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al Dps Druid Guide

 

 

O.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야성 드루이드 열심히 열심히 했던 유저입니다!

 

이제 저는 와우세계를 떠나서 현실로 가려구 하는데요!

와우플포, 와우인벤에서 좋은 정보도 많이 얻어가고 서로 의견도 많이 나누었던게 좋았었는데

 

대격변 이후로 딜야드에 대해 정리된 글이 없는거 같아서

 

[특히, 처음 딜야드를 하시고자 마음 먹으신 분]께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딜야드 가이드를 만들어 보았어요.

 

제 생각이 많이 가미되어 객관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고, 검색하면 나오는 부분들이기도 하고,

다른 의견이 있으신분도 있으시겠지만 너그러이 봐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85 레벨 기준의 딜야드를 위한 글입니다>

렙업 중이신 분은 해당하지 않는 사항이 많습니다.

 

I. 캐릭터 준비

 

1. 종족

 

드루이드가 가능한 종족은 [호드 - 타우렌, 트롤] / [얼라이언스 - 나이트엘프, 늑대인간]이 있습니다.

딜야드로 가장 적합한 종족은 [트롤,늑대인간] 입니다.

 

트롤은 광폭화를 쓸 수 있어서 10초 동안 공격속도를 20% 증가시킬 수 있고

늑대인간은 치명타 확률이 1% 높습니다.

 

하지만 트롤과, 늑대인간은 단지 딜야드에 국한된 이야기이고

드루이드를 한다는 것은 딜야드만 하는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특성을 뭘 할 것인지까지 잘 생각하시고 종족을 선택하세요!

(게시판에서 종족으로 검색하시면 각 종족의 장단점에 대한 글이 많이 있습니다.)

 

-

트롤의 경우, 종족 특성 광폭화를 매크로로 쓰시려면 야드의 기술 광폭화가 나가는 문제가 있어서

/시전 광폭화(종족 특성)

라고 매크로를 쓰시면 종족특성이 나갑니다!

/시전 광폭화(표범 변신, 곰 변신)

라고 쓰시면 야드스킬이 나가구요!

-

 

 

2. 특성

 


 

기본적인 형태는 이렇습니다.

 

총 5 포인트의 여유 포인트가 있는데

(아래 줄로 가기 위하여 일단 1포인트를 생존본능(빨간네모1)에 줬습니다)

 

5포인트의 선택사항으로는

광란, 감염된 상처, 야수의 습격, 회복의 본능, 생존본능, 끈기(회복특성 2번째줄)등이 있습니다.

 

이 중 추천하는 선택은

야수의 습격 2/2 (녹색네모2) - 대격변 들어서 차단 가능한 강력한 공격이 레이드에 많으므로

회복의 본능 2/2 (녹색네모3) - 힐러 부담 감소, 생존률 증가

생존본능 1/1 (빨간네모1) - 힐러 부담 감소, 생존률 증가

입니다.

-

▷ 광란(녹색네모1)에 1포인트를 줘서 3/3 포인트를 하셔서 재변시 기력이 100% 유지 되도록 해도 좋지만

기력이 66% 이상 되도록 다시 표범이 되지 않는 상황은 별로 흔하지 않으니 2/3 이면 충분하다고 생각됩니다.

▷ 감염된 상처는 탱커로부터 보통 유지되는 디버프이기 때문에 딜러로 찍을 필요가 없지만

고정으로 가는 공격대에서 탱커가 해당 특성을 찍지 않은 경우, 한번 고려해 볼만한 특성입니다.

▷ 이 외에 탱커특성(방어도, 회피율)을 찍어서 잠시나마 부 탱커를 할수도 있으니 특정 공략상황에서는 고려해보시면 됩니다.

-

야드를 한지 얼마 안되시는 분은 찍으신 뒤, 자신이 찍은 특성을 하나하나 정독하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특성을 찍기만 한다고 특성의 효율을 다 보는게 아니고

각 특성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야 특성의 효율을 다 본다고 할 수 있으니까요!

