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글을 남깁니다.

요즘에도 역시 부죽딜에 대해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시길래 제 개인적인 경험에서 나온 팁 등을 공유할까 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과 경험에서 나온 팁이므로 ' 정답 '은 아닙니다. 참고만 하시어서 본인이 한번 더 생각하시어 본인에 손에 맞게 활용하시는게 딜에 더 이로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1. 질병 부스팅

 

생각보다 많은 부죽분들이 이걸 전혀 활용하지 않고 계십니다. 이것 하나만 제대로 활용하셔도 디피의 출렁거림도 줄고 디피도 많이 오릅니다. 우선 저는 질병부스팅을 유지하기 위해서 '클래스타이머' 와 '섹시쿨다운' 이라는 두가지 에드온을 사용합니다. 클래스 타이머는 옵션에서 자신이 보고자 하는 버프바를 따로 설정할 수 있고, 섹시쿨다운은 착효장신구의 내부쿨을 볼 수 있습니다. 에드온에 사용법에 대해서는 저도 기초적인 것밖에 모르기 때문에 생략하겠습니다.

클래스타이머를 사용해서 자신의 장신구 발동 여부를 보고, 섹시쿨다운으로 장신구의 내부쿨을 볼 수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위의 에드온 없이도 됩니다. 본인의 시야가 넓다면 말이죠.)

 

첫 딜사이클은 아래와 같이 들어갑니다.

 

얼손(역격) - 역격(얼손) - 스격 - 고격 - 혈기전환 - 스격 - 스격 - 가고일

 

고격부분 까지 딜사이클을 돌리시면 혈기룬이 1개가 남으시는 걸 보실 수 있으실겁니다. 그때 혈기전환을 사용해주시면 남은 혈기룬과 활성화 중이던 혈기룬 둘다 죽룬으로 활성화 되어 스격 2번을 날리실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딜사이클이 한 차례 진행이 되었다면 룬마력은 약 70정도가 있을 것이고 장신구의 발동여부도 정해졌을겁니다.

저 사이클이 도는 동안 장신구가 모두 터진다면 정말 좋겠지만 잘 안터지는 장신구들도 있습니다. 그럴 경우 다른 장신구가 터지길 기다리기 보다는 그냥 미련없이 가고일을 쓰시는걸 추천합니다. 가고일을 조금 더 기다릴 수도 있지만 전투시간과 룬의 유연성을 생각할 때 그냥 써주시는게 좀 더 편합니다.

 

가고일 이후 장신구가 모두 터진걸 확인하면 그때 돌발 열병을 넣어주시면 풀버프가 적용된 질병이 새로 리필이 됩니다.

즉 질병은 가고일 처럼 질병을 시전할시의 본체의 능력치가 적용되어 질병이 끝날때 까지 변하지 않고 데미지가 적용됩니다. 질병이 걸린 상태에서 장신구가 터졌다고해서 유동적으로 질병데미지가 올라갔다가 내려갔다가 하는게 아니라는 점이죠.

 

이 점을 생각해서 처음에 풀버프에 걸어준 질병을 최대한 오래 유지시켜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죽룬 2개를 고격에 쓴다던지의 행위는 손해입니다.) 룬 부패가 적당히 잘 터져주는 한도 내에서는 다름 장신구 쿨과 돌발열병 쿨이 올때까지 충분히 질병이 유지가 됩니다. 다음 질병을 리필할때는 역시 큼지막한 장신구가 발동이 되었을 때 질병을 리필해주시면 됩니다.

 

하지만 장신구의 내부쿨은 아직 돌아오려면 시간이 좀 남았는데 룬부패가 제대로 터지지 않아서 질병유지가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경우는 돌발열병을 넣지 말고 다시 얼손,역격으로 우선 질병을 유지해준 뒤 장신구가 터지는걸 확인하면 그때 돌발열병으로 다시 질병을 리필해주시면 됩니다.

 

 

 

 

2. 룬과 룬마력의 적절한 소비

 

패치 전에는 저도 몰랐던 죽게분들의 팁을 인해서 룬을 종류별로 1개씩 사용 한뒤에 죽고를 바로바로 사용해주는 룬 활용이 효율이 좋다는 평이었습니다. (ex. 고격-스격-죽고-고격-스격-죽고) 하지만 실전으로 들어가게 되면 대마보로 흡수되는 룬마력이라던지 여러가지 변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딜사이클을 계속 돌려주기에는 변수가 많지요. 이제는 룬부패가 중첩이 되기 때문에 죽고를 몰아친다고해서 손해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몰아치는 것이 더 좋다라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즉 어떻게 하는 것이 좋다 정의를 내려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상황에 따라 룬을 먼저 소비할지 죽고를 날려서 룬마력을 소비하고 룬부패를 발동시킬지의 대한 판단과 센스가 조금 더 중요하다고 보여집니다. 이건 직접 자신이 레이드를 하면서 느껴야 하는 부분이므로 ' 이렇게 하는 것이 좋다~ ' 정도 밖에 팁을 드리기 어렵네요.

 

 

 

 

3. 가고일

 

가고일에 대한 기본적인 팁은 기본적으로 다들 아신다는 가정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우선 누구나 알법도 하지만 많이 놓치고 있는 부분입니다. 네임드 중에서는 최대사거리(흔히 칼끝딜이라 부르는 거리)가 상당히 긴 네임드 들이 있습니다. (ex. 키마이론, 알아키르 등등) 이럴 경우 가고일을 뽑을때 주의하셔야 할 점은 최대사거리에서 가고일을 뽑아주셔야 가고일이 일반공격을 하지 않습니다. 가고일은 시전자의 10시방향에서 나오기 때문에 가고일이 일반공격을 하지 못하게 가고일을 뽑을땐 왼쪽으로 90도 이상 시야를 꺽어준뒤에 뽑아줘야 하는건 누구나 아실겁니다. 하지만 최대사거리긴 네임드에게 바짝 붙어서 가고일을 시야를 돌려서 뽑는다 하여도 그 네임드는 최대사거리가 긴 녀석이기 때문에 가고일이 일반공격을 섞어서 하게됩니다. 이제 이해가 되시나요? 가고일을 뽑을때 만큼은 최대 사거리로 벌려서 가고일을 최대한 떨어뜨려 줘야 가고일의 일격만을 사용하게 됩니다.

 

 

 

 

딜 고민을 많이 하시는 분들이 보여서 간단하게 팁을 남겨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개인적인 생각과 경험에서 나온 팁입니다. 정답이 아니므로 참고만 하시는게 좋습니다.

 

제가 놓치고 있는 부분이나 잘 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죽게분들 모두 해피딜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