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lrog 러시아 커뮤니티

 

유저들은 보호막과 역장 태사다르 빌드를 선호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고위 기사라면 사이오닉 폭풍과 공격을 연상합니다. 그래서 제 질문은 이런데요, 집정관을 더 매력적으로 변경할 계획이 있나요?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하실건가요?

Claudio Gentilini 프로듀서

 

완전히 동의하며, 저희는 현재 내부적으로 태사다르를 작업하고 있습니다. 이 업데이트는 전사들을 돕는데 더 특화될 것이지만, 아직 확실하게 그렇게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저희가 그렇게 할 것이니 안심하세요.

 

추가: 집정관에 대해서는 예전의 영광스런 모습으로 복귀할 것입니다!

 


 

 Гамулятор 러시아 커뮤니티

 

바리안은 2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첫번째 영웅입니다. 다른 영웅들도 똑같이 그렇게 변경할 계획이 있나요? 티란데가 아마도 좋은 예가 될거 같은데요.

Matt Cooper 수석 밸런스 디자이너 

 

현재 영웅들을 '다중 역할' 유형으로 업데이트 하는 작업은 하지 않고 있으나, 이미 카라짐이나 티란데는 합리적으로 유연한 스타일의 영웅입니다. 이러한 것들은 앞으로 저희가 더 많이 연구해보겠습니다.

 


 

Obrien

 

추가 질문: 카라짐의 게임플레이에서 매우 다양한 것을 감안하자면, 카라짐에게 '다중 역할' 표시를 부여할 의향이 있습니까? 또는, 이전에 전문가의 정의를 변경한 이후, 역할 시스템을 전환하려는 계획이 있습니까? 초갈이랑 렉사르는 전문가(공성이 아닌 특이한 역할)가 되어야하고 실바나스는 암살자가 되어야 할 것 같은데요.

Matt Cooper 수석 밸런스 디자이너 

 

말했던 것처럼, 카라짐은 암살자로 플레이 할 수 있지만 현재 저희는 예전 영웅들을 다중 역할로 업데이트 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지 않습니다.  

 

향후 그럴 수 있다면, 특성이나 기술들을 리워크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카라짐은 하이브리드 보다 진정한 다중 역할 영웅으로 충분히 느낄 수 있으려면 더 좋은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Oracle 러시아 커뮤니티

 

우서에게 어떤 변화를 계획하고 있습니까? 다른 지원가 영웅들에 비해 우서는 좀 약한거 같습니다.

Matt Cooper 수석 밸런스 디자이너 

 

우서는 저희가 몇달 안으로 살펴볼 것입니다. 저희는 우서가 괜찮은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만 더욱 단단한 지원가(Tanky Support)의 역할에 더 중점을 두고 싶습니다. 이상적으로 우서와 몇몇 브루저만으로 전사 없이도 팀이 운영되게 하고자 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언급했듯이, 우서는 현재 지속 메타에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으며 왜냐하면 폭발적인 힐러로 디자인 되었기 때문입니다.

 


 

Auther Lee 대만 커뮤니티

 

라그나로스가 화산심장부를 사용하면 여전히 영웅 판정입니까 아니면 건물입니까? 상대방에게 기절당하거나 침묵당할 수 있나요?

Adam Jackson 밸런스 디자이너

 

라그나로스를 설계할 때 많은 반복 작업들을 거쳐야만 했고 건물 모습으로 자리잡았을땐 고려해야할 많은 상호 작용들이 있었습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라그나로스는 어느정도 건물과 영웅 두가지 판정을 받는데 대부분의 목적을 위해 건물보다 영웅 판정을 더 받고 있습니다.

 

예로들어 적 영웅을 공격하는 퀘스트에도 카운트되며, 또한 화산 심장부가 되면 일반 건물 공격이 아니고 기술을 사용하여 피해를 입히게 만들어진 이후 신드라고사의 얼어붙는 효과에도 면역이 됩니다.

 

기절과 침묵도 라그나로스가 화산 심장부가 되면 멈출수 없기 때문에, 그러한 효과들에도 면역이 됩니다.

 


 

SandD 러시아 커뮤니티

 

레이너에 대한 어떤 변화 계획이 있습니까? 레이너의 평타 공격 메커니즘은 이제 약간 구식이라 약간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Brett Crawford 밸런스 디자이너

 

레이너의 전반적인 구성들이 매우 단순하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몇몇 영웅들처럼 그렇게 만들어졌습니다. 즉, 단순하다고 구형이진 않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레이너에 대한 주요 계획은 없지만 레이너는 확실히 우리의 '영웅 특성 개선' 목록에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 할 것입니다.