 

 

3. 문양

 

a. 상급문양

 

도려내기, 칼날발톱, 짓이기기, 맹공격, 광폭화, 야생의 포효

 

이렇게 5개가 딜야드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중 보통상황에서는 [도려내기, 칼날발톱, 맹공격] 조합이 가장 선호되고 DPS도 가장 잘 뽑아줍니다.

 

칼날 발톱의 경우, 칼날발톱한번에 도려내기 1틱을 추가 (2초) 해주는데

알아키르처럼 뒤에가지 못하여 칼날 발톱을 자주 못쓰는 네임드는

짓이기기 문양을 쓰시거나 야생의 포효 문양을 쓰셔도 됩니다.

 

b. 주문양

 

딜야드는 주문양에 끼울것이 정말 없어요!

 

[흉포한 이빨 문양]은 기력관리를 용이하게 해주지만 DPS측면에서는 (-)요소가 있는 문양이라 별로구요

 

개인적으로는 [야생의 돌진, 환생, X] 로 추천드려요.

(x는 흉포한 이빨을 제외한 아무거나 끼우시면 되요)

 

c. 보조문양

 

[질주, 편안한 환생, X]

저는 나머지 하나는 바다표범 변신 문양으로 했습니다.

 

야생의징표 마나 감소 문양도 있지만, 딜야드 마나야 PvP 하는거 아니고서는 부족할 일이 별로 없으니...

 

 

 

II. 능력치

 

(이 곳에 나와있는 능력치 순서는 중요도 순위가 아님을 밝힙니다.)

 

1. 민첩성

 

1 민첩성당 2 전투력을 상승시켜줍니다.

 

여기에 추가로

'가죽 방어구 전문화' 로 민첩성이 5% 상승

특성 전문화의 '공격성' 으로 전투력이 25% 상승

회복 특성 쪽 '야생의 정수' 로 전투력이 10% 상승

레이드중

민첩성 5% 상승 (야생의 징표, 왕의 축복)

전투력 10% 상승 (정조준 오라, 누더기골렘님의 힘, 해방된 분노)

-

를 다 포함하면

1 민첩성당 3.33 가량의 전투력이 오릅니다.

 

거기에 추가로 어느 정도의 치명타 적중률까지 오르기 때문에 민첩성은 정말정말 중요한 스탯입니다.

 

2. 힘

 

힘도 1 힘당 2 전투력이 상승 되지만

크리티컬 오르는 부분이 없고 '가죽 방어구 전문화'의 민첩성 5% 효과를 못 받으므로 민첩에 약간 뒤쳐지는 스탯입니다.

 

현재 힘이 붙어있는 딜야드용 방어구는 사라졌기 때문에 힘으로 고민해볼만한 곳은 장신구 밖에 없습니다.

 

동급 민첩 장신구가 있다면 당연히 민첩 장신구가 좋고,

특화도,적중 등의 옵션과 힘에서나 고려해볼만 가치가 있습니다.

(아래 아이템 항에 장신구 우선 순위를 비교해 두었습니다)

 

3. 특화도

 

대격변 (정확히는 4.0.1 소격변 패치) 때부터 생긴 능력치로

표범 상태에서 특화력 1당 출혈피해가 3.1% 증가합니다.

출혈 피해는 야드가 상대방에 거는 도트데미지로 [갈퀴발톱, 도려내기]의 지속 데미지를 말합니다.

(레이드에선 잘 안쓰이지만 암습의 지속데미지도 출혈피해 입니다)

 

출혈 데미지가 야드의 데미지의 절반이상을 차지했을때는 좋았지만

현재 도트데미지 자체가 너프가 많이 되어서 반사적으로 효율이 떨어진 스탯입니다.

출혈피해에만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반쪽짜리 능력치지만 나쁜 능력치는 아니라는건 확실합니다.

