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홈  펌 정보입니다.)

 

 

메이지 계열 추천 서브 인증 스킬

메이지 계열 추천 서브 인증 스킬 편집

메이지 계열은 그 특성에 따라 추천 서브 스킬에 많은 차이가 있다

지난 주에 소개된 파이터 계열의 추천 서브 인증 스킬은 주로 사냥 또는 PvP에서 화력을 높이기 위한 스킬들이 대부분이었다. 반면, 로브 방어구를 착용하는 힐러/위저드 계열 클래스 등의 메이지 계열의 경우에는 생존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어 위주의 서브 인증 스킬이 많았다. 그 외에 소환사 계열 클래스와 같이 그 클래스 및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 근접 공격 또는 마법 공격 위주로 분류로 될 경우에는 파이터 계열과 비슷하게 화력 중시의 스킬로 세팅하는 경우도 있었다.

 

 

 

 

 

 

 

- 아르카나로드

눈에먹물없다님의 글에서 발췌

 

과거 소환사와 소환수의 버프가 공유되기 전에는 워리어 어빌리티 - 헤이스트의 효과가 큰 도움이 되지 않았지만, 버프가 공유된 이후로는 공격속도가 느린 소환수의 단점을 커버할 수 있는 좋은 스킬입니다. 또한,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는 모든 클래스의 기본 서브 인증 스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 두가지 스킬은 반드시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 하나 남은 서브 인증 스킬의 경우 캐릭터의 클래스와 플레이 스타일에 맞춰서 배우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83레벨에 배우는 쉐어링 어빌리티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중략 >

 

만약 PvP나 그랜드 올림피아드 보다는 사냥 위주로 하고자 한다면 소환수는 기본적으로 격수 스타일이 되기 때문에 크리티컬을 높여주는 스킬을 고려해볼만 합니다. 단, 이 경우는 83레벨 이후에 쉐어링 어빌리티를 배우고 난 후에 적용되는 이야기입니다.

일반적인 파이터 계열의 클래스라면 보통 로그 어빌리티 - 크리티컬 챈스보다 크리티컬 수치가 높은 서브 - 포커스 익스퍼트를 배우실 겁니다. 하지만, 소환사의 경우 소환사의 크리티컬 수치가 모두 소환수에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20%만 전이됩니다. 즉, 서브 - 포커스 익스퍼트로 소환사의 크리티컬 수치가 30이 증가하여도 소환수는 6만 증가하게 됩니다. 때문에 개인적으로 다소 수치는 낮지만 소환수에게도 동일하게 효과가 적용되는 로그 어빌리티 - 크리티컬 챈스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즉, 두 스킬의 장단점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으니 자신에 맞는 스킬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로그 어빌리티 - 크리티컬 챈스

- 장점 : 패시브로 적용되기 때문에 항상 그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발동 시의 수치보다 효과가 좋다.

- 단점 : 소환수에게는 20%만 적용된다.

 

서브 - 포커스 익스퍼트

- 장점 : 발동 수치가 소환수에서 100% 적용된다.

- 단점 : 스킬이 발동이 되어야만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소환사도 함께 공격을 해야 한다. 패시브 스킬의 수치보다 효과가 낮다.

 

눈에먹물없다님의 원문 보러가기

 

- 하이로펀트

해바라기필무렵님의 글에서 발췌

 

하이로펀트를 키우는 저는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어떻게든 이겨보기 위해 방어와 관련된 서브 인증 스킬을 골랐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75레벨 인증 스킬은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나이트 어빌리티 - 디펜스, 서브 - 캐스팅 익스퍼트이며 65/70레벨 인증 스킬은 전부 서브 - 매직 디펜스 비기너로 했습니다. 아무래도 공격력이 뛰어난 격수나 한방으로 결정나는 위저드를 상대로 방어력말고는 방법이 없더군요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인챈터 계열 클래스를 선택해야 하는데 저는 파티 사냥에서 빠질 수 없는 블레이드댄서를 선택했습니다. 소드싱어도 파티 필수 클래스이긴 하지만, 블레이드댄서는 레벨이 낮을 때에도 쉽게 파티를 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나이트 어빌리티 - 디펜스를 배우기 위해 선택해야하는 탱커는 팰러딘이나 헬나이트보다 이동속도가 빠르며, 템플나이트보다 솔로 플레이 시 효율이 좋은 실리엔나이트를 추천합니다. 마지막 서브 인증 스킬로 선택할 서브 - 캐스팅 익스퍼트는 공통 인증 스킬로 서브 클래스의 제약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서브 클래스를 선택하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위저드 클래스에 로망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소울테이커를 하려고 합니다. 만약 MP 회복 문제로 인해 위저드 클래스를 주저하는 분이 계시다면 스펠하울러를 추천합니다.

