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의 첨언.

7월 4일 월요일날 저희 공대가 불의땅 처음 발디딜 때 사용한 공략입니다.

목요일날 패치가 되었지만 대부분의 공대원들이 불의땅 레이드를 거의 참여하지 못한상태였고,

다른캐릭으로 갔을 때, 라이올리스 드리블에서 발 드리블때문에 많이 고생하는것을 봤었기때문에, 좀 편하게 가보려고 딜러를 배정한 것입니다.

 

최근 패치로 발을 회전시키기가 쉬워졌고, 또 라이올리스의 화산 생성위치도 비교적 밟기 편한곳으로 생성이 되도록 패치가 되어서 큰 효용이 없을지도 모르지만, 여러 막공들을 돌리게 될경우를 생각해서 짜놓은 틱입니다.

 

공략의 핵심이라고 한다면, 라이올리스의 발딜을 최대화 시켜서 최대한 딜로스가 없이 빠르게 2페이즈를 보는 공략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첫날은 다른 공대와 비슷하게 드리블쪽에서 약간 미숙한 관계로 8트정도 했으며, 이번주트라이는 1트에 잡았습니다.

 

 

아래 내용들을 보면서 공략에서 약간 공장의 조절능력(?)을 본다면,

 

현재 공략상에는 중립 - 1단 - 2단 -3단 - 급회전이 있습니다만.. 패치전에 적용해봤을때도, 3단을 쓰는 일은 거의 없었습니다.

또한 각 딜러들의 딜량이 다른관계로, 아래 예를 든 1단 2단 3단의 배치는 딜러들의 딜 편중도를 조절하기 위한 옵션일 뿐.

오피서는 라이올리스의 발이 꺾이는 정도를 체크해서 1단 - 2단 - 3단이 각각의 게이지에 어느정도 영향을 주는지 빠르게 체크해야할 것같습니다.

 

 

* 마지막으로,

운전해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우회전을 한다고 할 때에, 차가 오른쪽으로 다 꺾인다음 핸들을 풀지 않고, 오른쪽으로 어느정도 꺾이면서 진행방향이 보일 무렵부터 핸들을 푸는것을 아실겁니다.

운전면허시험처럼 정지를 해서 핸들을 이빠이 감고, 어느정도 돌아가면 거기서 정지해서 핸들 모도시해서 진행하는 그런식이 아니고, 평소 이동하던식으로 진행을 해야하기때문에 머리가 돌아가고있다... 라고 느낄무렵부터 모도시를 해주는것은 전적으로 오피서의 능력입니다.

 

계속 오른발 오른발 하다가.. 어.. 너무꺾였네.. ㅡ.ㅡ 이건 100%공장미스입니다. 또, 공대원들은 이럴경우 자기가 알아서 쎈스딜한다고 반대발쳐서 조절하는데, 계속 이러면 공대장은 자기가 잘못한거 모릅니다. 라이올리스때만은 공장지시에 100%따르기로 합시다.

 

 

 

 

-----------------------------------------------------------------------------------

10인용 가이드로 6명의 딜러를 각각 ABCDEF로 배정했습니다. 25인으로 확장할 경우는 2-3명의 플레이어를 묶어서 A조 B조 등으로 조절하는것으로 확장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기본설명.

 

라이올리스는 1페이즈때, 오른발과 왼발만 딜을 해서 25%까지만들어서 2페이즈를 갑니다.

기본적으로 방어도 감소 80%디버프가 걸려있고, 활화산을 밟을때마다 방어구가 10%씩 녹습니다.

활화산이 있으면, 지속적으로 전 공대원에게 화염데미지 증가 디버프를 겁니다. 활화산은 최대한 빨리 없애합니다. 라이올리스가 화산을 밟으면 사라집니다. 또, 라이올리스가 활화산을 밟으면 용암이 흘러나오는데, 밟으면 아픕니다.

