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레딧 [링크]

Q. charkra
HGC가 온라인 리그제로 진행된다는데요, 골드리그나 슈퍼리그 같은 대형 대회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처음 공개된 정보로 인해 커뮤니티 사이에서 뜨거운 이슈가 되었습니다.
명확히 말씀드리자면, HGC 북미와 유럽은 온라인 리그제로 진행되며, 한국과 중국은 오프라인 요소가 적용될 것 같습니다. 두 지역에 대한 발표는 추후 진행될 예정입니다.

Q. lerhond
앞으로도 리그의 승자 예측 (히어로즈 오브 더 돔 대전표 잴린지)과 같은 공식 이벤트가 더 진행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제가 직접 진행해야 될까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저희도 이에 대해 이야기를 해 봤었고, 오프라인 이벤트에서 함께 할만한 아이디어들이 있습니다만... 정확히 말씀드릴 수 없습니다! 자유롭게 이 분야에 뛰어드셔도 좋습니다 :P

Q. Krond
크라우드 펀딩. 멋있잖아요. 이런걸 더 원해요.
MVP나 템페스트 탈것처럼 팀을 직접 후원하거나 (상금을 늘리거나) 하는 방법이 더 늘어날까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저희도 동의합니다! 우승팀 탈것은 올 해 추가된 멋진 것들 중 하나였고, 저희는 현재 우승팀만이 아닌 더 많은 팀들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중에 있습니다.

Q. BHTK
이스포츠 팀에서도 북미나 EU팀의 로스터 불안정에 대해 주시하고 있나요?
저도 팀간/내부의 사회적인 문제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는건 이해하지만 (물론 이 문제들이 블리자드에서 팀 내부 사정에 개입할 필요가 없다고 반박할 수도 있지만), 각 팀들에게 겨우 한번의 대회성적으로 "팔을 잘라내버리는"생각을 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고 있나요?
로스터 변경 제한이나 다른 것들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저희도 올해 일어난 로스터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주목하고 있습니다.
저희가 2017년에 시도하려 하는 것들 중 이 부분에 대해 집적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는 로스터 제한에 더 엄격해지는 것입니다. 2017년 시즌에는 각 팀들에게 시즌 중간에 단 한번의 로스터 변경만을 허용할 계획입니다.

Q. lerhond
TownHall Heroes의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Bakery선수가 제안했던 방법인데요.
이스턴 클래시와 웨스턴 클래시 대신, 시즌별로 지역이 돌아가며 대전하는 방법은 어떨까요.
스프링 시즌에는 유럽 vs 북미, 다음에는 유럽 vs 한국 / 북미 vs 중국과 같은 방법으로요.
이렇게 하면 각 팀들에게 다양한 지역의 팀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를 더 자주 제공할 수 있을거에요.
이를 2017년이나 그 이후에라도 적용하는건 어떨까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Bakery선수는 이 제안을 저에게도 전달한 적이 있었고, 저도 그 제안을 매우 좋아하고 있습니다. 2017년에는 적용되지 않겠지만, 계속해서 마음에 담아둘 생각입니다!

Q. CrisHeroes
지역 내에서 3위에 오르지 못하는 팀은 그 해 오프라인 대회에 못나가는 건가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HGC에서는 못나갑니다.

Q. henrax
이스포츠를 위한 상세 기록을 보여주는 건 어떤가요? 그리고 이를 해설진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해서, "교차는 아마 세계 최고의 트레이서 플레이어일겁니다."라는 말 대신 더 자세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말이죠.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그 부분은 정확히 저희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며, 현재 작업중인 내용이기도 합니다.
대회 성적 기록을 통해 선수들이 더 빛날 수 있도록 말이죠.

Q. footballisgod-ud
프로 팀들에게 전장을 시즌 내내 제한하거나 시즌 일부만 제한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해본 적이 있나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저희는 HGC 2017에서 전장을 제한할 예정입니다. 전장 목록은 1 단계 (HGC 시작부터 미드 시즌 난투까지)유지되며, 2 단계 (미드 시즌 난투부터 HGC 파이널까지)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Q. Guapbox
전장 제한이 공식 서버에까지 적용되나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HGC에서만 적용됩니다.

Q. quizmil
오픈 디비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해 좀 더 알려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남미, 호주&뉴질랜드, 동남아, 대만 팀들은 어떻게 선발하나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오픈 디비전은 컵 시스템 대회로 진행되며, 각 대회의 성적에 따라 점수를 얻게 됩니다.
최종적으로 플레이오프를 통해 두 팀이 오픈 디비전에서 승격강등전에 진출할 기회를 얻게됩니다.
오픈 디비전 역시 상금이 주어집니다.
남미, 호주&뉴질랜드, 동남아시아, 대만은 올해와 동일하게 진행됩니다. 각 지역에는 각 지역만의 대회를 통해 글래시, 미드 시즌 난투, HGC 파이널에 진출할 팀을 선별하게 됩니다.

