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수정)

 

쐐기의 경우 툴팁과 다르게 2중첩이 되도

50%밖에 댐증이 되지 않는것을 확인했습니다. (툴팁오류)

 

타렉사용자라면 그래도 2중첩딜을 추천드리며,

비타렉사용자는 그냥 편하게 쓰셔도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허수아비를 자꾸 치면서 그럭저럭 괜찮은 딜이 나오길래

용기내어 ㅋ 가이드 하나 작성해 봅니다.

 

개인적인 취향이 가득한 딜 가이드 입니다.

혹시 더 나은 방법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말씀부탁드립니다.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개인의 취향에 따라 수정 가능한 딜 가이드 임을 명시해 드립니다.

 

 

(1)번 글은 전체적으로 구체적인 설명을 위주로 합니다.

(2)번 글은 조금은 요약된 설명을 위주로 합니다.

참고해주세요.

 

작성된 기준특성

Tier4 어둠 속에서,  빛이 오리니 (어둠의 쇄도)

Tier6 천상의 통찰력

으로 하였습니다.

 

1. 우선순위

 

 정분 >  흡손,고통 >  쐐기 >  파역 >  채찍

 

 

2. 전체적인 딜 로테이션

 

 -> 필러 스킬 ->  -> 필러스킬  -> 필러스킬

 

의 딜 로테이션을 가집니다. (필러 : Filler -> 정분과 정분 사이를 채우는 나머지 스킬들)

 

이번 사제의 딜은 최대한 낭비 없이 정분을 최대한 많이 때려박아서

효율적으로 버블을 모아서, 3버블 파역을 얼마나 발생시키느냐에 그 딜이 결정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모든 딜의 기준은 정분을 기준으로 정리됩니다.

 

3. 스킬별 설명

 

a. 정신 분열 : 8초의 딜레이를 가지고 / 암사의 버블을 생성하는 핵심 스킬

 

모든 스킬은 정신분열을 기준으로 이루어 진다. 같은 시간 내에 얼마나 많은 정분을 박아서

버블을 많이 쌓는가가 암사 딜의 중점이기 때문에,

정분 쿨이 돌아오기 1초전 미리 글쿨까지 계산해서 최대한 8초마다 쓸 수 있도록 해주는것이 좋다.

특성에 의해 리셋이 된다면, 도트가 모두 사라지지 않는 선에서 최대한 빠르게 써준다.

 

그러나, 리셋된 상태에서 아직 버블3개를 소모하지 못한 경우, 그땐 파멸의 역병을 최우선으로 써준다.

 

b. 흡손,고통 : 도트계열 스킬로서 특성에 따라 부가적인 효과를 발생시킨다.

 

도트의 유지는 암사의 기본중 기본이다.

다만 격변시절에 비해 도트 유지시간이 짧아졌으므로, 조금 신경써야할 부분이다.

 

흡손은 2초가 남았을 경우 스킬을 시전해주면, 글쿨을 감안한 상태에서 끊기지 않고 지속되며,

고통은 1초가 남았을 경우 스킬을 시전해주는게 좋다.

 

c. 쐐기 : Tier4 어둠의 쇄도를 찍은 사제에게만 해당되는 스킬이며,

어둠의 쇄도 발동시, 중첩당 50%의 증가데미지를 가져오며, 즉시시전 가능해진다. 최대 2중첩

 

쐐기딜의 가장 큰 핵심은 역시 2중첩 일 때 쐐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2중첩이 되자마자 칼같이 사용해준다.

 

2중첩일때 쐐기 사용시, 100%의 뎀증이 있으며, -> 2중첩 되더라도 50% 뎀증밖에 안됩니다.(툴팁오류) (1차 수정)

사용하더라도 1중첩이 남아있게 된다.

단일딜의 경우 딜내역 3위에 이 쐐기가 위치해 있을 정도로 딜량이 많다.

 

다만, 이건 운빨이 좀 받아야 한다. 운없으면,

자꾸 1중첩에서 사라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운용은 2중첩에서 사용하되,

어둠의 쇄도 버프가 사라지기 1~2초전에는 그냥 1중첩 이라도 사용해주길 바란다.

 

참고로 이걸로 정분 시전시간을 줄인다고 생각하겠지만,

정분은 노버프 기준 가속 30%때 1.1초의 시전시간을 가지며,

1번만 버프를 받아도 글쿨이 1초의 시간을 가지기 때문에,

크게 기여도가 없다.

정분 시전 생각하면서 쓰기보다는, 쐐기 데미지에 신경쓰는게 훨씬 낫다고 본다.

 

(1차 수정 추가본)

원래 타렉사용자로서, 타렉에 도트가 씹히는걸 막기위해 2중첩을 말하려 했으나,

어차피 뎀증 100%가 있어서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어서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추가실험후 50%인것을 확인해서, 추가로 언급합니다.

 

타렉사용자 - 2중첩 상태에서 사용 추천 (타렉에 복사에 의해 도트 삭제 방지),

                 1중첩 상태에서 버프가 2초남았을 경우, 그냥 사용.

 

비타렉사용자 - 신경쓰지말고 사용 추천

 

d. 파멸의 역병 : 정분이나 죽음으로 모은 버블을 사용하는

즉시 시전 기술, 평타+도트의 스킬데미지를 가진다.

 

졸업암사 기준으로 노버프때 3버블은 즉시데미지 4만정도의 데미지를 보여주며,

추가로 6만정도의 추가 도트데미지를 발생시킨다.

약 10만의 데미지를 가지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노특화 발동,크리 기준)

 

이런 메인기술의 우선순위가 왜이리 낮냐면,

파역은 그다음 죽음or정분을 쓰기 전까지만 소모하면 되기 때문이다.

 

데미지가 높다는것에 현혹되면 안된다.

 

도트리필이나, 쐐기사용의 경우 즉시 즉시 해주지 않으면 데미지가 떨어진다.

그러나 파역의 경우 버블이 있으면, 언제든지 사용해도 괜찮기 때문에

버블로스가 나지 않는 선에서 천천히 써줘도 된다.

데미지는 높을지언전 우선순위는 떨어진다.

 

다만 정분이나 죽음 쿨이 돌아오기 전에는 반드시 써줘야 한다.

그래야 버블로스를 없애야 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1버프 쐐기를 써야할 경우, 꼭 쐐기를 쓰고나서 파역을 쓰도록 하자,

가끔 1버프 쐐기가 타렉에 복사되면 디버프가 다날아가는데,

파역디버프가 날아가면 정말 배가 아프다.

 

그리고 리카운트 상으로

파멸의 역병 = 즉시데미지 + 특화로 복사된 도트

파멸의 역병(지속피해) = 시전한 도트들

로 집계된다. 참고바란다. (그래서 최소데미지가 1만도 안되는게 뜨는데 이런이유이다)

 

e. 정신의 채찍 : 빨대! 올레!

 

아무것도 할게 없는가? 그럼 이걸 눌러라.

그래도 무시하지는 말자, 단일딜 기준, 허수칠때 딜내역 1위가 채찍이다.

 

중간중간 다른스킬 쿨 돌아와서 시전을 끊더라도, 틱보고 끊는 연습을 꼭 하자.

 

Chapter1. The End / 다음 (2)의 경우 정리 요약본입니다. 참고해주세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