 

만일 라이올리스가 맵 가장자리의 용암을 밟으면 전멸입니다. ㅡ.ㅡ

 

--

라이올리스는 주기적으로 작은 쫄 5마리를 소환합니다. 피통이 15만정도 하는 몹인데, 시야를 가리는 지저분한 몹입니다.

탱커가 어글을 확실히 먹은 후, 처리해도 충분합니다. (딜 좋은 야탱의 경우는 야탱+냥꾼만으로도 클리어가 가능합니다.

 

주기적으로 중간크기의 쫄을 소환합니다. 피통이 약간 있으며 계속 불방구를 뀝니다. 본진에서 이격해서 처리해야하고, 활화산 디버프가 있을경우 탱커가 매우 아프니 최대한 빠르게 처리하도록 합니다.

--

라이올리스는 직전을 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때 오른발이건 왼발이건 막 때리면 그쪽발이 아파서 그쪽으로 걸음을 조금밖에 못걷게 되어서 방향이 그쪽으로 틀어집니다.

 

공략의 핵심은 라이올리스의 움직임을 조종해서,  활화산을 밟아 없앰으로, 라이올리스의 방어도를 하락시키고, 플레이어의 중첩을 없애면서 25%를 만드는 것입니다.

--

 

운전자의 역량이 굉장히 필요한 반면, 실제로 운전을 하도록 조종하는것은 공대원입니다.

개념없이 아무거나 딜을 하면 거지꼴을 면할수 없습니다.

실제로 많은 막공의 경우, 운전자가 회전을 얘기하지만 원하는대로 잘 돌지도 않고, 또 어떤때에는 너무 심하게 도는 일도 많이 존재합니다.

그런관계로, 약간 고정적이고 전형적인 틱을 짰습니다.

1맨탱과 3힐 나머지 6딜러가 되는데, 이 딜러를 ABCDEF라고 정합니다.

 

* 우회전으로 돌립니다.

 

기본적인 단계설명.

 

기본 - 직진을 하도록 합니다. 물론 딜을 놓고있으면 되지만, 결과적으로 딜로스가 되기때문에 양쪽에 3명씩 딜을 하도록 합니다.

1단기어 - 오른쪽 딜러가 왼쪽 딜러보다 1명이 많습니다. 굉장히 천천히 큰 원을 그리며 오른쪽으로 돌것입니다.

2단기어 - 오른쪽 딜러가 왼쪽 딜러보다 2명이 많습니다. 중간정도의 원을 그립니다.

3단기어 - 오른쪽 딜러가 왼쪽 딜러보다 3명이 많습니다. 굉장히 빠른 원을 그립니다.

급회전 - 있을수 없는 경우이지만 오른쪽딜러가 왼쪽딜러보다 4-6명 많습니다.

역회전 - 이 경우도 크게 존재하지는 않지만, 3단에서 2단 1단으로 순차적으로 내리지 않고 3단에서 1단으로 급하게 풀어야할떄 사용합니다.

 

가급적 딜러가 해야할 일을 2가지 이내로 요약했기때문에 딜러들이 어리버리하는 경우가 거의 존재하지 않음으로 공략진행에 조금더 도움이 될거라고 판단됨.

 

각각의 딜러의 역할,

ABC 오른발 조.

DEF 왼발조.

표는 추가로 첨부하겠음.

 

각각의 딜러 구성은, AD는 거의 지속적으로 발을 딜하기때문에, 근접딜러 추천.

 

CF는 계속 타겟팅 변경을 해서 딜을 확실히 빼야하므로 가급적 도트딜이 없는 사냥꾼,법사 추천.

또한 둘중 F가 쫄딜을 가장 많이 하게되므로, 눈속등이 가능한 사냥꾼이 F로 가는것이 유리하다고 판단.

 

BE의 딜 밸런스가 중요.

우회전 위주로 딜을 하며, 고단기어일수록 조종이 힘들어지는 것을 감안, E플레이어의 경우 도트딜러중에서도 바로 도트해제가 가능한 암사를 E에 추천. B 흑마,정술,조드 등.