 

4. 치명타율

 

출혈 피해도 모두 야드 본체의 치명타율에 따라 치명타가 터지므로 모든 공격에 영향을 주는 스탯입니다.

또한 특성 '야수의 분노' 덕분에 치명타가 높아야지만 원활한 연계점수를 수급할 수 있으므로

데미지 외에 딜싸이클을 돌리는데도 도움이 되는 중요한 능력치 중 하나입니다.

 

5. 가속

 

가속은 자동공격(평타)의 공격속도와 기력의 회복속도에 영향을 줍니다.

다만 캐스터의 도트데미지와 다르게 가속은 출혈피해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속이 높아져도 도트의 틱이 빨라지지 않기때문에 치명타에 비해 후순위 스탯이 됩니다.

 

6. 적중률

 

적중수치는 자신의 공격이 빗나가지 않게 해줍니다.

적중이 0 일 경우, 레이드 보스에게 공격은 8%의 빗나갈 확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력을 소모하는 스킬이나 평타나 모두 동일합니다.

 

단, 기력을 소모하는 스킬이 빗나가도 소모된 기력의 80%는 돌려 받고,

자동공격의 데미지는 전체데미지의 15%정도만 차지하며,

야드의 출혈피해는 일단 적중하면 적중도와 상관없이 모든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적중의 중요성은 모든 공격을 올려주는 민첩, 치명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집니다.

 

그러나 칼날 발톱의 데미지가 상승하고

출혈피해의 데미지가 감소한 4.0.6 패치 상황에서는 최소한의 적정 적중률은 필수입니다.

 

7. 숙련

 

숙련은 상대방이 공격을 막거나 회피하지 못하도록 해줍니다.

(적중이 낮으면 내가 못해서 못때린 것이고, 숙련이 낮으면 상대가 잘해서 못때린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레이드 보스는 6.5% 회피율 , 14% 무기막기 확율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레이드 보스의 등 뒤에서 하는 공격에 대해서는 레이드 보스는 '무기막기'를 할 수 없습니다, 회피는 가능)

 

따라서 뒤에서 공격 시, 6.5% 의 숙련만 확보하면 레이드 보스가 방어행동을 못하게 할 수 있습니다 (숙련22)

 

레이드 보스가 회피하거나 막은 스킬도 소모된 기력의 80%는 돌려 받으므로

적중과 마찬가지로 현재 시점에서는 민첩과 치명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떨어집니다.

 

다만, 숙련의 경우도 4.0.6 패치에서

출혈피해 데미지 감소와 단일데미지 스킬의 데미지 상승으로

최소한의 적정 숙련은 필수입니다.

 

8. 스탯 우선 순위

 

민첩성 > 치명타 > 특화도 = 적중 = 숙련 > 가속

 

당연히 최우선으로 중요한 스탯은 민첩성입니다.

그리고 모든 공격에 영향을 주며 버블 수급을 용이하게 해주는 치명타가 그 다음입니다.

 

4.0.6 패치이전까지는 출혈피해가 굉장히 큰 부분을 차지하여

특화로 오르는 데미지가 컸는데 패치 이후로 출혈피해가 감소하고 단일공격의 중요성이 증가하여

특화도의 중요성은 어느정도 감소하고 / 적중, 숙련의 중요성은 어느정도 증가했다고 보아서

동일선에 놓았습니다.

 

가속의 경우 스탯이 부족한 현재로서 최하로 고려할 스탯이라고 보입니다.

만적중, 만숙련, 적정치명타가 맞춰지는 대격변 후반에나 특화도와 가속을 놓고 고민할 꺼 같지

지금으로서는 다른 스탯을 올리기 위해 깍아내야 할 스탯입니다.

 

 

 

III. 아이템

 

0. 무기

 

딜야드의 무기 선택은 무조건 [초당 공격력] 만 보시면 됩니다.

