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시즌까지만 해도 'LoL 월드 챔피언십(이하 롤드컵)'에서 당당히 한국을 대표하던 두 팀, kt 롤스터와 젠지 e스포츠가 '2019 LoL 챔피언스 코리아(이하 LCK)' 스프링 스플릿에서 크게 흔들리고 있다. 3전 전패, 공동 꼴찌. 누구도 예상치 못한 결과다.

2패를 떠안고 시작된 2주 차 경기에서 kt 롤스터는 킹존 드래곤X, 젠지 e스포츠는 아프리카 프릭스에게 각각 패하며 무승 3연패의 수렁에 빠졌다. 이번 경기는 2패 라인을 탈출하기 위한 자존심 싸움이었는데, 그 대결에서 패하고만 것이다.

전패라는 성적표보다 더 어두운 현실은 승리로 향하는 길이 잘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세 경기를 치르는 동안 변화와 발전이 거의 없었다. 피지컬은 기본이고, 날카로운 공격성에 새로운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패기까지 갖춘 상위권 팀들과는 완전히 반대되는 모습을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위엄 잃은 디펜딩 챔피언 - kt 롤스터
믿었던 상체의 부진


2018 이적 시장을 마친 kt 롤스터에 대한 평가는 '막강한 상체와 부실한 하체'였다. '스멥' 송경호-'스코어' 고동빈-'비디디' 곽보성으로 이어지는 주전 라인은 네임밸류로만 봐도 걱정없었지만, 봇 라인에 딱히 묵직한 선수가 없어 다소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하지만, 막상 LCK가 시작되니 문제는 봇 뿐만이 아니었다. 믿었던 '스멥'과 '스코어'가 좀처럼 힘을 쓰지 못했다. 중심이 될 줄 알았던 상체가 흔들리니 전반적인 경기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오히려 봇 듀오가 안정적으로 보이기까지 했다.

특히, '스멥'은 라인전 단계에서부터 흔들렸다. 라인전 최강이라는 이전의 평가가 무색하게 주도권을 뺏기거나 솔로 킬을 허용했고, 갱킹에도 쉽게 무너졌다. 개인 기량 자체가 떨어진 모습이었다. 성장이 더뎌지니 또다른 장기인 폭발력과 캐리력도 나올 수 없었다.

전력상으로 다소 유리해보였던 킹존 드래곤X전의 패배는 더욱 뼈아팠다. 킹존 드래곤X의 약점이었던 상체가 kt 롤스터의 상체를 이기는 그림이 나왔고, 당연히 에이스인 '데프트' 김혁규를 막을 방도가 없었다. 결과는 2:0 완패. kt 롤스터는 경기를 이끌어 갈 중심이 없는 팀이 되어버린 듯한 느낌만 남기고 세 번째 패배를 안았다.


변화없는 제자리걸음 - 젠지 e스포츠
여전히 '룰러', 여전히 슬로우 스타터



'룰러' 박재혁은 명실상부한 젠지 e스포츠의 에이스다. 비원딜 메타가 성행할 때도 꿋꿋하게 원딜 챔피언으로 폭발적인 경기력을 보여줄 만큼 뛰어난 피지컬을 보유했고, 한 시즌이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굉장한 피지컬을 자랑한다. 하지만, 지금의 LCK는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게 현실이다.

젠지 e스포츠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영입의 중심이었던 '피넛' 한왕호다. 일단, 성향 자체가 현 젠지 e스포츠의 상황이나 메타에 맞지 않다. '피넛'은 아군 라이너가 강할 때 더 빛을 발하는 정글러다. 바꿔말하면 지고 있을 때 무기력하다는 이야기다. 현재 젠지 e스포츠는 '룰러'와 '라이프' 김정민이 버티고 있는 봇을 제하곤 라인전을 이기는 경우가 거의 없다.

거기에 더해 '피넛'은 예전부터 라인 개입보다 자신의 성장에 더 치중하는 성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공격성이 필수가 된 현 메타에 반하는 움직임이다. 지금 날뛰고 있는 LCK 정글러들을 보면 동선부터 공격적이고, 싸움이나 다이브를 서슴지 않는다. 그에 비해 라인전 단계에서 '피넛'의 존재감은 '제로'에 가깝다.

아프리카 프릭스전도 마찬가지였다. 여러가지 변수를 준비해 온 아프리카 프릭스와 다르게 젠지 e스포츠는 여전히 '룰러' 중심으로 후반을 지향하는 경기를 펼쳤고, 결과는 패배였다. '룰러' 의존도가 얼마나 높았냐 하면, 젠지 e스포츠는 '룰러'가 점멸이 없을 때마다 한타를 패했다.


기존 LCK 강호들이 무너진 가장 큰 이유를 kt 롤스터와 젠지 e스포츠가 앞선 경기들로 보여줬다. 개인 기량의 저하와 기존의 색깔 고수다. 냉정하게, 젊음과 패기로 무장한 신예들의 피지컬은 그들보다 뛰어나고, 그들이 LCK를 호령했던 방식은 이제는 '낡은 것'이 됐다.

지금 필요한 건 각성과 변화다. 선수들 뿐만 아니라 코칭 스태프 역시 마찬가지다. 어떻게든 기량을 끌어올려 차이를 메우고, 장점인 경험과 노련함을 살려 더 적극적인 액션을 취해야 한다. 다양한 시도와 전략도 반드시 필요하다. 그동안 쌓아온 수많은 커리어에 걸맞게 무너진 자존심을 하루 빨리 회복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