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모드 공략 이므로, 일반모드의 공략은 링크로 대체합니다.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2081&query=view&p=1&my=&category=&sort=PID&orderby=&where=&name=subject&subject=&content=&keyword=%C5%B0%B8%B6&sterm=&iskin=&l=1395

 

1. 일반 모드와의 차이점. 각 차이점의 의미.

 키마이론 하드 모드는 할푸스 다음으로 꼽힐 정도로 쉬운 난이도를 자랑합니다.

 게다가, 그나마 구성빨을 적게 타는 네임드이므로, 어느 정도의 구성만 된다면 손쉽게 공략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일반 모드와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키마이론의 반목 페이즈에도 탱커에게 평타와 이중 공격을 사용합니다.

 (2) 2페이즈(22%이하)에서 모든 공대원에게 초당 2천 가량의 암흑 데미지를 줍니다.

 

 (1)의 변화로 인하여, 탱커의 교대에 더욱 신경쓰도록 되었습니다. 일단, 반목 때에는 피1 생존 버프가 걸려있지 않으므로, 최대한 디법이 없는 탱커가 탱을 해야하므로, 탱커의 로테이션을 제대로 짜야 합니다. 탱커 로테이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 따로 설명을 하겠습니다.

 (2)의 변화로 인하여, 2페이즈로 넘어가는 타이밍이 공략의 성패를 좌우하게 됩니다. 만약, 대학살 직후에 페이즈를 넘겨버리면, 공격대는 순식간에 전멸하게 됩니다.

 

 

2. 탱커 로테이션 구성.

 탱커 로테이션을 구성할 때, 아래 내용을 반드시 유의하셔야 합니다.

 1) 반목 탱커가 디법 없이 탱킹을 할 수 있을 것인가.

 2) 반목 탱커가 생존기를 킨 상태에서 이중 공격을 맞을 수 있을 것인가.

 

 일단 1번을 신경쓰기 위하여, 디법 중첩에 대하여 알아 봅시다.

 키마이론의 평타탱을 하게 되면, '깨부수기'라는 디법이 걸립니다. 이 디법은 '받는 데미지 25% 증가'와 '받는 치유량 15% 감소'의 효과를 가지며, 최대 4번까지 중첩되고, 1분간 지속됩니다. 4중첩이 되면, 받는 데미지 100% 증가 및 받는 치유량 60% 감소가 되므로, 혹여나 중첩이 많이 쌓인 상태에서 반목 탱을 하게 되면, 거의 생존이 불가능한 수준이 됩니다.

 일단, 반목이 오기 전의 평타 탱을 하게 되면, 무조건 4중첩이 되기 때문에 평타 탱커는 반목 탱을 할 수 없습니다. 다만, 이중 공격은 맞아도 디법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이중 공격탱은 바로 반목 탱으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드 모드에서는 반목 중에도 평타 공격 및 이중 공격을 하기 때문에, 반목 탱커도 디법이 중첩됩니다. 반목 중에는 이중 공격을 한번만 쓰게 되는데, 디법 없이 반목 탱커를 시작하였다면, 이중 공격 전에 1중첩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1중첩 상태에서 이중 공격을 받으므로, 생존기가 없다면 만피 상태에서도 끔살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저희 팀의 경우에는 전탱/보기/죽딜을 아래와 같이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대보/회기로 이중 탱을 살리는 전략이나, 보이드로 이중 공격탱하는 방법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전투 시작(괄호안은 깨부수기 중첩입니다) =>

 죽딜 평타탱 / 보기 이중 공격탱 -> 1 반목 보기 탱    (죽딜4/보기2/전탱0)

 죽딜 평타탱 / 전탱 이중 공격탱 -> 2 반목 전사 탱    (죽딜4/보기0/전탱2)

 죽딜 평타탱 / 보기 이중 공격탱 -> 3 반목 보기 탱    (죽딜4/보기2/전탱0)

 죽딜 평타탱 / 전탱 이중 공격탱 -> 4 반목 전사 탱    (죽딜4/보기0/전탱2)

 

 이런 식으로 구성하게 되면, 이중 공격탱을 할 때에도 중첩 없이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반목탱 시작시에도 중첩 없이 진입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반목탱은 반드시 2분 쿨의 생존기 및 장신구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

 도발 가능한 딜러(죽딜/야드/징기)가 없는 경우는 난이도가 급증하리라 판단됩니다. 정격킨 신기를 투입하거나... 보이드를 평타탱으로 보내거나, 위의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디법을 달고 반목탱을 하는 방법을 고민하셔야할 듯 합니다.