딜야드의 공격 속도는 가속에 따라 자동으로 결정되므로 무기 자체의 속도는 무시하시고

무기의 최소데미지-최대데미지 또한 무시하실 스탯입니다.

 

딜야드의 모든 공격은 초당 공격력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같은 아이템레벨의 무기는 같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의 초당공격력을 가지므로

아이템레벨 높은걸 무조건 끼시면서

 

만약 두종류 무기가 같은 아이템레벨일 경우

민첩, 치명타등 스탯이 높은 아이템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1. 마법부여

 

머리- 람카헨 영석 (민첩 +60, 가속도 +35)

어깨- 부서진 수정의 상급 새김무늬 (민첩 +50, 특화도 +25)

망토- 망토 마법부여 - 일급 민첩성 (민첩 +22)   *리치왕의 분노 때 마법부여입니다

가슴- 가슴보호구 마법부여 - 비할 데 없는 능력치 (모든능력치 +22)

손목- 손목보호구 마법부여 - 민첩성 (민첩 +50)

장갑- 장갑 마법부여 - 강한 힘 (힘 +50)

허리- 흑단강철 허리 죔쇠 (소켓추가)

바지- 용비늘 다리 방어구 강화가죽 (전투력 +190, 치명타적중률 +55)

신발- 장화 마법부여 - 일급 민첩성 (민첩 +35)

무기- 양손 무기 마법부여 - 강한 민첩 (민첩 +130)

 

2. 보석

 

얼개보석- 민첩한 어둠영혼 다이아몬드 (민첩성 +54, 치명타 피해 3% 증가)

 

보석 - 섬세한 지옥불 루비 (민첩성 +40)

민첩이 워낙 효율이 좋아 색깔을 무시하고 민첩성 보석만 끼우시면 됩니다.

 

2 소켓아이템에 보석 보너스가 민첩성+20 이라면 보석 하나로 색깔 맞춰서 보너스를 얻는게 좋지만

그 외 보석 보너스는 무시하고 빨간색 민첩+40 이 효율이 가장 좋습니다.

 

3. 재연마

 

아이템에 재연마 가능한 능력치는

치명타 적중률, 특화도, 가속도, 적중도, 숙련도가 있는데

이중 2가지 옵션이 부여되어 있습니다.

 

만약 아이템에 치명타 적중률, 특화도가 붙어있는 아이템이 있다면

이는 딜야드에게 최상의 옵션이니 재연마를 안하셔도 됩니다.

 

일단 치명타가 없는 아이템이라면 가속도,적중도,숙련도를 깍아서 치명타로 재연마하시구요

 

적정한 적중률, 숙련까지는 가속과 특화도를 조정하셔서 적중도, 숙련도를 올립니다.

적중은 6~8% / 숙련은 18~22 를 추천드립니다.

 

그 외의 적중도, 숙련도, 가속도는 특화도로 재연마하시면 됩니다.

 

4. 장신구 선택 가이드

 

대격변에서 모든 발동형 장신구는 지속시간의 5배의 내부쿨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0초 발동 장신구는 50초의 내부쿨이, 15초 발동 장신구는 75초의 내부쿨,

20초 발동장신구는 100초의 내부쿨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장신구 순위를 정해보면

 

회오리의 정수 (상급)

무시된 경고

계략의 프레스톨 부적 (상급)

액체 질식사

분노의 심장 (상급)   * 힘

티아의 은총 (상급)

회오리의 정수

무한한 방의 열쇠 (상급)

라지의 왼쪽 눈 (상급)

계략의 프레스톨 부적

분노의 심장    *힘

압도하는 무게 (상급)    * 힘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티아의 은총

사자의 은총 (상급)

스카르딘의 은총 (상급)

 

입니다

(힘 장신구는 [* 힘] 으로 표기 해 두었습니다)

 

 

 

IV. 전문기술

 

0. 일반론

 

전문기술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대부분 평준화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어떠한 전문기술을 택해도 거의 비슷한 능력치 상승을 얻을 수 있습니다.