 

 

 

 

- 첨부된 그림의 설명. (여기는 존칭이 생략되었습니다)

 

1번그림. 라이올리스는 전체적으로 전진을 하되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셋팅을 했다.

위의 1번 그림상황에서 라이올리스가 구역의 바깥쪽으로 이동을 하는데, 용암이 위의 그림처럼 3군데(중 하나)에 생성이 되었다고 봤을 때, 1번의 경우 "기어를 낮춰서" 회전반경을 크게한 뒤, 급하게 3단기어로 변경하는 방식으로 먹을 수 있다.

하지만 2번과 3번의 경우는 용암을 밟기위해 좌회전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용암을 먹은 후, 링아웃을 하지 않도록 하려면 혼신의 딜로 "도박"을 해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포기하도록 한다.

단, 3번의 경우, 공대 전체적으로 우회전을 포기하고 좌회전 모드로 돌리면 먹을 수 있음에 유의하고, 공대원들이 위의 표를 반대로 쉽게 적응 할 수 있다면, 판단에 따라 게임모드를 좌회전 모드로 변경하는것도 나쁘지 않다.

일반적인 우회전모드로 2번이나 3번을 밟으려고 한다면 다음의 방식이 좋다. 즉, 현재상황에서 빠르게 (fast단계)회전을 시켜서 U턴을 시킨후 녹색점선의 이동경로를 돌도록 하여 2단정도의 반경으로  완만하게 용암을 먹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중요한것은 라이올리스의 회전방향을 돌리는 것은 "상당히"어렵다는 것을 인식하도록 해야한다. 정 어쩔수 없는 경우는 회전을 해야겠지만, 원하는 만큼 돌지 않는다는것을 파악하는 것도 운전자의 판단능력 여하에 달려있다.

 

 

2번그림. 운전자의 대처능력에 대한 것, 라이올리스가 검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고있을 때, 라이올리스는 우측으로 돌려는 경향이 있으므로(몹이 그렇다는 것이 아님. 이 공략에서 그렇다는 것임) 전방을 기준(파란점선)으로 녹색이 위치는 충분히 룻팅이 가능하나, 빨간 ? 지점은 먹을수 있을지 없을지가 굉장히 애매한 곳이다. 아까부터 이것을 먹으려고 이동했었다면, 조금더 큰 원으로 돌리는 방법을 택했어야 했다. 즉, 라이올리스가 지금 12시지점을 보고 이동을 하는것이 아닌, 10시~11시정도를 보도록 30초전에 기어를 낮췄어야했다.

 

 

3,4번그림. 출발지점이 비슷하다는 전제하에서 (비교적)바람직한 룻팅 예와 그러지 못한 룻팅 예를 들었다.

 

파란색 점선 :

1번에서 설명한 내용이 바로 3번 그림에서의 파란 점선 부분이 될것이다.

이미 라이올리스는 방향이 틀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화산을 밟으려면 3번과 같이 하는것이 맞다. 물론 그런상황이 생기지 않도록 파란색 시작지점 20초전에 미리 기어를 낮게 조절해 놨어야했다. 이미 상황이 벌어진 후의 바람직한 대처방법은 파란색점선이 맞다.

 

주황색 점선 :

 

이런 경우가 사실은 제일 애매하다. 왼쪽으로 꺾으면 확실히 먹고,  3번에서 보여주는 경로로 이동이 가능할것이라 운전자는 판단한다. 하지만 이것만은 확실히 인지하자. 마이크를 들고있는 당신은 핸들을 쥐고있지 않다는 것을!!!

당신은 그냥 조수석에서 이렇게 하세요~ 라고 알려주는 운전학원의 강사님일 뿐이다.

 

즉, 당신은 오른족 그림에서처럼 미리 살짝 위로 꺾었다가, 자연스럽게 룻팅하는 상황을 연상해서 말을 하겠지만, 실제 라이올리스는 당신과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4번그림에서 링아웃하려는 라이올리스 그림 참조.

