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드온 오류를 확인하려면 Bugsack + Buggrabber가 필요하며,
아래 사진은 해당 애드온을 활용해서 오류보는 법 예시입니다.



질답게에서는 위 사진 형식을 통해서 어디가 터졌다고만 말해줄 뿐 , 직접적인 해결을 하려면 아래와 같이 

Lua프로그래밍을 배우고 

블리자드 api 소스들 다 뒤져봐야하며,

애드온 제작 방법을 알아내야하고,

또 애드온안의 애드온인 위크오라의 경우 조건문 작성까지 봐야하는거죠

이렇게 프로그래머가 아닌 이상 일반 유저가 할 수 있는 수단은 해당 애드온이 배포된 원출처 사이트 및 커뮤니티의 제작자에게 제보를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notepad++ 프로그램으로 lua파일 열어서 해당 n번째 줄에 나온 문단 맨 앞줄에 -- 기호를 넣어서 주석처리를 하면 해당 기능이 동작 안되게 할 수 있습니다. 
애드온 오류중에 '보호된 함수'로 표시되는건 블리자드에서 해당 영역의 api를 애드온으로 못 건들도록 락 걸어놓은거라고 보면됩니다.

대부분 애드온은 커스포지에서 배포되므로 원출처 웹페이지의 Comments 탭의 댓글로 제보를 남겨야하고(트위치 계정 필요)
Details , DBM , MDT , ELV 같은 메이저 급 애드온은 디스코드 서버도 운영하므로 General Chat이나 Bug Report 성격에 해당되는 채널에 직통으로 제보를 해줘야 개발자들이 다음 업뎃에 반영되게 할 수 있습니다.

TukUi / ElvUi 디스코드
Details / Plater nameplates / World Quest Tracker 디스코드 
https://discord.com/invite/AGSzAZX

MDT 디스코드 (Echo소속 프로게이머 Nnoggie)

WeakAuras 디스코드

Hekili 디스코드

디스코드로 직접 제보하는 사진

( 이 현상은 디테일즈 미터기 애드온내 폰트 경로가 영문폰트로 잡혀있어서 한글출력이 안된 오류이며, 와우에 영문클라용 폰트 FRIZQT__.ttf 설치로 해결되었습니다.)


위크오라 문자열에서 터진 경우, Wago.io 에서 배포된 문자열이라면  위크오라 편집모드 창의 정보탭에 있는 링크로 들어가서 아래 사진처럼 제보된 대체 링크 있는지 확인해보거나 직접 제보를 해줘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