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본스팩

 

    아래 빌드들은 모두가 공통적으로 선택할 특성들입니다. 다만 3개의 남은 포인트를 어디에 줄지는 당신에게 달렸습니다.

 


- DW(쌍수) 4/29+2/3

   당신이 찍을 특성은 거의 정해져 있습니다. 티어12에서 두가지 방향을 정할수 있습니다. 그 포인트를 당신이 가장

 

   유용하다고 생각되는 곳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두개의 쌍수특성(강철신경, 타사리안)을 찍는것이 쌍수무기로

 

   무장한 동안에는  얼어붙은 황무지의힘(양냉특성)을 쓰는것보다는 이득일 것이다. 절멸이 총대미지의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할 것이며, 냉기의 일격과 평타가 그뒤를 따를 것이다.

 

 

- 쌍수는 이제 부정형상을 취하게 됩니다.


    몇몇의 사람은 쌍수딜링이 부정형상을 취하는 것을 반기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알고있습니다. 

 

    이 것은 당신이 원하는 플레이스타일을 고수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DPS를

 

    최대화 하기위한 것임을 염두해 두시길바랍니다.

 

    특화도 중점형 냉기 형상딜링 빌드는 여전히 쌍수딜링에 있어서 실용적인 선택이긴하지만

 

    부정형상을 사용할때 보다 뒤떨어진다는 것입니다.

 

 

 

- 2H(양손) 4/29+2/3

 

   쌍수냉죽과 매우 비슷한 특성입니다. 티어 12에서 두가지 방향을 정할수 있는데 타사리안의 위협(쌍수특) 대신에

 

   얼어붙은 황무지의 힘(양냉특성)을 선택합니다. 냉기의 일격이 절멸과 비슷한 딜량 비율을 갖게 될것입니다.

 

   양손냉죽은 얼어붙은 황무지의 힘 특성에 의한 여분의 룬마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냉형을 취하는동안

 

   글쿨의 캡을 줄이기위해 부정형상을 취합니다. 여기서 얻어지는 이속증가와 추가 가속증가 또한 나쁘지 않습니다.

 

 

- 혈전연마 트리

 

[DW]쌍수 7/29+2/3
[2H]양손  7/29+2/3

 

  이 특성은 결과적으로 좀더 원활한 룬마력 생성과 도살기 상태에서 글쿨이 잠깐 비는상황(룬마력도 모자르고 절멸을 치기엔

 

  룬이 덜돌아온상황)에서 여분의 룬을 생성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하게 해줍니다. 그러나 발병력 트리 보다는 질병의

 

  유지시간이 짧게 됩니다. 고로 질병유지를 위해 돌발열병 후 돌발열병 쿨이 올때까지 피의 역병 유지를 위해 역격을

 

  사용해야 하며 공작분이 뜨지 않으면 냉룬을 작분에 소모해서 서리 열병을 유지해야합니다. 이 빌드에서는 질병관리가

 

  더 까다로울 것이며, 특히 멀티타겟에서는 질병이 떨어질 확률이 큽니다. 혈전 연마 특성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죽룬버그를 몸에 익혀야 할 것입니다.

 

 

- 유행성병균 트리

 

[DW]쌍수 4/29+2/6
[2H]양손 4/29+2/6

 

  더이상 이 특성은 돌발열병의 쿨(1분) 동안 피의 열병 유지를 위한 역격을 1분에 한번씩만 쓰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추가의 12초동안 타겟전환을 하고 다시 돌아오는(넴드치다가 타겟변경해서 다른 일을 해야할때) 일을 좀더

 

  자유롭게 해줄 것입니다. 보통, 이 특성은 질병유지를 좀더 안정적으로 하게 해주지만 글쿨이 비는 상황(위에서 설명)이

 

  좀더 자주 올것입니다. 이 특성은 혈전 연마 특성보다 더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타겟 변환이 많은 상황에서

 

  더 좋을 것입니다.

 

 

 

 

 

 

 

이상 잠결발번역을 마칩니다. -_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