Q. Obarok
전장 선택이나, 영웅 선발/금지 규칙에 변화가 있을 예정인가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네.

Q. piche
HGC 2017에선 선픽/전장 선택이 시청자들에게 더 공개되는건가요?
2016년도는 어느 팀이 전장을 골랐고, 선픽을 가져가는지 제대로 알 수가 없었습니다. 그저 해설진들이 "오, 이 전장은 이 팀이 좋아하는 전장이죠!"하는 말을 듣고 예측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스타크래프트2에서는 전장 금지 역시 게임 전에 하는 이벤트처럼 진행됩니다. 히어로즈에서도 이처럼 되었으면 좋겠네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내년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팬 분들에게도 더 잘 보일 수 있도록 진행할 것입니다.

Q. charkra
  1. 주간 경기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2. 기본적으로 각 팀은 일주일에 몇 경기를 하나요?
  3. HGC가 짜임새있는 대회가 되었는데, 앞으로 인게임 클라이언트로 시청할 수 있게될까요?
  4. 다중 언어로 진행될까요?
  5. HGC 팀들을 위해 인게임 상점에서 구매할 수 있는 상품이 더 생길까요?

A.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1. 모든 리그는 5판 3선승제로 진행됩니다.
  2. 각 팀은 1주일에 1-2회 정도 경기를 하게됩니다. 주말에는 5판 3선승제 경기가 2회 진행됩니다.  HGC 유럽과 HGC 북미의 팬들을 위해 수많은 경기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3. 모든 정보들이 올라갈 예정이지만, 이는 저희의 신규 웹사이트이고 인게임 클라이언트는 아닙니다. HGC에 대해서는 인게임에서 메인화면을 통해 알릴 예정입니다.
  4. 공식적으로는 저희가 이미 하고 있는 것 외에는 다중 언어를 제공하지 않을 것입니다만, 유명한 커뮤니티와 연계하여 해당 커뮤니티의 언어로 송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5. HGC가 시작되는 당장에는 없겠지만, 앞으로 작업해나갈 예정입니다.

Q. pimmeke
진행중인 경기나 다가오는 경기의 팀원 로스터나 날짜를 찾기 불편한 점이 있습니다. 심지어 새로운 개요 페이지도 '무엇'이 있는지는 쉽게 찾을 수 있었지만 '언제' 있는지는 알기 힘들었습니다. '언제'는 대회 시청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현재 일정만으로는 정확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A. eSport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의견 잘 받았습니다. 이는 작지만 저희의 시청자와 플레이어들을 위한 피드백입니다. 저희는 이 부분에 꽤나 멋진 것들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주시해주세요!

Q. douchebert
리플레이 파일을 온라인에 공개해서 사람들이 프로를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건 어떤가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네, 아직 어떻게 공개해야 할지에 대해 정하고 있는 중입니다.

Q. the6m6a6x7y
HGC 2017에서 벗어난 다른 내부 대회도 있을 예정인가요? Nexus Games나 브락시스 항전/핵탄두 격전지 쇼매치 같은 것들 말이죠. 혹은 Bloodlust와 같은 커뮤니티 이벤트도 기대해도 될까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커뮤니티 대회 운영진의 가장 큰 피드백 중 하나는 올 해 진행되는 대회 일정이 너무 빡빡해서 다른 대회를 열기 힘들어질 것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저희는 1월의 HGC 2017일정을 비워서 다른 대회 운영진들이 히어로즈 이벤트를 열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Q. OptikaPhysika
오프 시즌 - 각 선수들이나 팀들이 재충전하고, 로스터를 변경하고, 휴식을 취할수 있도록 하는 오프 시즌에 대한 계획은 어떻게되나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오프 시즌이 가져다줄 수 있는 점들에 대해서는 동의합니다. HGC의 공식적인 오프 시즌은 11월 (블리즈컨 이후)부터 1월 말까지 입니다.

Q. ValerianMar
올 해 섬머, 폴, 유럽 챔피언쉽은 모두 목요일에서 금요일까지 진행됐었는데요, 이걸 주말로 바꿔줄 수 있을까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HGC 리그는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Q. snowholmes
오픈 디비전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줄 수 있나요? 언제 어디서 열리는가에 대해서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오픈 디비전에 대한 공식적인 발표와 세부사항은 올해 말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Q. Hosselote
지역 출전 제한에 대해서는 어떤 규칙이 적용되나요? 대회 전 6개월 이상 거주 규칙이 그대로 적용되나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지역 출전 제한은 대회 전 6개월 이상 거주를 원칙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Q. Matcas98
작은 지역의 잘하는 팀이 주요 지역 대회에 못하는 팀 자리를 대신하여 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을까요? 예: Burning Rage팀이 북미 대회에 출전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안됩니다. 지역 거주 규칙에 의거하여 해당 방법은 불가능합니다.

