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해시대 인벤

대항해시대 인벤

로그인하고
출석보상 받으세요!

커뮤니티 게시판

서버 게시판

국가 게시판

공통 커뮤니티

파티 바로가기

모바일 게임 커뮤니티

소모임 게시판

북해 시세관리의 기초. 방폭에 대하여.

대항해시대 서비스가  지속되면서   폭락의 개념과 방어 폭락.  공격폭락.   고의 폭락에 대한 개념이해가 필요한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폴라리스 서버의 잉글 유저들과 북해를 매각항으로 이용하는 여러 유저들이 서로 돕고 사는 환경이 되었으면 합니다.   

폭락이란  10만 이상의 이득을 교역으로 남겼을때,  확률에 의해 해당 품목의 시세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분의 글을 인용하죠. 

A. 폭락의 경우 변하는 순서.

직물이 대폭락이야 휴우...

시세변동

직물이 대폭락이야 휴우...

시세변동 

직물은 남아돌고 있어...

시세변동

직물은 남아돌고 있어...

시세변동

어서 오십시오.(좀 도와주십쇼? ㅋㅋ) 


의 순서로 변합니다. 

B. 폭등의 경우 변하는 순서.

2번 2번이라는 공식이 통하지 않습니다.. 
대체로 직물이 잘팔려 상태는 3번 가는 것으로 보이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은듯 합니다..
1번만에 끝나기도 한다는 말도 있더군요..


C. 주점 주인의 정보.

모가디슈에서 염료가 폭락한거 같아.. 라는 말은 뻔하죠..^^

하지만 이 말은 다릅니다

누가 잔지바르에서 식료품을 팔아 많은 돈을 벌었다더군..

이 멘트는 진짜 누가 식료품으로 백만 이득 냈다 그런 게 아닙니다. 

잔지바르 식료품 폭등 이란 뜻입니다..^^


D. 폭락은 언제부터 일어나는가?

영지에서 사교가 20랭이어도 재교섭 기회가 1번일수도 있고, 사교가 1랭이어도 재교섭기회가 10번일수 있는 것처럼
폭락이 일어나는 것도 기본적으로 랜덤입니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최소한의 조건은 있습니다. 

10만의 이득 요겁니다. 

%%라고 했씁니다만.. 댓글에 붙어있는대로 다른 경우가 있다고 하네요..
일단.. 제 실험에 따르면 결과가 저랬지만.. 예외가 있다니.. 저게 맞다고 할수가 없겠군요..OTL%%

개인적인 기록으로는... 

순익의 최소한은
이동하면서 부케릭 봉제 랭 올리려고 찍었던 니트.. 맥스쳐서 10만두캇 남기고 팔았는데 
직물폭 일어났던 경험 있구요

시세의 최소한은
터키융단 53% 하락에서.. 회계도 실패해서.. 
[덴장~~ 될대로 되라] 라는 생각에 17만 이득에 그냥 던진게.. 폭락이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 

한편.. 폭락실패의 기억은.. 

순익의 최대는 
카사블랑카에서 귀금 730개를 116 하락인가에서 던져서 순익 700만 냈는데, 
폭락이 안 일어난 적이 있구요

시세의 최고는 
몸바사에서 터키융단 133하락세에서 240만 이득내고 던졌는데 
폭락이 안 일어난 적이 있습니다..ㅡㅡ;

즉.. 결론을 내리자면.. 

폭락의 성공여부는 정성에 달려있습니다..흐흐




현재  10만은 커녕 100만 천만 이상의 이득을 내기 십상인  대항에서 폭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않을 경우  한사람이 수십명의 사람에게 간접피해를 줍니다.  그래서  약간의 수고를 통해 모두가 이득을 누리고자 하는게 방폭작업입니다.  

한 품목에 대해 폭락상태가 걸리면,   4번의 시세변화 시간동안 다른 물품은 마음껏 팔아도 돼요.   그래서 주로 팔고자하는 물품을 대기시키고, 필요없는 물품으로 폭락상태를 인위적으로 만듭니다.  그게 방폭이죠. 

방폭의 예에 대한 다른 분의 글입니다. 

대폭락,방폭 그리고 폭락내서는 안될 지역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498&l=10734


이제 중요한 얘기중 첫번째인 북해에서의 방폭은 어떻게 하는게 옳은가 하는 부분을 써봐요.  링크한 글들은 예전 시점.   다른 국가 입장에서 쓴 글이기에  멋모르고 따라하긴 어렵죠.    

현재의 북해는  초보부터 고수까지 육두구 메이스 크로브 무역을 즐겨 사용하고 있습니다.     

함부르크에서 총포제작.  미술품 제작.    오슬로에서 직물 제작.  미술품 제작을 하는 경우가 있고.......

남만  물품(브리튼 지역의 오수,초롱  네덜란드 지역의 가는끈.  북유럽의 고묵등) 이 향신료 무역을 보조하는  루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보석이나 귀금무역은 죽은 상태죠.   발주서 값에 비해서 순익이 너무 낮아요. 