 

다만 채광, 기계공학, 약초채집, 무두질 같은 특수한 이득을 주는 전문기술도 있습니다.

 

어떠한 전문기술을 선택할 것인지는

능력치 외에도 각 전문기술이 주는 이점을 잘 생각해 보고 고르시길 바랍니다.

 

1. 능력치 비교

 

가죽세공- 민첩성 +80 (손목에 전용 마법부여)

대장기술- 민첩성 +80 (손목과 장갑에 소켓추가 +40 x2 = +80 상승)

마법부여- 민첩성 +80 (반지에 마법부여 +40 x2 = +80 상승)

주문각인- 민첩성 +80 (어깨에 전용 마법부여)

 

보석세공- 민첩성 +81 (일반 보석에 비해 +27 x3 = +81 상승)

연금술- 민첩성 +81 (바람의 영약 먹을 경우 민첩성 추가 증가)

 

무두질- 치명타 적중율 +80

 

기계공학- 민첩 +80 정도 (10초간 민첩480 / 1분쿨), 추가로 허리에 특수기능 장착 (니트로, 보호막 등)

약초채집- 가속도 +80 정도 (20초간 가속480 / 2분쿨)

 

채광- 체력 +120

 

2. 추천 전문기술 (지극히 개인적)

 

대부분의 전문기술은 전문기술로 제작한 아이템을 자유롭게 거래하여 아무나 사용할 수 있는데 반하여

연금술과 기계공학은 아이템 중에 연금술사와 기계공학자만 쓸 수 있는 아이템이 있습니다.

(연금술사 전용 장신구, 기계공학자 전용 머리방어구)

 

또한 연금술을 올릴 경우 영약의 지속시간이 2시간이 되기때문에 영약에 들어가는 비용도 줄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기계공학은 여러가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연금술과 기계공학을 추천드려요!

 

 

 

V. 소비용품

 

1. 영약

바람의 영약- 1시간 동안, 민첩 +300

 

2. 음식

장어 꼬치- 1시간 동안, 민첩 +90, 체력 +90

 

3. 물약

톨비르의 물약- 25초간, 민첩 +1200

(물약은 전투 중, 단 한번밖에 먹을 수 없지만 전투가 걸리기 [직전에] 먹으시면

1분의 물약 쿨 이후에, 전투 중 한번 먹을 수 있어서 총 2번 먹는 효과가 있습니다.)

 

 

 

VI. 전투상황

 

0. 일반론

 

이제까지 딜야드로 전투를 하기 위한 준비를 알아 보았으며

이제 제일 중요한 전투상황이 남았습니다.

 

딜야드는 기력 클래스로 기력은 최대 100까지 (특정상황에서 최대120) 차오르며 100이상 차지 않기 때문에

기력을 100에 도달하게 하는것은 그만큼 강한 공격을 소모할 자원이 충분한데 그만큼 쓰지 못했다는 말이 됩니다.

 

그러나 반대로 기력을 쭉 짜내서 써서 10~20 정도에서 모이는 족족 써주다가는

기력이 급한 상황에서 기력이 없어서 낭패를 보게 됩니다. 

(흔히 딜싸이클이 꼬인다고 합니다)

 

기력은 적으나 많으나 거의 같은 속도로 차오르기 때문에 모이는 족족 쓴다고 좋은게 아닙니다.

오히려 약간 여유를 두고 쓰면서 딜싸이클이 꼬일것 같을 때 여유분을 쓰며 이를 모면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위기를 벗어났으면 다시 여유분을 어느정도 가질수 있게 천천히 기력을 조절해야합니다.

 

 

1. 딜야드 스킬의 연계 매커니즘

[매우 기초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니 딜야드의 스킬을 숙달하신 분은 보지 않으셔도 좋습니다]

 

딜야드의 스킬은 서로 상호간에 긴밀한 연관을 주고 있습니다.

