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를 오랫동안 즐긴 플레이어들이 자주 범하는, 그리고 피해야할 실수 5가지>- 2부 입니다.

이번 2에서는 "너무 급하게 플레이하는 실수" 에 대하여 다루려고 합니다. 


원문 저자: Stonekeep

----------------------------------------------------------------------------
숙련자들이 자주 범하는 실수 5가지 목록:

1. 이기려는 수를 두는 게 아니라 지지 않으려는 수를 두는 실수

2. 너무 급하게 플레이하는 실수

3. 탈진전까지 가는 게임을 잘못 이해하고 잘못 플레이하는 실수

4. 카드를 잘못된 순서로 내는 실수 & 필드 위의 카드 배치를 잘못 설계하는 실수

5. 몇 턴 앞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않는 실수

--------------------------------------------------------------------------

번역문 Start

2부: 너무 급하게 플레이하는 실수를 범하지 말자.

-부제: 우리 다 알아. 시간 다 써서 신중하게 생각해서 손해볼 건 없다고. 근데 귀찮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피곤하고 머리도 안돌아가고 빨리빨리 하고 싶고 나에겐 그럴만한 인내심도 없고...... 그래도 고수층에서 최대한 승률을 높이고 싶다면 최대한 시간을 많이 쓰고 깊게 고민하자. 


G2 하스스톤 프로팀의 매니저 Lothar가 자기 팀원 Lifecoach를 코스프레하다가 진짜로 등급전에서 Lifecoach를 만나버렸다. 아마도 하스스톤 역사상 가장 긴 경기가 아니었을까.


 자, 전 왜 굳이 이런 류의 실수를 왜 굳이 '숙련자들의 실수' 카테고리에 넣었을까요? (이 실수는 초보, 중수, 숙련자 너나할 거 없이 다 하는 실수인데도 말이죠.) 왜냐하면 성급하게 플레이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실수의 파급력이 고수층에서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너무 급하게 플레이하는 것은 언제나 잘못된 행동입니다만, (특히 고수층에선) 가장 사소한 실수마저도 나비효과를 불러와서 자신에게 부메랑으로 돌아옵니다. 

 이번 건 쉽게 알아들으실 수 있을 거에요. 그리고 사실 저 자신부터 이 실수를 저지르는 걸 그만 해야해요. 게임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많은 수들을 일일히 분석하기보다도 그냥 느낌따라 결정을 내리게 되죠. 톡 까놓고 말해봅시다. - 이미 수백번씩이나 똑같은/비슷한 상황을 이미 겪어봤잖아요. 시시콜콜하게 모든 걸 따질 필요가 없잖아요? 그렇지만, 상황을 총체적으로 분석하지 않고, 성급한 판단을 내리는 것은 사소한 실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매 턴마다 75초씩 꼬박꼬박 쓰는, 소위 '밧줄충'을 상대하길 좋아하는 사람들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전 그런 '밧줄충'들에게 뭐라할 자격이 없어요. 승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싶다면 응당히 그런식으로 시간을 최대한 많이 써야 하거든요. 모든 가능한 수를 꼼꼼히 따져보고, 이번 턴에는 무슨 영향을 끼칠지, 또 다음턴에는 무슨 영향을 끼칠지 다 생각을 해봐야 해요. 상대방의 응수도 생각해보고요. 상대방은 손쉽게 대응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내가 그렇게 강요했기 때문에 상대방은 어쩔 수 없이 어색한 플레이를 할 수 밖에 없을 수도 있죠.

 네, 삼척동자도 알 만큼 결정이 쉬울 때도 있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당신이 그 턴을 굳이 빠르게 보낼 필요는 없습니다. 파마기사를 상대하는데 다음 턴이 약속의 6턴이라고요? 아마도 파마맨이 등판하고 게임이 급격하게 힘들어지겠죠? 그러면 그 대처법을 지금 미리 생각해놓으세요. 막상 파마맨이 등판하고 나서야 생각하기 시작하면 75초라는 시간은 최선의 대처법을 찾기에는 부족한 시간일 수 있으니까요. 아니면 여러분의 손패를 보시고 뭐에 강하고 뭐에 약한지 다시 점검해볼 수도 있죠. 

 제가 강조하고 싶은 격언이 하나 더 있어요. "생각을 먼저 한 다음에 그 수를 둬라." 저 자신조차도 이 격언을 잊어버릴 때가 있어요. 그러니까, 어떤 카드를 일단 먼저 쓴 다음에야 비로소 상황분석을 하는 거죠. '일단 질러놓고 생각한다'는 거죠. 자, 여기서 제가 이미 삽질을 했다고 칩시다. 하지만 엎질러진 물이지요. 하지만, 사전에 모든 경우의 수를 신중하게 생각해놓으면, 전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겠지요. 전 성급하게 플레이했다가 멍청한 실수를 저질러서 날려버린 게임들이 너무너무너무너무 많습니다. 

 급하게 플레이하는 것의 부작용 중 그 마지막은 바로 킬각을 놓치는 것입니다. 킬각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은 단순히 하수인들의 공격력을 더하는 것보다 더 어렵습니다. 여러분이 부릴 수 있는 술수는 생각보다 더 많습니다. 특히 기름도적 같은 덱들이 더 그러한데요, 이런 덱들은 각 턴마다 많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되고, 또한 한 턴에 낼 수 있는 최대 데미지도 엄청나죠. 상대방이 '충분히 낮은' 체력에 놓여있거나, 아니면 내 손패에 폭딜을 낼 수 있는 옵션이 있다, 이 둘 중 하나라도 만족하는 상황이라면, 내가 상대방을 죽일 수 있는지 없는지를 매 턴마다 꼼꼼하게 점검하세요. 게임을 이길 수 있을 때 이기지 않는 것은 최악의 실수 중 하나에요. 이미 나는 내 카드들을 냈는데, 킬각을 낼 수 있는 다른 방도가 있다는 걸 도중에 깨달았을 때 만큼 기분 나쁜일이 없죠. 킬각을 놓쳐서 응징받고 상대방이 결국에는 이겨버리면 설상가상입니다.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