 


 

Warcrush 러시아 커뮤니티

 

지원가 영웅들에 대한 대대적인 리워크 계획이 있나요?

알라라크나 굴단의 리워크 계획이 있나요? 두 영웅 모두 특성이 고착화 되었는데요.

아우리엘의 부활에 대한 변화 계획이 있나요? 현재 매우 비주류인 궁극기인데요,

Brett Crawford 밸런스 디자이너

 

기술적으로 대대적인 리워크는 계획된게 없지만, 현재 지원가들의 위치에 대해서 약간의 변화를 꾀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점은 간단한 작업이 아니며 이점을 테스트 하기전에 몇가지 다른 게임/시스템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저희도 이점을 열심히 작업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있지만 아직은 공유해드릴 구체적인 것은 없습니다.

 


 

clonexg

 

태사다르와 머키에 대한 리워크나 특성 변화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려주실수 있습니까? 전 두 캐릭터 모두 정말로 좋아합니다.

Matt Cooper 수석 밸런스 디자이너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두개 모두 내부적으로 작업중인 것들이란 것입니다.

태사다르는 작업이 더 진행되어 있고 먼저 보실 수 있을 것이지만, 머키도 열심히 작업중에 있답니다.

 


 

AMasonJa

 

역주: 글이 너무 길이서 요약하자면 그레이메인이 프로들이 너무 써서 너프시킨건 이해하는데 그 이후 그레이메인은 사장되었고 요즘 패치노트에도 없어서 실망이며 프로에서도 간간히 쓰이도록 괜찮게 바꿀 계획이 있냐고 묻는 질문입니다. 그이후 자신의 변화 제안 목록들을 설명

Alex Neyman 밸런스 디자이너

 

질문에 감사드립니다. 모든 것에 답해드릴 순 없지만 중요 포인트에 대해서는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레이메인은 밸런스적인 측면에서 흥미로운 영웅입니다. 그는 효과적이며 대회에서도 플레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으며 여전히 특정 맵에서는 필요한 영웅입니다. 하지만 그레이메인은 더이상 영웅 리그에서 잘 쓰이지 않으며 승률도 저희가 원하는 것보다 조금 낮습니다.

 

그레이메인이 출시된 이후로 그레이메인 유저들에게 혼란스러운 경험들을 겪게한 것을 저희도 알고 있으며 그점에 대해 저희는 유감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전반적인 디자인 측면에서 향상되었다고 생각하지만 분명히 개선될 여지는 남아있습니다. 만약 또다시 그가 가장 강력한 영웅중 하나가 된다면 그레이메인을 플레이하는 느낌에 대해 불만이 사라질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말 나온김에, 그레이메인에 대해서는 몇가지 변경사항이 있을 것입니다. 저희는 '살육의 징표' 궁극기가 한타가 시작될때 쓰일 수 있도록 과감하게 변경하고자 합니다. ('숨통을 노려라'는 마무리로 쓰일거구요)

 

또한 그레이메인이 늑대인간 형태일때 방어구(저항)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현재 메타 상위권에 타이커스, 발라 또는 폴스타트처럼 정말 훌륭한 평타 영웅들이 있는데 그레이메인이 이들중 하나를 대체하는 것을 원하지 않습니다.

 

저희의 변화점이 올바르게 적용된다면 영원의 전쟁터같은 전장에서 다른 영웅들을 선택하는 대신에 그레이메인을 선택할 것입니다. (사실 제가 영웅리그를 할때 여전히 그레이메인을 볼 수 있더군요)

 


 

AMasonJa

 

그레이메인이 늑대인간 형태일때 방어구(저항 인가요?)를 주는 아이디어에 만족하지만, 현재 여전히 많은 이들이 그레이메인의 길니안 독주 특성 빌드에 대해 불만족하고 있으며, 여러번의 패치 이후 독주 트리가 도난당했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다른 특성을 제치고 독주 특성을 선택해야할 이점들이 충분하지 않은데 이 특성 빌드를 위한 추가점이 있나요?

Alex Neyman 밸런스 디자이너

 

변경하려는 구체적은 계획은 없습니다. 그레이메인의 잠재적인 피해 가능성에 대해 저희는 만족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다시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방어구는 몇% 피해 감소를 말하는 것입니다. 

 

 

2부에서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