 

a. 짓이기기

 

짓이기기는 출혈피해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출혈피해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이 야드가 주는 물리 지속 데미지이며

주로 갈퀴발톱, 도려내기가 짓이기기의 효과로 강해집니다.

 

또한 칼날발톱의 툴팁을 보면 '출혈피해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걸려있는 대상에 더 큰 피해를 입힙니다'라고 써있는데

여기 출혈피해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바로 짓이기기이므로

짓이기기 디버프가 있는 적은 갈퀴발톱, 도려내기, 칼날발톱 이렇게 3가지 스킬의 데미지가 증가합니다.

 

짓이기기와 출혈스킬의 사용순서는 상관이 없으며

출혈데미지 순간, 해당 적에게 짓이기기 디버프가 있다면 30% 증가된 피해가 적용됩니다.

 

짓이기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 스킬로는

전사의 무기특성에 '외상'

도적의 잠행특성에 '과다출혈'

사냥꾼의 펫이 있습니다.

 

b. 칼날발톱

 

주된 공격 스킬로 출혈피해가 유지되고 있다면 보통 칼날발톱으로 공격하게 됩니다.

칼날발톱은 특성 '상처 찢기' 에 의하여 출혈 중인 대상에 피해가 20% 증가합니다.

 

따라서 칼날발톱의 최고 데미지는 짓이기기가 있으며, 출혈(갈퀴,도려)도 있는 적에게 쓸 때 입니다.

 

c. 갈퀴발톱

 

첫 데미지가 있으며 이후 15초에 걸쳐 매 3초마다 출혈 피해를 입힙니다.

첫 데미지가 치명타로 적중할 경우 연계점수가 2개가 생깁니다.

 

갈퀴발톱을 적용하는 순간의 공격력에 따라 5번의 출혈데미지의 피해량이 정해집니다.

 

갈퀴발톱은 항상 유지시켜주어야 하며 3초 간격으로 데미지가 들어가므로

지속시간이 3초 이하로 남았을때 써주시면 됩니다.

(자동으로 남은시간 +15초로 리필되며 남은 1틱 이후 5틱의 출혈데미지를 줍니다.)

 

d. 도려내기

 

첫 데미지가 없습니다.

16초에 걸쳐 매 2초마다 출혈 피해를 입힙니다.

지속시간은 동일하며 연계점수에 따라 총데미지가 정해지므로 [항상 5버블의 도려내기를 쓴다].

 

총 8번의 데미지이지만 칼날 발톱 문양을 사용하면 총 3번 도려내기 지속시간을 2초씩 연장할 수 있습니다. (3틱)

이 때 칼날 발톱으로 도려내기를 연장하는 타이밍이 홀수에서 짝수로 가는순간과 일치하면

시간이 더 늘어나서 보통 11틱의 도려내기가 들어가는데 이게 13틱으로 까지 늘어납니다.

 

(틱이 들어가면서 연장할 경우, 틱이 들어가기 전으로 판단하고 지속시간을 더 추가로 늘려주는 버그로 생각됩니다)

 

도려내기도 적용하는 순간의 공격력에 따라 11번~13번의 출혈데미지 피해량이 정해집니다.

 

가장 많은 횟수의 공격을 차지하는 스킬이기 때문에

맹공격으로 도려내기 적용하는 순간 공격력을 15% 증가시켜 놓으면 모든 11~13번의 데미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맹공격과 상성이 좋은 스킬입니다.

 

e. 흉포한 이빨

 

기본적으로 기력은 35소모하지만

35의 기력을 쓰고 남는 기력을 최대 35까지 더 소모하는 스킬입니다. (총 70)

 

기력을 훅 날리기 때문에 여러모로 조심해서 써야 하는 스킬입니다.

