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Damage Dealer : 딜러(무분)

 

 

성 : 특성은 어디까지나 자기가 원하고 연구하는 결과에 따라 다릅니다.

 

직면하는 네임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완벽하게 정의 될 수 있는 특성은 없습니다.

 

저의 개인적은 특성의 예는 이러합니다. .

 

 

 

 

 

 

상급 문양에서 문양 필사의 일격문양 : 제압은 고정 이며 상황에 따라 문양 : 격돌 문양 : 칼날폭풍 으로 바꾸시면서 사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예를들어 용영을 기준으로 잡으면 울트라 네임드를 할 때는 단일 이기 때문에 격돌의 문양이 좋으며

광기 네임드를 할 때는 광역 처리를 요구하는 네임드 이므로 상대적으로 칼날폭풍의 문양이 좋습니다.

 

주 문양에서 문양 : 거인의 강타와 문양 : 휩쓸기 일격은 고정이며 취향에 따라 문양 : 방어구 가르기 문양 : 회전베기로 바꾸셔도 됩니다.

 

※여러분이 어떤 문양이 무슨 효과를 발휘하는가를 톨팁을 통해서 알아보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문양을 선택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연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따라하는 것보다 더 재미가 있습니다(__)

 

 

Setting

 

적중 8% , 숙련 26

 

위의 수치는 만적 만숙입니다.  무분에게 있어 불변의 진리와 같은 수치입니다. 만적과 만숙을 맞추신 다음에 나머지 능력치를 맞추어야 기본적인 무분 딜링을 할 수 있습니다.

 

 

력치 선호도

 

힘 > 치명타 >> 특화 > 가속

 

1. 보석 셋팅은 붉은 색은 힘노란 색은 힘 + 치타 , 푸른 색은 힘 + 적중(만적일 때 힘보석) 으로 깔맞춤을 하시면

 

습니다. 만약 보너스 능력치가 가속이나 특화 일 경우라면 굳이 깔맞춤보다는 힘 보석을 다 넣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보너스 능력치가 힘이나 치명타라고 하면 깔맞춤을 권해드립니다.

 

2. 재연마는 만적 만숙후에 모든 가속과 특화의 재연마를 치명타로 돌리시면 됩니다.

 

3. 만적과 만숙인 상태에서 아이템의 보너스 능력치가 치명타 + 가속 인 경우라면  가속을 특화로 재연마를 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adfasdfasf님의 제안점)

 

 

 

장신구 선택

 

장신구 선택의 기준은 능력치 선호도와 동일합니다. 힘 위주의 장신구와 발동 효과 내지 착용 효과 그리고 사용효과가 치명타를 올려주는지 면밀히 분석을 하십시오. 용영에서 주는 '뼈고리 우상 장신구'는 예외적으로 굉장히 좋습니다.

 

 

 

◇ 무기의 선택

 

현존하는 최강 무기는 "굴타라크 - 심연의 목소리" 입니다.

 

나머지 무기에서는 보너스 능력치가 치명타인 것을 추천 해드립니다.

 

 

PVE 무분 딜러를 하는 방법 - 딜링 가이드

 

A 준비사항

 

1. 무분에게 있어서 좋은 애드온 [4.3] EventAlertMod (링크)

 

[4.3] EventAlertMod 이 애드온은

 

자신에게 일어난 버프 상태를 보여주는 애드온입니다.

 

이를테면 "촉발"(10초안에 다음 영웅의 일격을 100%의 확율로 치명타로 치는 스킬)이라는 스킬이 사용하게 된 경우

버프창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지만 많은 버프로 인해 확인하기 힘들 때 쓸 수 있는 좋은 애드온입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이런 식으로 자신에게 일어난 버프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피의 맛이 남은 시간 , 학살의 3중첩 , 촉발 , 격노 , 분쇄가 남은 시간 등을 확인하므로

전사의 딜링을 돕는 매우 좋은 애드온입니다.

 

 

2. 태세 변경 딜과 관련해서 매크로

무분은 기본적으로 전투 태세에서 딜링을 했습니다. 하지만 4.3 패치이후로 딜링 전사의 너프로 인해

 

많은 분들이 연구한 것이 바로 무분의 태세 변경 딜 입니다.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 매크로인데

 

우선 매크로를 만들어보겠습니다.

