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슬 탱킹을 하시려는 분들도 많아지고 이제 영던을 들어가시는 분들을 위해 이 글을 씁니다.

 

1. 진입 전 특성과 아이탬의 확인: 격변이후 트리가 변경되어 냉죽탱등등이 사라지고 무조건 혈기특성만이 탱특으로 변환

 

되었으니 탱킹을 하려는 사람은 혈기특으로 타준다. 혈기 31특 이후로는 자신의 입맛대로 찍는 것이 좋다. 국민 특성이란

 

것이 아직 검증 되지 않은 상황에서 냉기/부적쪽 특성은 입맛대로 찍는 것이 좋다.(예:리치혼/차단룬마력감소/발병력등)

 

인던에 진입 전에는 물약을 챙겨주는 것이 좋다. 물론 파티에 흑마가 있다면 생석을 받을 수도 있지만 언제나 흑마가 있을

 

지는 미지수이니, 포션 정도는 챙겨준다. 흡혈 이후 혈기 전환+포션(+생석)은 출렁이는 체력을 안정화 시키기 떄문.

 

2. 어글 잡기: 과거는 질병이 어글 수급의 1순위가 되었다면 현재는 룬의 일격이 어글 수급의 1순위 스킬이다. 룬의 일격

 

을 얼마나 빠르게, 많이 박는가에 따라 어글이 결정되기 때문에 탱커는 초반에 룬의 일격을 쓸수 있는 룬마력을 빠르게

 

모으는 것을 최우선적으로 한다. 보통 룬의 일격을 1~2격 정도 쓰면 초만 어글이 안정화 되기떄문에 그 후에 여러 질병

 

을 걸어 몹을 약화 시키는 것이 좋다. 죽부는 데미지는 약하지만 얻어지는 어글량은 높기에 광역탱킹이 아니더라도

 

초반 어글을 위해 깔아 주는 것이 좋다.

 

3. 생존: 죽기와 타 탱커의 차이를 들자면, 죽탱은 타 탱커에 보다 회피가 높거나(야드) 방패를 들거나(보기,전탱) 하는

 

것이 아니지만 많은 생존기와 자생력으로 생존을 한다. 뼈보,혈기전환,흡혈,얼인,죽요결,춤룬,사군,대마보,구울먹기등

 

많은 숫자의 생존기가 있으니 그것을 로테이션으로 돌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탱커들을 보면서 가장 안타까운 것이 생존

 

기를 너무 안쓴다는 것이다. 죽기의 생존기는 보통 1분~3분 사이고 사군만 10분이니 위급시에 무조건 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존기를 쓸 타이밍은 경험과 감으로 잡는 수박에 없다. 내 피가 반피 이하로 떨어졌을 때 돌리는 생존기는

 

힐러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물론 안쓰는 탱커보다야 낳지만 최고의 생존기 타이밍은 내가 아플때 쓰는 것이 아니라

 

내가 아플 것 같을 때 쓰는 것이다. 그러니 탱커들은 공략에 신경써서 언제 큰(아픈) 스킬이 오는지 알아두고 그 타이밍

 

에 적절한 생존기를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병을 유지하는 것도 생존에 도움이 된다. 얼음 손길로 발병되는

 

서리 역병은 몹의 공격 속도를 20% 감소시켜주며, 피소로 발생하는 핓빛 열병은 물리 데미지를 10% 감소 시켜준다.

 

강령술 일격은 시전을 30% 느리게 하니 위 스킬들은 어글이 모자라지 않는 타이밍에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 생존율을

 

높혀준다.

 

P.S 리치의 혼과 사군: 리치의 혼과 사군은 바로바로 쓸수 없는 생존기다. 따라서 상황을 봐서 써야한다. 리치의 혼의

 

경우 일단 룬마력이 풀로 차있어야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피가 출렁 거리는데 힐러의 마나가 얼마 남지

 

않았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다. 힐러의 마나가 슬슬 떨어진다고 판단했다면 룬의 일격을 쓰는 것을 최소화하고

 

룬마력을 모으고 사용하자. 사군의 경우도 마찬가지 룬이 각각 1개씩 필요하기 때문에 타이밍이 중요하다.

 

4. 메즈: 하나하나의 스킬이 아픈 영웅던전에서의 메즈는 중요하다. 죽탱은 진행하면서 자신이 메즈를 풀지 않도록 노력

 

해야한다. 피소,심강,죽부,전염병 등 죽기의 어글 스킬은 다중타겟을 바탕으로 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메즈를 풀 확률이

 

매우 높다. 따라서 죽탱을 풀링을 한후 무조건 몹을 뒤로 빼서 스킬 사거리를 계산하여 스킬을 사용해야한다. 심강이나

 

피소를 써야 하는데 메즈 몹이 가깝다면 피의 일격을 쓰고 하는 것은 죽탱의 기본이다.

 

5. 차단과 죽격: 죽탱의 생존은 룬마력과 관련이 있는데, 탱킹을 하면서 무조건 20의 룬마력은 내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정얼(차단)을 위한 것이다. 물론 근접클래스나 술사,법사가 있다면 조금은 안심해도 좋을수도 있지만

 

가장 좋은 것은 탱커 자신이 차단을 하는것이다. 그들이 무슨 상황일지 모르고(차단기술의 쿨타임,장판을 피하는 타이밍)

 

몹의 기술에 가장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것이 탱커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룬마력 20은 남겨두는 것이 좋다(물론 특성을

 

찍었다면 남발해도 좋다) 그리고 죽격을 사용시에 팁은 죽격을 남발하지 말라는 것이다. 죽격을 사용하면 특화력이란

 

것이 있어 피의 보호막이 생긴다. 보호막은 데미지를 줄여주기에 너무 남발하면 오히려 좋지않다. 흔히 말하면 죽격을

 

2번 연속으로 쓰지 말라는 것이다. 피의 보호막은 중첩되지 않으니까 말이다.

 

6. 진행: 탱커는 파티의 잠정적인 리더이며, 진행을 해야하는 사람이다. 그러니 많은 사람들이 부담을 느끼고 탱커를 하지

 

않는다. 탱커를 하려면 1순위로 공략에 빠삭해야한다. 어떤 몬스터가 어떤스킬을 쓰는지, 어떤 클래스가 어떤 스킬을

 

쓰는지 알아야한다. 그러니 탱커를 하기전에는 공략을 숙지해야하며, 클래스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있어야한다.

 

가기전에 공략을 읽어보는 것은 필수, 각 클래스의 메즈,차단기 정도는 알아놓고 가자.

 

진행을 위해 징표를 찍는 것도 연습해두자. 단축키 설정을 가면 징표를 찍을 수 있는 단축키가 있으니 그것을 사용해주면

 

된다. 몹을 잡는 도중에도 점사 징표는 계속해서 달아주는 것이 좋다. 그래야 딜러들이 엄한걸 안칠테니 말이다.

 

 

 

 

이상 개념 죽탱을 위한 기본적인 지침서입니다. 처음 탱킹을 하시려는 분들에게 바칩니다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