또한 광폭화 중에는 모든 스킬의 필요 기력이 반절로 줄지만 이때 흉포를 쓰면 추가 기력은 35가 훅 날라가기 때문에

광폭화 지속시간 15초에 신나게 스킬 딜을 하려면 오히려 안쓰는게 더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기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지만

'상처 찟기' 특성에 의해 출혈피해를 입는 대상에게

치명타율이 25% 증가 하므로 높은 크리율로 데미지 기대값이 크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f. 맹공격

 

맹공격 사용시 6초 동안 모든 스킬과 자동공격의 공격력이 15% 증가합니다.

이때 적용된 출혈 스킬은 지속시간 내내 15% 증가된 공격력으로 적용 되므로 맹공격 중에 출혈 스킬을 쓰는게 좋습니다.

 

또한 맹공격 6초 동안 매 글쿨마다 1초에 스킬 하나씩 써야 손해가 없으므로

데미지를 주지 못하는 스킬은 맹공격 중에는 쓰지 않는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 야생의 포효, 요정의 불꽃 등)

 

또한 특성으로 맹공격을 쓰는 즉시 기력이 60+20 = 80 이 차게 됩니다.

그러므로 맹공격을 쓸때는 기력이 40 이하로 된 상황에서 써야 기력 획득이 낭비되는 일이 없습니다.

 

또한 맹공격을 쿨마다 사용하기 위하여

맹공격 쿨이 돌아오고 있다면 미리 기력을 소모하여 기력을 40 이하로 깍아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옛날에는 맹공격을 쓴 상태로 광폭화를 쓰면 맹공격의 공격력 상승이 사라졌지만

지금은 광폭화가 맹공격을 사라지게 하지 않으므로 맹공격 직후 광폭화를 쓰는것도 좋습니다.

 

g. 야생의 포효

 

야생의 포효는 과거 모든 스킬을 쓰기 전에 필수로 유지해야 했던 스킬이지만

이제 영향을 자동공격에 밖에 주지 않으면서 우선순위가 많이 밀려났습니다.

 

물론 전투중에 항상 유지 해주는게 좋지만

유지하지 못하더라도 아주 잠깐 평타의 공격력이 주는데 불과하여

다른 스킬이 더 급하다면 잠깐 끊기더라도 다른 스킬을 먼저 쓰는게 더 좋습니다.

 

h. 야생의 돌진, 찢어발기기

 

야생의 돌진을 쓰면, 찢어발기기가 기력 소모없이, 은신하지 않아도 나갑니다.

 

보통 처음에 전투를 시작할때 요정의 불꽃을 걸고 야생의 돌진으로 뛰어들어가며 시작하고

전투 중 이동이 있는 네임드의 경우, 야생의 돌진이 가능하다면 항상 야생의 돌진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찢어발기기 공짜는 돌진 후  바로 쓰시기 보다는 10초의 여유가 있으므로

상황을 보고 쓰실 수 있다면, 보고 쓰시는게 좋습니다.

 

 

2. 딜 싸이클

 

딜야드의 딜 싸이클은 정해진바가 없습니다.

치명타율에 따라 다음에 올 스킬이 바로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각자 딜하는 취향에 따라 어떤 스킬을 먼저 쓸지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기의 딜 싸이클은 저의 주관적인 생각이 많이 들어간 딜 싸이클이며

이러한 딜 싸이클을 참고하시고 자신만의 딜 싸이클을 발전시키시면 되겠습니다.

 

 

[시작]

 

요정의 불꽃 - 야성의 돌진 - 짓이기기(1~2버블) - 야생의 포효(연계점수 소모)

 

갈퀴발톱(1~2버블) -

 

a. 지금까지 청명이 안떴다면 기력이 40 정도로 떨어졌으므로 [맹공격]

b. 청명이 떴다면 칼날 발톱을 한번 써서 기력을 떨어트리고 [맹공격]

 

맹공격 상태에서 찢어발기기(무조건2버블,크리율100%) - 칼날발톱으로 5연계점수까지 맞춘 후 도려내기(연계점수 소모)

 

 