 

나머지 3개의 그림은 부드럽게 자연스럽게 화산을 밟고 지나가느냐? 아님 화산만 보고 미친듯이 달린 후 밟고나서 급하게 드래프트(??)를 할것이냐에 대한 선택그림이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당신은 그냥 옆자리에 앉은 강사일 뿐이다. 당신이 드래프트하고싶다고 바로 드래프트가 되지 않는다. 목소리만 커질뿐이다.

 

** 굳이 운전에 대해서 설명하자면, "저 큰신호등 지나서 나오는 횡단보도 지나서 우회전 하면 된다." 라고 미리 알려주는거랑, 갑자기 "여기서 우회전!!"이라고 하는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반응이 빠른 사람도 있겠지만, 라이올리스라는 차는 6명이 운전한다는 것을 명심하자.

 

 

* 우리공대의 상황은 종료됐지만, 구성이 다른 경우등을 대비했을 때,

 

일단 AD    BE     CF  는 가급적 디피가 비슷한 딜러들로 구성해서 밸런스를 조절. 딜 밸런스가 잘 맞지 않을 경우는

상대적으로 딜이 좋지 않은 플레이어를 AB에넣고, 딜이 좋은 딜러를 C에 넣는 방향으로 밸런스를 잡도록 함.

 

- 생각보다 회전이 잘될 경우는 ABC의 딜이 좋은것이며, 회전이 잘 안될경우는 ABC의 딜이 좋지 않은 것이다. 이때 딜러들의 조합은 위와같은 방법으로 한다. 각각의 ABC의 딜순위는 C-A-B 순서가 조음. (셋중에서만)

 

 

 

 

 

 

 

마치며,

 

베스틸락, 샤.. 뭐냐 그거... 걔들을 1-2트만에 잡은 공대가 가도 8트이상, 베스틸락에서 딜이 아슬아슬한 공대가 가도 8트이상..

라이올리스라는 몹은 "딜"보다는 "공략"으로 잡는 몹임을 느낄수 있었음.

라이올리스를 잡기 위해서는 딜을 한대라도 더 치는것보다, 누구에게 정확하게 치느냐가 중요한 몹이라고 생각됨.

 

급하게 왼쪽발을 딜해야하는 상황에서, 오른발 한대만 더 치고 돌려야지~ 라고 하면, 나 때문에 왼발을 치고있는 1명의 공대원의 딜이 무시(?)되는 즉, 내가 제로썸을 만드는 주범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한다고 생각됨.

 

물론 오피서의 무능함(?)때문에 타겟 변경이 잘 안되서 그렇다는 변명을 할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단지 변명일 뿐.

 

어떻게 하면, 마이크와 딜이 싱크로격차가 적어질까 생각을 하고 하고 하다가 판단한 결과는 딜러들이 딜을 단순하게 하도록 하자.

왼발쳤다 오른발쳤다가.. 너무 신경쓰여서 실수로 딴거치고 있으면 참 정신이 없으니.. 그렇다면 이렇게 하자..

왼발(오른발)을 주시대상 걸어놓고, 쫄잡고나면 바로 주시대상 잡아서 딜을 하도록 하자..

 

이 공략을 쓰게 된 이유입니다.

 

 

 

추신. 80%뎀감 상태이 몹이니, 나중에 하드모드에서 딜이 부족한 경우가 아니라면, 멀티도트따위는 잠시 잊고 점사에 주력하도록 합시다.

 

 

 

 

 

 

 

진짜 마지막 바램. 오늘 (7월4일) 우리공대에서 써보고 2-3트안에 잡으면 공략에 올릴 생각인데, 4.2공략 내내 오피서들이 "1단기어 유지해주세요... 아!! 3단!!!... 좋네요 천천히 다운시키죠 평소모드로 갑시다."라고 얘기한다면.. 공략을 올린입장에서는 정말 즐거울것 같다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