 

 

3. 페이즈 전환 타이밍

 페이즈 전환은 키마이론 생명력 22% 때 이루어 지며, 이 순간 부터 "치명상"이라는 디법이 걸리면서 치유량이 99% 감소하므로, 힐이 불가능 하고, 초당 2천 가량의 암흑 데미지를 받게 됩니다. 따라서, 최대한 피를 많이 채워놓은 상태에서 페이즈 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가장 유의해야할 것이 '대학살' 직후에 페이즈 변환이 이루어지면 힘들다는 겁니다.

 반목 중이든 아니든, 무조건 '대학살' 이후에 15초 동안은 '부식성 진흙'과 '이중 공격'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타이밍이 페이즈를 넘기기 가장 좋은 시간입니다. 키마이론 생명력을 25퍼 정도에 맞추고 대학살을 기다리십시오. 대학살을 시전하면, 빠르게 한점에 모이시고, 블러드 + 빡힐 + 빡딜을 하시면, 아마 대부분이 만피 근처가 되는 타이밍에서 페이즈 전환이 이루어질 겁니다. 만약, 15초 안에 페이즈를 못넘겨서 부식성 진흙을 사용하게 되더라도, 그냥 모여서 진흙맞고, 힐해서 채우는 것이 더 좋습니다.

 탱커의 로테이션은 페이즈 전환과 관계 없이 평소와 같이 유지하는 것이 더 좋을 겁니다.

 

 

4. 사용하면 좋은 팁

 1) 대학살은 '물리 데미지' 입니다. 즉, 보축 사용 시 데미지가 들어오지 않습니다. 반목 중 첫 평타에 반목 탱의 생명력 회복이 늦어 급사가 나는 경우가 매우 많으므로, 보축을 잘 사용해주시면 매우 좋습니다.

 저희 팀의 경우, 보기/전사가 반목 탱을 2회씩 하기 때문에, 보기는 무적으로 한번, 셀프보축으로 한번 반목 직전 대학살을 씹고, 첫 전사 반목 탱시 보기 신축, 두 번째 전사 반목 탱시 신기 신축을 사용해서 만피를 바로바로 채워줍니다. (동영상은 첫 킬때 영상이라 보축 사용을 안했습니다.)

 2) 대학살 이후 15초 간은 무조건 부식성 진흙 및 이중 공격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 타이밍이 붕대질 하기 가장 좋은 시간입니다. 특히, 이중 공격탱의 경우 반목이 끝나고 15초 간은 완전 자유 상태이니, 8초 짜리 붕대를 풀로 감아주시면, 혼자서 4만 정도 생명력을 회복하실 수 있습니다.(자힐되는 탱커는 자힐해도 됩니다.)

 3) 2페이즈에서 힐은 안되지만, 보막은 잘됩니다. 따라서, 사제는 반드시 보막 난사를 해주시면 좋습니다.

 4) 반목 중에 페이즈를 넘겨버리면, 반목이 끝나는 타이밍이 되어서야 로봇이 활성화 됩니다. 즉, 평타 1방 버티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왠만하면 반목 중에는 안넘기는게 좋습니다.

 5) 2페이즈에서 신기는 딱히 쓸모가 없어집니다. 따라서, 마지막 대학살 즈음에 신기가 도발 한번 땡겨서 어글 복사 해주시면, 2페이즈 때 평타 한방을 미리 맞고 미리 사망해주실 수 있습니다.

 6) 평타 탱을 한 도발 가능한 딜러는 선빵맞고 죽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영석 주고 일으켜서 다시 딜시켜도 좋습니다.

 7) 일반에서도 나온 팁이긴 합니다만, 2페이즈에 키마이론이 법사를 볼 때 환영을 켜주시면, 환영을 하나하나 다 죽이고 나서야 법사한테 옵니다. 킹왕짱입니다.

 

 

 혹시 잘못된 점이 있으시면 지적해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화이팅이염~~

 

 

< 키마이론 10하드 공략 동영상 >

- 첫 킬 때 영상이라 약간 허접합니다. 완방신 다 뚫리고, 최저도 못키고  ㅜㅠ.. 양해해주세용~~


 

 

 

https://www.youtube.com/watch?v=qNx0qVAWK7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