 

해바라기필무렵님의 원문 보러가기

 

- 카디날

쉬크린다님의 글에서 발췌

 

- 65/70레벨 서브 인증 스킬

65/70레벨 서브 인증 스킬은 주로 파티 내에서 카디날이 오래 살아야 파티가 안정적이기 때문에 방어 위주의 서브 - 디펜스 비기너서브 - 매직 디펜스 비기너를 선택했습니다.

 

- 75레벨 서브 인증 스킬

카디날에게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추천해드릴 서브 인증 스킬서브 - 캐스팅 익스퍼트로 WIT가 높지 않은 카디날에게는 필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스킬은 서브 클래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75레벨을 달성하면 배울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엘더를 서브 클래스로 선택하여서 서브 - 캐스팅 익스퍼트를 배웠는데, 75레벨 인증 스킬뿐 아니라 80레벨 달성 시 습득하는 디바인 힐러를 배우기 위한 선택이었습니다. 파티 사냥 도중 MP가 거의 없는 상황에서 사용하면 파티원 전체의 MP를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합니다.

 

두번째로 추천할 스킬은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그랜드 올림피아드나 사냥 시 정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보통 많은 분들도 이 스킬을 배우고 있고요. 무적 상태가 발동 시 힐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카디날의 경우 밸런스 라이프체인 힐 등으로 단점을 커버할 수 있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추천할 서브 인증 스킬은 위저드 계열의 인증 스킬입니다. 실은 75레벨 공통 인증 스킬도 배워보고 위자드 어빌리티 - 마나 게인도 배워봤지만 효율이 그다지 좋은것 같지 않아 현재는 위자드 어빌리티 - 안티 매직을 사용 중인데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위저드를 상대로 크리티컬 마법 맞고 지는 경우가 확연하게 줄었기 때문에 나름 좋은 것 같습니다.

 

- 그 외의 팁

대부분의 분들이 서브 클래스를 75레벨까지만 키우시는데 80레벨을 달성할 경우 궁극의 변신 스킬을 배울 수 있습니다. 하이로펀트/스펙트럴댄서/소드뮤즈/둠크라이어의 인챈터 계열은 프로피시 스킬과 동일한 스킬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힐러 계열의 경우 파티원 전체의 MP를 채워줄 수 있는 등 많은 도움이 됩니다.

 

쉬크린다님의 원문 보러가기

 

- 에바스세인트

련아s님의 글에서 발췌

 

- 65/70레벨 인증 스킬

65/70레벨 달성 시 배울 수 있는 비기너 스킬로는 서브 - 매직 디펜스 비기너를 모두 배우는 것을 추천합니다.

 

- 75레벨 인증 스킬

서머너 어빌리티 - 스피릿 : 처음에는 워리어 계열의 워리어 어빌리티 - 부스트 CP로 최대 CP를 증가시키거나 나이트 계열의 나이트 어빌리티 - 레지스트 크리티컬의 크리티컬 데미지 감소 또는 나이트 어빌리티 - 디펜스의 얼터미트 디펜스 효과가 너무 좋아 보였습니다.

그런데 워리어 어빌리티 - 부스트 CP의 경우 약 600~700 정도의 CP가 증가하는데, 힐을 사용하는 힐러로서는 그다지 큰 메리트로 다가오지 않았습니다. 또한, 적색 탈리스만 - 최대 CP나 속옷으로 CP를 증가시킬 수 있고요. 크리티컬 데미지 감소 효과 역시 실험 결과 그 효과가 매우 미비하였고 얼터미트 디펜스가 발동될 경우 이동속도가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힐러의 경우 오히려 도망도 못 가는 것이 부담이 되어 결국 서머너 어빌리티 - 스피릿을 선택하였습니다.

