 때까지 기다려주는 팀은 더 이상 없다. 초반부터 치열한 오브젝트 싸움이 펼쳐지면서, 대부분의 경기가 초중반에 유불리가 명확하게 갈린다. 그만큼 원딜이 존재감을 발휘하기 어려워졌다.

많은 팀들이 현재 메타의 파훼법으로 초반부터 강력한 챔피언을 원딜 포지션에 넣고 있다. KeSPA 컵에서 원딜 포지션에 카시오페아와 제이스를 적극적으로 기용한 그리핀이 대표적인 예다. 최근 솔로 랭크에서는 원딜 빅토르가 유행하는 등 다시 한번 비원딜 메타가 주를 이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메타 변화로 인해 젠지가 다시 한번 과거의 영광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박재혁의 각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박재혁은 비원딜 챔피언을 다루지 않는 대표적인 선수다. 그 말은 밴픽에서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2018 KeSPA 컵 결승전 3세트에서 젠지는 그리핀을 상대로 카시오페아 밴을 반드시 해야 했지만, 그리핀은 카시오페아 밴을 할 필요가 전혀 없었다. 밴픽부터 이미 지고 들어간 셈이다.

그렇다고 이제 와서 '룰러' 박재혁이 비원딜 챔피언을 준비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비원딜 챔피언을 다루지 않는 대신, 자신의 강점을 더 크게 살릴 필요가 있다.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지만, 지금보다 더 실수 없이 완벽하게 플레이해야 한다. 상식을 벗어난 전력을 가진 팀들을 이기기 위해서는 그 방법밖에 없다. 2019년, 젠지의 에이스 '룰러' 박재혁의 각성을 기대해본다.

■ 2019 스무살우리 LoL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젠지 e스포츠' 1라운드 일정
1주차
2경기 담원게이밍 vs 젠지 e스포츠 - 1월 16일
1경기 젠지 e스포츠 vs 샌드박스게이밍 - 1월 18일

2주차
2경기 젠지 e스포츠 vs 아프리카 프릭스 - 1월 24일
2경기 진에어 그린윙스 vs 젠지 e스포츠 - 1월 27일

3주차
2경기 젠지 e스포츠 vs kt 롤스터 - 1월 31일
1경기 킹존드래곤X vs 젠지 e스포츠 - 2월 3일

4주차
1경기 한화생명e스포츠 vs 젠지 e스포츠 - 2월 13일
1경기 젠지 e스포츠 vs SKT T1 - 2월 16일

5주차
1경기 젠지 e스포츠 vs 그리핀 - 2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