#showtooltip 필사의 일격

/오라취소 칼날폭풍

/시전 광폭 태세
/시전 필사의 일격

#showtooltip 돌진

/오라취소 칼날폭풍

/시전 전투 태세
/시전 돌진

#showtooltip 제압

/오라취소 칼날폭풍
/시전 전투 태세
/시전 제압

 

이 매크로의 사용하는데 있어 중요한 점은 두번 눌러줘야 합니다.

 

일단 태세를 변경하게 된다면 변경된 태세에서 사용가능한 스킬을 한번의 클릭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태세 변경 매크로를 두번 눌러줘야 합니다.

 

예를들어)

광폭 태세에서 필격을 넣고 있다가 피의 맛으로 인해 제압 이 활성화가 되었을 때 앞서 설명한 제압 매크로를 두번 눌줘야 제압이 나가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투 태세로 변경하게 되고 그런 다음에 제압이 나가게 되는 것이지요>

 

 

 

 

 

PVE 무분 딜러를 하는 방법 - 딜링 가이드

 

B Cycle

 

개인적인 싸이클은 이렇습니다.

 

전투의 외침 -> 돌진 -> 분쇄 -> 거인의 강타 -> 필사의 일격 ->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 -> 제압 -> 영웅의 일격 -> 필사의 일격 -> (촉발이 활성화)영웅의 일격 (촉발이 비활성화)격돌 -> 필사의 일격

 

B

전투의 외침 -> 돌진 -> 분쇄 -> 거인의 강타 -> 필사의 일격 -> 격돌 -> 격돌 -> 제압 -> 필사의 일격 -> 격돌 -> 필사의 일격  -(비오는날술채봐님의 추가의견)

 

 

 

※ 녹색으로 표시된 점은 '거인의 강타(방어도 무시)' 효과 해택을 누리는 시점 입니다.

 

영웅의 일격은 분노가 70이상 일 때 그리고 촉발(10초동안 다음의 영웅의 일격이 치명타로 들어가는 스킬)이 활성화가 되었을 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영웅의 일격을 남발해서 사용한다면 분노가 없습니다.

 

※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을 넣으면 다시 제압이 뜨는 이유 : '피의 맛'이 활성화 되는 시간이 9초 입니다. 활성화 되었을 떄 제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피의 맛의 활성화 되는 시점에서 제압은 5초마다 한번씩 발동합니다. 4초가 되는 시점(9초에서 5초가 지난 시간)에 제압을 넣습니다. 이렇게 넣은 제압은 5초가 흘러간 이전 1번 제압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5초가 지났기 때문입니다. 2번째 재압이 뜨는 것입니다.

 

※ 제압 2연타를 넣는 이유 : 거인의 강타를 넣으면 대상의 방어도를 6초 동안 무시한 상태로 데미지를 넣을 수 있습니다. 6초 안에 넣을 수 있는 스킬은 한정적이지만 가장 크게 넣을 수 있는 것이 바로

필격과 제압입니다. 그러므로 필격을 넣고 제압을 2연타로 구겨 넣는다면 거인의 강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압을 2연타로 넣게 됩니다.

 

 

태세변경 딜과 관련된 사항들

 

태세 변경 딜에서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이 분노 수급이 어렵지 않을까 라고 걱정하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분무에 비해서 무분은 상대적으로 분노가 크게 모지라지 않습니다.

 

무분 특성 중에 전술 숙련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태세 변경 딜을 생각하신다면 이 특성에다가 2포를 투자합니다. 2포를 투자하게 된다면 태세 변경을 하더라도 추가적으로 50의 분노가 유지 됩니다.

그래서 전사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25의 분노 유지와 합을 하게 된다면 75의 분노가 유지 됩니다.

 

무분의 주력 스킬을 보면 필사의 일격(20분노) , 제압(5분노) , 거인의 강타(20분노) , 격돌(15분노) 입니다.

또한 무분의 특성 중에 피의 광란 이라는 특성도 유의 할 수 있는데 이 특성은 자동 공격의 10% 확율로 분노를 20정도 추가적으로 채워줍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영웅의 일격(30분노)를 남발하지 않는 이상 결코 태세 변경으로 인해서 분노가 스킬을 쓰지 못할 정도로 모지라지 않다는 것입니다.