그러나 바로 죽은 무역임에도 교역소 매각가는 높기에 무난한 방폭작업이 가능합니다.   

내가  팔고 싶은 물품만 시세를 아는 상황에서 방폭용으로  경쟁 물품을 고르는건 위험한 판단입니다.   남만을 팔기 위해 향신료.   향신료를 파기 위해 남만을 전후사정없이 골라선 안됩니다.     

그 방폭 물품이  누군가에게는 무개념 폭락일수 있습니다.  

방폭할때는  길사에서 고수익 물품을 사서 파는것이 편합니다.   약간 손해본다고 해서  120%  130% 하는 주력 무역 물품을 팔아 폭락내지 마세요.   

서로 돕고 사는게 좋은 건 모든 RPG의 기본입니다.  

방폭작업은 무폭상태일때 가능합니다.  교역소 주인이 어서오세요 라고 말하거나 시대에 맞는 신상품을 들여왔다고 말할때 폭락이 가능해요.  

이 상태에서 방폭을 해주고 나면 확률에 의해  목표하는 물품의 시세가 올라가거나 내려갑니다.   

간혹 운이 좋으면  방폭으로 고시세를  볼수 있는 셈이죠.  


뭐 이미지 링크가 이상한거 같지만 상관없어.... 음;?  

폴라리스 북해 시세 관리의 기초편이었습니다~    

마지막 목표는 위험한 (?)  시세 관리를 통해   향신폭을 내서 남만시세를 지키고  남만폭을 내서 향신을 지키다 보니  또  향신 고시세가 빨리 뜨는   좋은 의미의 공폭을 보여드리는 겁니다.     

또  경쟁국의 동맹항을 마비 시키기 위해 시도하는 나쁜 의미의 공폭인  고의폭도 언급하고 싶네요.   

폴라리스 잉글랜드의 시세관리는 많은 분들의 참여와 호응을 기다립니다.  




P.S 지금 써야 할 주제가 하도 많기에  다른 분들의 글을 부분 인용한점 대단히 죄송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최대한의 이득을 얻을수 있도록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EXP 1,932 (66%) / 2,001

Lv15 힐링셔틀

레벨
Lv15
경험치
1,932 (66%) / 2,001 ( 다음 레벨까지 69 / 마격까지 58 남음 )
포인트

이니 12,249

베니 20

제니 0

명성
107
획득스킬
획득한 스킬이 없습니다.

댓글

새로고침
새로고침

대항해시대 인벤 잉글랜드 국가 게시판 게시판

목록 글쓰기
대항해시대 인벤 잉글랜드 국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등록일 조회 추천
1184 레벨 아이콘 HMS 05-19 2,129 0
1182 레벨 아이콘 빈스에피뉴 03-31 2,932 0
1181 레벨 아이콘 흑석동거지 02-26 1,531 0
1180 레벨 아이콘 Solaloves 02-21 3,261 0
1178 레벨 아이콘 HMS 01-08 2,798 1
1177 레벨 아이콘 넵튜누스 01-08 1,613 0
1176 레벨 아이콘 HMS 12-16 2,069 4
1175 레벨 아이콘 HMS 12-11 2,091 5
1174 레벨 아이콘 얼음램프 12-10 1,746 0
1173 레벨 아이콘 무좀양말 11-09 1,850 1
1172 레벨 아이콘 HMS 10-04 1,437 3
1169 레벨 아이콘 힐링셔틀 09-24 3,209 3
1168 레벨 아이콘 힐링셔틀 09-24 2,729 3
1167 레벨 아이콘 힐링셔틀 09-23 3,037 2
1166 레벨 아이콘 터닝포인트 08-23 3,618 14
1164 레벨 아이콘 햇콩 08-14 1,753 0
1163 레벨 아이콘 악뚱 08-10 2,778 0
1162 레벨 아이콘 Tiffany0801 08-06 2,806 3
1161 레벨 아이콘 빼동 08-04 1,683 1
1160 레벨 아이콘 Tiffany0801 07-30 2,032 0
1159 레벨 아이콘 샴시엘 07-29 2,258 0
1158 레벨 아이콘 천하무패 07-18 2,224 0
1155 레벨 아이콘 칼잡이z 05-15 2,454 0
1154 레벨 아이콘 Ajg 05-08 2,797 0
1153 레벨 아이콘 민호주 05-02 1,542 3
목록 글쓰기

명칭: 주식회사 인벤 | 등록번호: 경기 아51514 |
등록연월일: 2009. 12. 14 | 제호: 인벤(INVEN)

발행인: 서형준 | 편집인: 강민우 |
발행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로 9번길 3-4 한국빌딩 3층

발행연월일: 2004 11. 11 |
전화번호: 02 - 6393 - 7700 | E-mail: help@inven.co.kr

인벤의 콘텐츠 및 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므로,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Inven.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 신문 위원회 배너

2023.08.26 ~ 2026.08.25

인벤 온라인서비스 운영

(웹진, 커뮤니티, 마켓인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