처음 딜싸이클은 각자 자기 스타일이 있는 점이라 이게 최선입니다, 확실해요 라고 말은 못드리겠어요

저는 첫 도려내기를 맹공격 효과를 보도록 하는데 초점을 두어 맹공격을 쓰는 타이밍에 중점을 두어서 싸이클을 짜보았는데요

 

맹공격 중에 야생의포효를 쓰는게 손해이므로, 야생의 포효는 맹공격 전 기력깎는 부분에 썼구요

야포를 쓰면 연계점수가 소모되기 때문에 한번의 연계점수 획득이 있어야 맹공격중에 도려내기가 안정적입니다.

(스킬 한번 후, 맹공격 중에 찢발(무조건2버블)이 있기 때문에)

 

시작 딜싸이클은 하나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자기에 취향에 맞는 싸이클을 돌리시면 될꺼 같아요

 

 

 

[중간]

 

- 야생의 포효를 유지합니다.

(잠시 끊기더라도 괜찮은 최하위 고려 대상입니다)

 

- 청명의 전조 발동 시, 칼날 발톱을 씁니다.

 

- 맹공격(쿨타임 27초), 도려내기(22~26초)를 일치시켜서 도려내기는 항상 맹공격과 짝꿍으로 쓴다.

(맹공격 발동 후, 한두번의 스킬로 5버블이 되도록 미리 연계점수를 조절하고

맹공격 후반, 그러니까 버프가 1~3초 쯤 남았을때 도려내기를 쓰면 좋습니다! )

 

- 흉포한 이빨을 쓰면 기력이 거의 다 사라지니 야생의 포효와 도려내기 남은 시간을 잘 확인하고 날립니다.

 

- 갈퀴는 끝나기 1~3초전에 넣어줍니다.

(이전의 갈퀴 끝나고 자동리필 효과)

 

- 광폭화 초반에 흉포를 날려버리면, 광폭화 지속시간은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기력이 없어서 딜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폭화 중에는 기력당 스킬 효율이 극대화 되므로

기력당 스킬 효율이 평소랑 그대로인 흉포한이빨의 추가 기력 소모는 자제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끝]

 

네임드의 생명력이 25% 미만으로 남은 때 부터는 도려내기를 쓰지 않아도

네임드에 흉포한 이빨을 쓰면 자동으로 도려내기 지속시간이 초기화 됩니다.

 

이때부터는 도려내기는 쓰지 않고 흉포한 이빨로 도려내기를 공짜로 초기화 시키시며 딜하시면 됩니다.

만약 도려내기가 끝나가면 연계점수가 1버블이라도 주저없이 흉포한 이빨을 날려주세요!

 

-

-

야드딜은 예전에 비해 상당히 쉬워진 편입니다.

야생의 포효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다른 스킬에 미치는 영향이 사라져서 유지 부담이 적어졌고

짓이기기도 지속시간이 1분이며 도려내기를 맹공격과 묶어서 쓰는게 딜에 도움이 되는데

맹공격을 쓸 경우 기력이 80이 생기기 때문에 도려내기를 묶어서 넣는것도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대신 복잡한 매커니즘을 잘 이해하고 실수를 줄이며

무리한 기력소모를 안하시는게 높은 딜을 뽑는 비법일꺼 같아요 !

 

딜 싸이클에 관한 것은 개인적 의견이 많이 반영되는 부분이라

여러 딜야드님께서 좋은 부분을 보완해주시면 좋을꺼 같아요!

 

 

 

VII. 마치며

 

0 . 참고 자료

 

MMO-Champion 드루이드 포럼을 많이 참고 하였어요!

 

1. 딜야드를 정말 좋아했었어요 !

 

저는 사정이 있어서 이제 와우를 떠나게 되었지만

우리 고양이님들! 항상 열심히 하시구 좋은 결과 있으시길 응원하겠습니다!

 

딜야드는 얃얃 !

가끔 놀러올께요 !