피격 시 서머너 어빌리티 - 스피릿의 효과가 랜덤하게 발동되며, 이때 마법력과 마법속도가 15초 정도 증가하는데, 직접 사용해 본 결과 발동 확률도 괜찮은 편에 마법속도의 경우 약 8% 정도가 증가하여 비기너 스킬이나 공통 인증 스킬로 배우는 마법속도에 비해 효율이 더 좋습니다.

 

서브 - 매지컬 디펜스 익스퍼트 : 마법저항을 높여주는 서브 - 매지컬 디펜스 익스퍼트는 공통 인증 스킬로 서브 클래스의 종류에 상관없이 배울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카디날밸런스 라이프 때문에 카디날을 선택했는데, 80레벨이 될 경우에 디바인 힐러로 변신해서 파티원의 MP를 회복시켜줄 수도 있어 좋습니다.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 : 피격 시 랜덤하게 무적 상태가 발동되는 스킬로 힐러들에게 있어 거의 필수적인 스킬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무적 상태는 약 8초 정도 지속되는데, 힐에 의한 회복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데미지를 전혀 안받습니다. 단, 스턴과 같은 디버프 상태에는 빠지니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킬의 발동이 자주 되는 편이라 안타라스의 동굴과 같이 난이도 높은 사냥터나 83레벨의 심연의 미궁,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매우 좋으며 80레벨이 되면 디바인 인챈터 변신을 통해 4가지 종류의 프로피시 스킬을 사용할 수 있어 좋습니다.

 

련아s님의 원문 보러가기

 

- 둠크라이어

법화님의 글에서 발췌

 

- 계열별 추천 서브 클래스

1. 워리어 계열 : 글라디에이터, 디스트로이어, 타이런트

글라디에이터는 두번째 추천 서브 클래스인 블레이드댄서와 장비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레벨업 속도도 빠른 편입니다. 디스트로이어의 경우 일반 격수 사냥은 물론 창 사냥도 가능하며, 타이런트 역시 장비 장만에 드는 비용이 저렴하며 사냥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인챈터 계열 : 블레이드댄서

워리어 계열의 글라디에이터를 선택했을 경우 장비를 공유할 수 있어 좋으며, 솔로 플레이는 물론 파티 사냥도 쉽게 할 수 있습니다.

 

3. 위저드 계열 : 소서러, 네크로맨서

소서러의 경우 둠크라이어의 장비를 공유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레벨업 속도도 빠릅니다. 네크로맨서 역시 장비 공유의 장점과 함께 80레벨까지 키울 경우 레이드 파티를 쉽게 다닐 수 있습니다.

 

- 65/70레벨 인증 스킬

최근 새로 리뉴얼된 사냥터들의 경우 마법을 사용하는 몬스터들이 많아졌으며,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위저드 계열을 상대하기 위해서 서브 - 매직 디펜스 비기너로 마법저항을 높이는 것을 추천합니다. 참고로 65/70레벨 인증 스킬은 여러개로 나눠서 배우기 보다는 한 가지만 몰아서 배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75레벨 인증 스킬

워리어 계열 : 파티 사냥 시 함께 공격을 해야하는 둠크라이어로서는 워리어 어빌리티 - 헤이스트를 배우면 좋으며, 솔로 플레이 시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랜드 올림피아드 또는 대규모 PvP를 많이 하시는 분이라면 워리어 어빌리티 - 헤이스트보다 워리어 어빌리티 - 부스트 CP로 최대 CP를 늘려주는 것이 더 좋습니다.

 

인챈터 계열 : 다른 서브 인증 스킬들에 비해 발동 확률이 그다지 높지는 않지만 인챈터 어빌리티 - 배리어를 배워두면 사냥은 물론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위저드 계열 : 그랜드 올림피아드에서 위저드를 상대하기 위해 위자드 어빌리티 - 안티 매직를 배워두면 유용할 수 있으며, 위저드 계열 인증 스킬에 특별하게 끌리는 것이 없다면 65/70레벨 스킬과 연계해서 공통 인증 스킬 중 하나인 서브 - 매지컬 디펜스 익스퍼트를 배우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법화님의 원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