Q. rhywiol
유럽의 국가별 팀이 출전하는 대회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웨일즈, 잉글랜드, 프랑스의 대표선수로 구성된 팀이 겨루는 대회 말이에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해당 대회에 대한 계획은 없습니다. 현재 오버워치 팀이 블리즈컨에서 해당 방식의 월드컵 토너먼트를 진행중에 있기는 합니다.

Q. quizmil
오픈 디비전이 Chair League나 Heroes Lounge를 대신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아니면 오픈 디비전은 대회에 나가보고 싶은 플레이어들이 아닌 프로 데뷔를 목표로 하는 사람만을 위한 대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하나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오픈 디비전이 대신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Q. Duefian
대회만을 위한 전장을 제한할 계획이 있나요? 예를 들어, 블랙하트 항만이나 공포의 정원은 거의 안나옵니다.
11개의 전장은 각 팀들이 모두 연습하기에 너무 많다고 생각합니다.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HGC 2017에서는 전장 목록 제한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Q. Dthehunter
  1. 글로벌 대회(미드 시즌 난투와 HGC 파이널)를 3회에서 2회를 줄이게 된 배경은 뭔가요?
  2. 대회의 리플레이 파일이 공개될까요? 그렇다면 지금처럼 하츠로그를 통하게 되거나 새로운 방식으로 자료에 접근할 수 있게 될까요?
  3. 오픈 디비전의 상금에 대해 이야기하셨는데 어떻게 적용되는지 더 알려주실 수 있나요? 상위 8개팀이 받게 된다거나 이 매치들이 어떻게 중계되는지에 대해서요
  4. 한번의 리그가 5주 이상 진행된다는 점은 알겠습니다. 정확히 어느 날짜에 진행되나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1. 3번의 글로벌 챔피언쉽을 진행했지만 이번 주 금요일(AA vs Dig) 전까지는 북미와 유럽의 최강자가 누군지 밝혀지지 않습니다. 저희는 클래시를 통해 지역간 라이벌 구도를 형성하고 이를 통한 장점이 한 번의 글로벌 챔피언쉽을 포기하는 것보다 더 많은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 저희는 리플레이를 공개할 계획입니다만, 어떤 방법으로 공개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아직 작업중에 있습니다.
  3. 오픈 디비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올해 말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4. 금요일, 토요일, 일요일입니다.

Q. serenityunlimited
이번 변경으로 인해서 기대되는 결과는 무엇인가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슈퍼스타가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리그를 통해 지속적인 경기를 보장하고, 각 팀이 상대 팀과 자신의 실력을 시험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GC를 통해서 크게 성장할 선수들의 모습이 기대됩니다!

Q. bRoKeNbLaDe7
프로 대회의 총상금이 100만달러라고 했는데요, 이는 1 단계와 2 단계에 똑같이 나누어지는 것인가요?
다시 말해서 5월에 떨어지는 팀은 50만 달러의 상금 안에서만 받는 것인가요?

A. BlizzMilkfat 히어로즈 이스포츠 팀장
정확합니다. 각 팀은 1월부터 11월까지 참여하는 경우에 최소 10만 달러를 얻게 됩니다. 만약 승격강등전에서 떨어지는 팀은 5만 달러만 얻게 되며 새로 올라온 팀이 나머지 5만 달러를 얻게 될 것입니다.

Q. lerhond
리그는 3판 2선승제인가요? 5판 3선승제인가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5판 3선승제입니다.

Q. BarcodeHots
내부 이벤트 중 패치 일정에 대한 계획이 있나요? 대회 전용 서버가 없는만큼, 각 팀은 시즌 중에 메타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해야 합니다. 물론 이로 인해 더 잘하는 팀은 더 부각되겠지만 몇몇 패치는 오프라인 이벤트를 위해 조금 더 연기되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A. BlizzMilkfat
이 부분은 저희도 전적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이 부분에 해결책을 갖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이야기할 기회가 있을겁니다.

Q. kakarat
EPL과 같은 축구 스타일의 리그가 진행될 수도 있을까요? 하위 리그의 상위 3팀은 승격하게 되며, 상위 리그의 3팀은 강등되는 식으로요. 제 생각에 이렇게 하면 아마추어 대회가 더 성장할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해요.

A. eSportsMatt 이스포츠 코디네이터
저희는 이와 비슷한 것을 계획중에 있습니다! 승격강등전이 위와 같은 목적으로 계획되었습니다. 하위 2팀은 오픈 디비전 플레이오프의 상위 2팀과 HGC의 2단계 진출권을 놓고 겨루게 됩니다.


여기까지입니다. 오역/오타 지적 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