 

무분을 위한 태세변경딜의 자세한 점(클릭하세요) by_Lexusz

 

 

PVE 무분 딜러를 하는 방법 - 딜링 가이드

 

 

C 쿨기 = 필살기!!

 

전사의 쿨기 즉 필살기는 총 3가지가 있습니다. 무모한 희생 , 내면의 분노 , 죽음의 침묵 입니다.

 

 

무모한 희생 (5분의 재사용시간) 12초 동안 특수 공격의 치명타율을 50% 만큼 올려줍니다.

 

 

죽음의 침묵 (2분의 재사용시간) 10초 동안 모든 스킬을 분노 소모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분노수급은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활성화 되어 있을 때에는 내면의 분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내면의 분노 (30초의 재사용시간) 15초 동안 영웅의 일격과 회전 베기의 재사용 시간을 50%만큼 단축 시켜줍니다. - 활성화 되어 있을 때에는 죽음의 침묵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모한 희생 을 사용하는 요령

 

 네임드의 전체적인 시간을 파악한다.

 

A. 네임드가 5분 이내로 잡을 수 있는 네임드라면 마무리 일격 타임(네임드의 피가 20% 미만인 시점)때 사용해야합니다.

ㄴ네임드의 피가 21%~20%가 되는 시점에 '필격'만 사용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마무리 일격 타임 때  분노가'90-100'으로 유지가 됩니다. 그런 다음에 싸이클은 이러합니다.

 

분노 90-100 -> 무모한 희생 -> 거인의 강타 -> 마무리 일격 -> 마무리 일격 -> 필사의 일격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 -> 제압 -> ...

 

 

 

B. 네임드를 공략하는 전체 시간이 5분 이상이라면 처음부터 사용할 수 있는데 자신의 분노 게이지가 100일 때 사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위의 싸이클에서 예로 들면)

전투의 외침 -> 돌진 -> 분쇄 -> 거인의 강타 -> 무모한 희생 -> 필사의 일격 ->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 -> 제압 -> 내면의 분노 활성화 -> 영웅의 일격 -> 영웅의 일격 -> 필사의 일격 -> 영웅의 일격 -> 무모한 희생 버프 비활성화

 

※ 녹색으로 표시된 점은 '거인의 강타(방어도 무시)' 효과 해택을 누리는 시점 입니다.

 

 

 

음의 침묵 사용 요령

 

무모한 희생보다 상대적으로 재사용시간이 짧습니다. 그래서 처음부터 활용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a. 처음 사용 할 때

위의 싸이클에서 예로 들면)

 

전투의 외침 -> 돌진 -> 분쇄 -> 죽음의 침묵 -> 거인의 강타 -> 필사의 일격 ->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 -> 제압 -> 영웅의 일격 -> 필사의 일격-> (촉발이 활성화)영웅의 일격 (촉발이 비활성화)격돌 -> 필사의 일격 -> 격돌-> 영웅의 일격 ->...

 ※ 녹색으로 표시된 점은 '거인의 강타(방어도 무시)' 효과 해택을 누리는 시점 입니다.

 

이렇게 사용한다면 처음부터 분노를 풀로 유지 한 상태에서 네임드를 공략 할 수 있으며 분노를 유지 하는 가운데

태세 변경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b. 마무리 일격 타임 때(네임드의 피가 20% 이하 일 때)

 

분노 90-100 -> 무모한 희생 -> 거인의 강타 -> 마무리 일격 -> 마무리 일격 -> 필사의 일격 ->(피의 맛이 4초가 남았을 때) 제압 -> 제압 -> 죽음의 침묵 -> 마무리 일격 -> 마무리 일격 ->

 

 

 

 

면의 분노 사용 요령

 

 

#showtooltip 영웅의 일격

/오라취소 칼날폭풍

/시전 광폭 태세

/시전 내면의 분노
/시전 영웅의 일격

 

 

 

무분에 대한 간략한 점을 올려봤습니다.  수정해야 할 점은 댓글을 통해 남겨주시고

추가 하고 싶은 내용 또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좋은 추가글은 제 이니를 투자해서라도 아이콘 선물 드리겠습니다.(__)

-전게지기 'Lexusz'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